$\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거기반실무를 활용한 기본간호학 수업 운영의 효과
Effect of Fundamental Nursing Class using Evidence-Based Practic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8 no.6, 2018년, pp.38 - 49  

김윤희 (국립목포대학교 간호학과) ,  류세앙 (국립목포대학교 간호학과) ,  김희영 (동신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근거기반실무 간호교육은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단계적으로 경험하며 숙련되도록 이끌어야한다. 본 연구는 근거기반실무의 일부를 통합한 간호학과 2학년의 기본간호학 수업을 운영하고 근거기반실무의 기초역량 향상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설계이었다. 대상자는 2개 대학교의 간호학과 2학년 재학생 108명이었다. 실험군은 2016년 2학기 15주 수업기간 중 총 8주, 24시간의 근거기반실무를 활용한 기본간호학 수업에 참여하였고 대조군은 일반적 기본간호학 수업에 참여하였다. 자료는 자가보고형의 문제해결 적극성, 근거기반실무 적용의도, 그리고 비판적 사고성향 측정도구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 program을 이용하여 동질성은 Chi-square 검정과 독립표본 t-검정으로, 가설 검정은 독립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문제해결 적극성과 근거기반실무 적용의도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그러나 비판적 사고는 두 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근거기반실무를 활용한 기본간호학 수업은 저학년 학생의 근거기반실무 기초역량인 문제해결 적극성과 근거기반실무 적용의도의 증가에 효과적이었다. 근거기반실무에 대한 학년별 목표에 적합한 교과과정에 의한 간호학생들의 근거기반실무 역량과 비판적 사고의 향상에 대한 장기적 노력이 더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ursing education with evidence-based practice(EBP) should set a differentiated education strategy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learner, so that the students experience it step by step and it leads them to be skill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egrate and operate the EBP in the funda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에게 적용한 근거기반실무를 활용한 기본간호학 수업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설계이다
  • 팀기반 학습활동과 근거기반실무의 일부를 경험하는 학습을 통해 학생들의 문제해결 적극성과 근거기반실무 적용의도의 향상에 대한 효과를 규명하였으나 비판적 사고의 향상은 확인 하지 못했다. 본 연구는 간호학 교과과정에 근거기반실무를 통합하기 위한 시도로서 가치가 있다고 본다. 향후 간호교육과정에 단독이든 병행 방법이든 다양한 시도가 진행되어 간호학부 수준에서의 근거기반실무 경험이 향후 임상실무에서 실제적 활용으로 이어질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 본 연구는 대상자 보호를 위해 연구 시작 전에 대상자에게 연구의 목적과 방법, 연구에 참여시 얻을 수 있는 이점과 문제점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정규 교과 과정에서 진행되므로 학생이 수업에 참여를 해야 한다.
  • 간호 교육에서 근거기반실무를 교육하기 위해서 수준별 접근의 필요하며 간호학사 수준에서 1학년은 정보접근기술, 2학년은 임상문제와 관련된 근거에 접근할 수 있는 능력, 3학년은 근거의 질평가 능력, 그리고 4학년은 근거를 실무에 적용하고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의 함양을 목표로 할 수 있다[12][13]. 본 연구도 이러한 관점으로 간호학과 2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독립된 교과목이 아닌 기본간호학 전공 교과목에 근거기반실무 과정의 일부분을 접목하여 운영하였고, 그 결과 근거기반실무에 대한 기본 이해와 더불어 일부과정의 경험을 통해 향후 적용에 대한 의도를 갖도록 하는 목표가 성취된 것으로 볼 수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근거기반실무를 활용한 기본간호학수업이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 적극성, 근거기반실무 적용의도, 비판적사고 성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 는 것이다.

가설 설정

  • ‘근거기반 실무지침을 활용한 기본간호학수업에 참여한 실험군의 근거기반실무 적용의도는 대조군보다 증가할 것이다.
  • 가설 1: 근거기반실무를 활용한 기본간호학수업에 참여한 실험군의 문제해결 적극성은 대조군보다 증가할 것이다.
  • 가설 2: 근거기반실무를 활용한 기본간호학수업에 참여한 실험군의 근거기반실무 적용의도는 대조군보다 증가할 것이다.
  • 가설 3: 근거기반실무를 활용한 기본간호학수업에 참여한 실험군의 비판적사고 성향은 대조군보다 증가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실무에서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간호실무는 ‘잘하는 것보다 올바른 것, 즉 과학적인 근거를 활용해서 올바르게 행하는 것’이 중요하며, 근거 기반실무를 통해 최선의 간호제공과 최상의 환자결과를 보장할 수 있다[1]. 근거기반실무를 간호사의 일상적 실무표준으로 통합한다면 간호실무의 질과 환자 결과의 향상은 물론 간호의 일관성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2].
간호사가 근거기반실무를 자신의 실무에 활용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근거기반실무를 간호사의 일상적 실무표준으로 통합한다면 간호실무의 질과 환자 결과의 향상은 물론 간호의 일관성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2]. 그러나 기대와는 달리 대부분의 간호사들은 근거를 검색하고 연구 결과를 읽고 비평하는 것이 어려워서 자신의 실무에 근거기반실무를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3]. 근거기반실무를 활용한 간호교육은 변화의 속도가 가팔라진 의료 환경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과학적 임상의사결정력을 갖춘 전문직 간호사를 양성하기 위한 효과적인 교육전략이 될 것이다[4].
Burke 등은[13] 근거기반실무 실행을 위한 역량으로 간호학과 1학년은 정보접근기술, 2학년은 임상문제와 관련된 연구 근거에 접근할 수 있는 능력, 3학년은 연구의 비평적 평가 능력, 4학년은 비평적으로 평가한 연구를 실무에 적용하고 평가할 수 있는 능력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고 제시하였는데 이것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Burke 등은[13] 근거기반실무 실행을 위한 역량으로 간호학과 1학년은 정보접근기술, 2학년은 임상문제와 관련된 연구 근거에 접근할 수 있는 능력, 3학년은 연구의 비평적 평가 능력, 4학년은 비평적으로 평가한 연구를 실무에 적용하고 평가할 수 있는 능력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고 제시하였다. 이것은 저학년은 기초를 형성하기 위해 근거기반실무에 노출되는 학습경험을 제공하고 고학년이 되면 임상실습 교과목에 근거기반실무 과정을 적용한 간호과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한편, 근거기반실무의 전 과정을 경험하도록 하는 단일 교과목이 역시 제공되어야 한다고 정리할 수 있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E. Fineout-Overholt, B. M. Melnyk, and A. Schultz, "Transforming health care from the inside out: Advancing evidence-based practice in the 21st century," J. of Professional Nursing, Vol.21, No.6, pp.335-344, 2005. 

  2. A. DiCenso, G. Guyatt, and D. Ciliska, Evidence based nursing: A guide to clinical practice, Elsevier, 2005. 

  3. H. Saunders and K. Vehvilainen-Julkunen, "The state of readiness for evidence-based practice among nurses: An integrative review," International J. of Nursing Studies, Vol.56, No.1, pp.128-140, 2015. 

  4. D. Ciliska, "Educating for evidence-based practice," J. of Professional Nursing, Vol.21, No.6, pp.345-350, 2005. 

  5. S. D. Moch, R. J. Cronje, and J. Branson, "Part I. undergraduate nursing evidence-based practice education: Envisioning the role of students," J. of Professional Nursing, Vol.26, No.1, pp.5-13, 2010. 

  6. S. Ryu, S. W. Yun, and Y. S. Kim, "Trends in evidence-based nursing research in South Korea," J.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23, No.4, pp.385-339, 2017. 

  7. K. M. Williamson, E. Fineout-Overholt, B. Kent, and A. M. Hutchinson, "Teaching EBP: Integrating technology into academic curricula to facilitate evidence-based decision-making," Worldviews on Evidence-Based Nursing, Vol.8, No.4, pp.247-251, 2011. 

  8. B. M. Melnyk, "Educational programming in undergraduate and graduate academic curricula: Friend or foe to accelerating evidence-based practice?," Worldviews on Evidence-Based Nursing, Vol.10, No.4, pp.185-186, 2013. 

  9. S. Ryu, Y. S. Kim, and Y. H. Kim, "Factors influencing of evidence based practice competency and evidence-based practice readiness in general hospital nurses," J.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Vol.22, No.5, pp.448-460, 2016. 

  10. M. H. Choi, Y. H. Kim, and H. M. Son, "Factors influencing evidence-based practice attitudes among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22, No.3, pp.274-282, 2016. 

  11. J. S. Kim,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evidence-based practice education program for undegraduate nursing student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Doctoral dissertation, 2014. 

  12. M. G. Titler, "Evidence based nursing in nursing education. Evidence based nursing: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Proc. Kyungbook National University International Symposium, pp.1-25, 2002. 

  13. L. E. Burke, E. A. Schlenk, S. M. Sereika, S. M. Cohen, M. B Happ, and J. S. Dorman, "Developing research competence to support evidence-based practice," J. of Professional Nursing, Vol.21, No.6, pp.358-363, 2005. 

  14. D. F. Hunker, E. A. Gazza, and T. Shellenbarger, "Evidence-based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for scholarly writing development across all levels of nursing education," J. of Professional Nursing, Vol.30, No.4, pp.341-346, 2014. 

  15. B. J. McNeil, V. L. Elfrink, C. J. Bickford, S. T. Pierce, S. C. Beyea, C. Averill, and C. Klappenbach, "Nursing information technology knowledge, skills, and preparation of student nurses, nursing faculty, and clinicians: A U.S. survey," J. of Nursing Education, Vol.42, No.8, pp.341-349, 2003. 

  16. I. H. Park, "Evidence based practice education in medicine," Pro. 2013 conference Korean Society of Evidence-Based Nursing, pp.27-62, 2013. 

  17. M. Park, "Effects of Evidence Based Practice Integrated Critical Care Clinical Practicum," J.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7, No.3, pp.348-356, 2011. 

  18. S. Ryu and S. W. Yun, "Pilot study of adult nursing clinical practicum module using evidence-based practice," J.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8, No.6, pp.761-779, 2018. 

  19. K. S. Jang, E. A. Kim, and H. Y. Park, "The effects of an evidence-based nursing course using action learning o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21, No.1, pp.119-128, 2015. 

  20. E. O. Gu, M. S. Cho, Y. A. Cho, J. S. Jeong, I. S. Jeong, and J. S. Park, "Topics for evidencebased clinical nursing practice guidelines in Korea," J.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ol.17, No.3, pp.307-318, 2011. 

  21. L. C. Marshall, The relationship between efficacy, teamwork, effort and patient satisfaction,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Doctoral dissertation, 2013. 

  22. E. M. Kwon, The correlation among team efficacy, interpersonal understanding,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and team performance, Ehwa Womans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0. 

  23. J. M. Johnston, G. M. Leung, R. Fielding, K. Y. Tin, and L. Ho,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ur questionnaire to assess undergraduate evidence­based practice teaching and learning," Medical Education, Vol.37, No.11, pp.992-1000, 2003. 

  24. I. S. Kwon, G. E. Lee, G. D. Kim, Y. H. Kim, K. M. Park, H. S. Park, S. K. Sohn, W. S. Lee, K. S. Jang, and B. Y. Chung, "Development of 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cale for nursing students," J.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6, No.6, pp.950-958, 2006. 

  25. H. A. Mennenga and T. Smyer, "A model for easily incorporating team-based learning into nursing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Scholarship, Vol.7, No.1, pp.1-14, 2010. 

  26. I. Ajze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 Vol.50, No.2, pp.179-211, 1991. 

  27. Y. S. Jeong, I. H. Park, S. W. Cho, Y. H. Cho, E. Y. Choi, and J. H. Kim, "Knowledge and attitude of family medicine residents towards evidence-based medicine,"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27, No.12, pp.975-981, 2006. 

  28. C. E. Brown, S. C. Kim, J. F. Stichler, and W. Fields, "Predictors of knowledge, attitudes, use and future use of evidence-based practice among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at two universities," Nurse Education Today, Vol.30, No.6, pp.521-527, 2010. 

  29. R. Alfaro-LeFevre, Critical thinking in nursing: a practical approach, W. B. Saunders, 1999. 

  30. P. McCarthy, P. Schuster, P. Zehr, and D. McDougal, "Evaluation of critical thinking in a baccalaureate nursing program," J. of Nursing Education, Vol.38, No.3, pp.142-144, 1999. 

  31. H. K. Burns and S. M. Foley, "Building a foundation for an evidence-based approach to practice: Teaching basic concepts to undergraduate freshman students," J. of Professional Nursing, Vol.21, No.6, pp.351-357, 2005. 

  32. S. Wangensteen, I. S. Johansson, M. E. Bjoorkstroom, and G. Nordstroom, "Research utilisation and critical thinking among newly graduated nurses: Predictors for research use. a quantitative cross­sectional study," J. of Clinical Nursing, Vol.20, No.17-18, pp.2436-2447, 2011. 

  33. K. R. Shin, J. Y. Ha, and K. H. Kim, "A longitudinal study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 critical thinking skills in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J. Korean Academy Nursing, Vol.35, No.2, pp.382-389,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