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azarus와 Folkman의 스트레스 평가-대처 모델에 근거한 입원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이 조현병 환자의 스트레스, 문제해결능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Stres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Quality of Life of as a Stress Management Program for Hospitalized Schizophrenic Patients: Based on the Stress, Appraisal-Coping Model of Lazarus & Folkma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6 no.4, 2016년, pp.583 - 597  

박순아 (문경대학교 간호학과) ,  성경미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effects a Stress Management Program (SMP) on stress, problem solving skills, and quality of life for hospitalized patients with Schizophrenia. Methods: A mixed method design was used: a combination of a repeated-measure design with a non-equivalent contr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입원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이 조현병 환자의 스트레스, 문제해결능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는 것으로 먼저, Lazarus와 Folkman [19]의 스트레스 대처 이론을 근거로 조현병 환자를 위한 입원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연구 변수에 대한 양적 변화를 파악하고 프로그램 참여경험으로 질적 변화를 탐색하였다. ;

가설 설정

  • 가설 1. 입원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 하지 않은 대조군은 시간경과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2. 입원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 하지 않은 대조군은 시간경과에 따른 문제해결능력 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가설 3. 입원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과 참여 하지 않은 대조군은 시간경과에 따른 삶의 질 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현병 환자의 정신장애 발생 후 입원한 기간은 평균 며칠인가? 조현병은 반복적인 재발로 만성화되는 경향이 있어서 다른 정신 질환에 비해 상대적으로 입원 기간이 길다[1]. 국내 22개 정신보건시설을 대상으로 정신장애 발생 후 입원한 기간을 조사한 결과 조현병 이외 정신질환자의 평균 재원일수가 704일인 것에 비해 조현병 환자의 경우는 평균 1,655일이나되었다[2]. 또한 초발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일 연구에서 이들이 퇴원 후 2년 이내 33.
초발 조현병 환자의 퇴원 후 2년, 5년 이내 재입원 비율은 어떻게 되는가? 국내 22개 정신보건시설을 대상으로 정신장애 발생 후 입원한 기간을 조사한 결과 조현병 이외 정신질환자의 평균 재원일수가 704일인 것에 비해 조현병 환자의 경우는 평균 1,655일이나되었다[2]. 또한 초발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일 연구에서 이들이 퇴원 후 2년 이내 33.3%, 5년 이내 73.3%가 재입원하고 있음을 보고한 바 있다[3]. 즉, 조현병 환자의 경우 잦은 재발과 재입원으로 입원생활이 삶의 중요한 부분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Lazarus와 Folkman의 스트레스 평가-대처 모델이 조현병 환자가 스트레스 상황에 적응하도록 돕는 이론적 근거가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더 나아가 조현병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이러한 스트레스 요인을 환자의 질병 특성에 맞게 체계적으로 중재하는 방안이 필요한데 Laza-rus와 Folkman [19]의 스트레스 평가-대처 모델은 조현병 환자가 스트레스 상황에 적응하도록 돕는 이론적 근거가 될 수 있다. 왜냐 하면 Lazarus와 Folkman [19]의 이론에서 스트레스는 긴장된 상황이나 당면한 개인의 인지적 평가에 의해 그 수준이 결정되고, 이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결과로 적응과 부적응이 일어나는데 이러한 스트레스의 평가와 대처과정을 중재하여 적응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이 다. 예를 들면 입원이라는 스트레스 상황에 직면한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입원에 대한 인지적 평가를 중재하여 대상자가 입원으로 인한 스트레스 상황에 적응적으로 대처하도록 돕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hung IW, Hyun MH, Kim JY, Bae JN, Jang HS, Na DS. Survey on clients and facilities of mental health institutions. Seoul: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of Korea; 2009. 

  2. Suh TW. Length of stay of psychiatric inpatients by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type of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2;41(6):1174-1184. 

  3. Kim CY, Hong JP, Choi JW, Hong TY, Han OS. Outcome in first admission schizophrenia: I. two and five year follow-up. Mental Health Services. 1997;2(1):78-86. 

  4. Park SA, Sung KM. Development of a measurement of stress for hospitalized schizophrenic pati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4;44(3):339-349. http://dx.doi.org/10.4040/jkan.2014.44.3.339 

  5. Bae A, Kim JH, Park SH, Kim MK, Kim JW. The quality of life of chronic mental patients according to therapeutic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9;38(6): 1273-1281. 

  6. Jung JE. The hospital experience of psychiatric patient: A phenomenological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0;9(2):156-169. 

  7. Katsakou C, Rose D, Amos T, Bowers L, McCabe R, Oliver D, et al. Psychiatric patients' views on why their involuntary hospitalisation was right or wrong: A qualitative study.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2012;47(7):1169-1179. http://dx.doi.org/10.1007/s00127-011-0427-z 

  8. Jin J, Yoo JH. Psychiatric patients' experiences of being restrained: A phenomenological stud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3;22(4):349-358. http://dx.doi.org/10.12934/jkpmhn.2013.22.4.349 

  9. Alford BA, Correia CJ. Cognitive therapy of schizophrenia: Theory and empirical status. Behavior Therapy. 1994;25(1):17-33. http://dx.doi.org/10.1016/S0005-7894(05)80143-1 

  10. Ko SH. A comparative study on stress and coping method of psychiatric patients and non-psychiatric peoples. The Journal of Nurses Academic Society. 1979;9(1):23-30. 

  11. Eom TW, Lee KY. The relationship among social problem solving capability, social support and depress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2004;18:5-32. 

  12. Kim YY, Baek YM, Park HS. The effect of self-efficacy and problem solving capacity on rehabilitation outcome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8;17(3):322-331. 

  13. Lee KS, Joung YR, Ha EH. The effect of stress management program on patient with psychotic disorder.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2;8(1):37-57. 

  14. Kim EJ, Gwon ES, Lee HS, Lee SY, Park IH, Jung DN, et al. Effects of a stress-management program on stress coping methods, interpersonal relation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1;20(4):423-433. http://dx.doi.org/10.12934/jkpmhn.2011.20.4.423 

  15. Park HK, Koo JW, Roh YM, Lee KS, Park CY. The effectiveness of the stress-management programs on the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in the chronic schizophrenic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2003;42(1):21-27. 

  16. Hyun MY, Yu SJ, Lee JE. Effects of cognitive-behavioral program on the anxiety and quality of life in schizophrenic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4;13(3):315-322. 

  17. Roder V, Muller D. Stress management programme may reduce hospital admissions among people with schizophrenia. Evidence-Based Mental Health. 2003;6(2):52. http://dx.doi.org/10.1136/ebmh.6.2.52 

  18. Stein F, Nikolic S. Teaching stress management techniques to a schizophrenic patient. Th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1989;43(3):162-169. http://dx.doi.org/10.5014/ajot.43.3.162 

  19. Lazarus RS, Folkman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NY: Springer Publishing Company; 1984. 

  20. Han KS, Park YH, Lee EM, Bae MH, Kang HC. Effects of stress management program on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in community. The Korean Journal of Stress Research. 2009;17(4):333-340. 

  21. Heppner PP, Petersen CH. The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of a personal problem-solving inventor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1982;29(1):66-75. http://dx.doi.org/10.1037/0022-0167.29.1.66 

  22. Lee CS, Kim SJ, Kim AK, Kweon YR. The effect of integrated mental health care program on knowledge and practice related to drug and symptom management, and problem solving ability for schizophrenic patients and their famil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07;16(3):276-287. 

  23. The WHOQOL Group. Development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QOL-BREF quality of life assessment. Psychological Medicine. 1998;28(3):551-558. 

  24. Min SK, Lee CI, Kim KI, Suh SY, Kim DK.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HO quality of life scale abbreviated version (WHOQOLBREF).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2000;39 (3):571-579. 

  25. Park BS, Lim SO, Bae SW. A meta-analysis on the variables related with quality of life among persons with severe mental illness.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2013;41(3):63-92. 

  26. Elo S, Kyngas H.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proces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8;62(1):107-115. http://dx.doi.org/10.1111/j.1365-2648.2007.04569.x 

  27. Lee OS, Chung SH. A study on the hospitalization stress of surgical inpatients. The Chonbuk University Medical Journal. 1994;37:257-266. 

  28. Kim SY. A study on the effect of stress management program for persons with chronic mental disability[master's thesis]. Daegu: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11. p. 1-101. 

  29. Kang HK, Yoo JS. The influence of stress in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upon problem-solving ability: Centering on the buffer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Counseling. 2012;11(3):427-446. 

  30. Norman RM, Malla AK, McLean TS, McIntosh EM, Neufeld RW, Voruganti LP, et al. An evaluation of a stress management program for individuals with schizophrenia. Schizophrenia Research. 2002;58(2-3):293-303. http://dx.doi.org/10.1016/S0920-9964(01)00371-1 

  31. Lee OH. A study on the developing a program of problem solving training and its skill for schizophrenic patients[master's thesis]. Daegu: Taegu University; 2006. p. 1-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