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자녀의 공적개발원조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인력 양성을 위한 탐색적 연구
Exploratory Study of the Potential for Adolescent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Be Trained as Competent Personnel in Charge of ODA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20 no.3, 2016년, pp.95 - 113  

박미석 (숙명여자대학교 가족자원경영학과) ,  김경아 (숙명여자대학교 기초교양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otential for multi-cultural youths, given their innate bilingual and dual culture, to be trained as the competent ODA professionals. For the purpose of collecting information, we organized two different kinds of FGI in 2015. The first FGI was conducted with a group of 10...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적개발원조의 주요 동기는?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란 한 국가의 중앙 또는 지방정부 등 공공 기관이나 원조집행기관이 개발도상국의 경제개발과 복지향상을 위해 증여(상환조건 없이 제공되는 현금, 물자 및 서비스 등의 무상원조)나 양허성 차관(수원국이 지원받은 현금이나 물자에 대한 채무 부여)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의 주요 동기는 주로 정치 외교적, 경제적 그리고 인도주의적 측면에서 설명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세계화로 인한 상호의존성 또한 중요한 동기로 인식되고 있다(국무조정실, 2016). ODA는 1945년 UN 헌장에서 ‘경제, 사회, 문화 및 인권과 관련된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적 협력 증진’을 천명한 후, 1950년대 전 세계적으로 식민지 지배에서 벗어난 신생독립국들을 위한 긴급구호가 이루어지면서 본격화되었다.
공적개발원조란?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란 한 국가의 중앙 또는 지방정부 등 공공 기관이나 원조집행기관이 개발도상국의 경제개발과 복지향상을 위해 증여(상환조건 없이 제공되는 현금, 물자 및 서비스 등의 무상원조)나 양허성 차관(수원국이 지원받은 현금이나 물자에 대한 채무 부여)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의 주요 동기는 주로 정치 외교적, 경제적 그리고 인도주의적 측면에서 설명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세계화로 인한 상호의존성 또한 중요한 동기로 인식되고 있다(국무조정실, 2016).
ODA는 언제부터 본격화 되었나? 이의 주요 동기는 주로 정치 외교적, 경제적 그리고 인도주의적 측면에서 설명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세계화로 인한 상호의존성 또한 중요한 동기로 인식되고 있다(국무조정실, 2016). ODA는 1945년 UN 헌장에서 ‘경제, 사회, 문화 및 인권과 관련된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적 협력 증진’을 천명한 후, 1950년대 전 세계적으로 식민지 지배에서 벗어난 신생독립국들을 위한 긴급구호가 이루어지면서 본격화되었다. 이후 1990년대 냉전체제의 종식과 함께 공여국들은 원조를 통한 이념경쟁에서 벗어나 개발과 빈곤문제에 함께 하게 되었으며, 2000 년대 들어 MDGs를 거쳐 현재 SDGs가 수립되면서 더욱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강순원(2010). 다문화사회 세계시민교육의 평생 교육적 전망. 평생교육학연구, 16(2), 69-91. 

  2. 국무조정실(2016). Korea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http://www.odakorea.go.kr/ODAPage_2012/etc/Sitemap.jsp 

  3. 국제개발협력위원회(2014). 2014 대한민국 ODA 백서. 

  4. 국제개발협력위원회(2015). '15년 국제개발협력 종합시행계획. 

  5. 권율(2011). ODA 중기재정 운용방향. 2011-2015년 국가재정 운용계획-ODA분야 보고서-. 한국개발연구원, 3-43. 

  6. 김미옥(2007). 한국 사회복지학에서의 질적 연구 경험에 관한 연구: 엄격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59(4), 163-189. 

  7. 김민경(2015). 다문화청소년의 '진로발달 경험' 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청소년시설환경, 13(2), 121-134. 

  8. 김삼화(2011). 다문화청소년의 문화자원과 문화차이 지각에 관한 질적 연구. 가족과 상담, 1(2), 23-40. 

  9. 김승희(2011). 다문화가족 자녀의 정체성 문제에 관한 질적 연구. 가족과 문화, 23(3), 25-61. 

  10. 김철희(2011). 국제개발협력 인력양성 체계 구축 방안. 서울: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1. 남부현. 김옥남(2012). 여성결혼이민자의 학부모 역할에 대한 질적 연구-수도권의 고학력여성을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4(4), 113-142. 

  12. 남부현. 정천석(2010). 다문화가정 부모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방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여성결혼이주자 가정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3. 다누리 http://www.liveinkorea.kr/ 

  14. 박미숙. 이미정(2014).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갈등원인에 관한 연구. 교육문화연구, 20(3), 149-174. 

  15. 박은민(2013). 다문화 청소년의 생활경험 지각에 관한 질적 연구: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20(3), 1-21. 

  16. 박형수. 유진호. 박부연(2013). 한국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련성.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8(5), 771-777. 

  17. 안권순(2009). 다문화청소년의 건전 육성 방안. 청소년학연구, 16(7), 99-126. 

  18. 양계민. 조혜영. 이수정(2009). 미래한국사회 다문화 역량강화를 위한 아동 청소년 중장기정책방안 연구 I: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역량개발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9. 양미진. 이동훈. 고홍월. 김영하. 남현주(2012). 현장전문가가 지각한 다문화 청소년 상담의 특성에 대한 질적분석. 상담학연구, 13(3), 1181-1209. 

  20. 에너지경제(2016.3.9). 다문화가정 자녀, 맞춤형 지원한다 http://www.ekn.kr/news/article.html?no205684 

  21. 여성가족부 http://www.mogef.go.kr/ind ex.jsp 

  22. 여성가족부(2013). 2012년 전국 다문화가족 실태조사 연구. 

  23. 유진이. 김혜정(2009). 다문화청소년 프로그램의 운영현황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7(32), 17-32. 

  24. 유창준. 김건태. 임상호(2012).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복지 서비스에 관한 연구. 디지털정책연구, 10(5), 19-26. 

  25. 윤경식. 장일식(2015).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비행위험성 예측을 위한 탐색적 연구. 경찰학논총, 10(1), 147-178. 

  26. 이정우(2012). 청소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연구 동향 분석. 청소년학연구, 19(4), 293-314. 

  27. 장현식(2008). ODA 전문 인력 양성 및 활용방안. 2008년 인재정책 협력망 2차 정례토론회 발표자료. 

  28. 전경숙. 정기선. 이지혜(2007). 다문화 교육정책방안 연구. 서울: 경기도교육청. 

  29. 정지윤. 문성호(2011).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생활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청소년학연구, 18(8), 265-289. 

  30. 정하성. 유진이. 이장현(2007). 다문화청소년 이해론. 서울: 양서원. 

  31. 통계청(2015). 2014년 다문화 인구동태 통계. 

  32. 홍기원(2007). 다문화사회의 정책과제와 방향: 문화정책의 역할과 과제. 한국행정학회 동계학술대회자료집. 

  33. Arnot, M. & Pinson, H.(2005) The education of Asylum-Seeker and refugee children: A study of LEA and school values, Policies and Practices. Cambridge: Faculty of Education, University of Cambridge. 

  34. Braun, V. & Clarke, V.(2006).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3(2), 77-101. 

  35. Holstein, J. A., & Gubrium, J. F. (1995). The active interview. Thousand Oaks, CA: Sage. 

  36. KBS 뉴스(2014.10.27). 다문화 청소년 1%, 인재로 키워야 http://news.kbs.co.kr/news/view.do?refA&ncd2955394 

  37. Kleiber, P. B.(2004). Focus Groups: More than a method of qualitative inquiry. In deMarrais K. & Lapan, S. D.(Eds.), Foundations for research: methods of inquiry in education and the social sciences(pp. 87-102),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38. Krueger, R. A.(1998). Analyzing & reporting focus group results. Thousand Oaks, CA: Sage. 

  39. KTV국민방송(2015.8.12). 광복 70년 원조 받는 나라에서 주는 나라로 http://www.ktv.go.kr/content/view?content_id509440 

  40. Lincoln, Y. S. & Guba, E. G.(1981). Effective evaluation. San Francisco, CA: Jossey-Bass. 

  41. Marshall, S. K., Young, R. A., Stevens, A., Spence, W., Deyell, S., Easterbrook, A. & Brokenleg, M. (2011). Adolescent career development in urban-residing aboriginal families in Canada.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59(6), 539-558. 

  42. Padgett, D. K.(1998). Qualitative methods in social work research: Challenges and rewards. Thousand Oaks, CA: Sage. 

  43. Golbal Compact Network(2016). A GLOBAL COMPACT FOR SUSTAINABLE DEVELOPMENT. http://www.unglobal compact.kr/wp/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