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베이비붐세대 기혼여성의 부부생활이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f the impact of the married life of married women from the baby boom generation on the Happiness Index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20 no.3, 2016년, pp.115 - 129  

박미려 (충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소비자생활정보학과) ,  김영순 (충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소비자생활정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bout the happiness of married women from the baby boom generation. The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the married life of such women on the happiness index and to improve the happiness of married women by improving married life.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drawn from the N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베이비붐세대 기혼여성의 남편에 대한 인식, 동반여가활동, 부부갈등, 가사노동분담, 남편이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 등 부부 생활에서 경험하는 긴장요인들이 기혼여성의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더불어 베이비붐세대 기혼여성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이들의 행복지수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또한 베이비붐세대의 행복지수 뿐만 아니라 부부생활에는 경제적인 특성들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는 선행연구들의 기초연구에 따라, 후속연구에서는 경제적 요인까지 포함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또 본 연구에서는 기혼여성의 행복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부부생활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베이비붐세대 기혼여성의 행복지수를 높일 수 있는 변인의 다양성을 살펴보았다. 후속연구에서는 샌드위치 세대인 베이비붐세대의 특성을 고려하여 무촌 관계인 배우자 관련 변인뿐만이 아닌 1촌 관계의 직계혈족인 부모와 자녀 관련 변인들까지 포함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 베이비붐세대 부부생활특성이 베이비붐세대의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때, 여성의 취업 상태를 고려하고자 한다. 맞벌이여부는 베이비붐세대 기혼여성의 남편은 모두 취업상태에 있으며, 기혼여성의 경우 취업상태에 있는지, 미취업상태에 있는지에 따라 맞벌이와 남편외벌이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 본 연구는 베이비붐세대 기혼여성의 행복지수에 관한 연구로 부부생활이 행복지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부부생활 개선을 통한 기혼여성의 행복지수 향상시키는데 목적을 두었다.
  • 본 연구의 결론을 통한 베이비붐세대 기혼여성의 행복지수를 증진시키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결과 남편 외벌이 가정 기혼여성의 행복지수에는 남편과 함께하는 여가활동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베이비붐세대 기혼여성의 남편에 대한 인식, 동반여가활동, 부부갈등, 가사노동분담, 남편이 가족과 함께하는 시간 등 부부 생활에서 경험하는 긴장요인들이 기혼여성의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더불어 베이비붐세대 기혼여성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이들의 행복지수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베이비붐세대 기혼여성의 맞벌이여부별 부부생활특성의 차이는 어떠한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년기에 해당하는 한국의 베이비붐세대가 겪을 것으로 예상되는 것은? 더욱이 우리나라 기업의 평균 정년인 55세 이전에 이미 ‘명예퇴직’이나 ‘희망퇴직’ 등의 비자발적인 퇴직으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베이비붐세대가 적지 않다(방하남 외, 2010; 한경혜 외, 2011). 한국의 취업자들이 실제로 경제활동을 멈추고 노동시장에서 완전히 은퇴하는 연령이 평균 68세임을 고려해보면(방하남 신인철, 2011), 많은 베이비붐세대가 주된 직장으로부터 퇴직 후에도 불안정한 근로생애를 이어갈 것임을 예측할 수 있다(한경혜 손정연, 2015). 이미 2010년부터 은퇴가 시작된 베이비붐세대의 노년기 진입은 인구 구조를 변화시키며, 사회적으로 노인 부양 및 노인복지를 위한 시스템의 급격한 변화를 초래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양정선 외, 2011).
베이비붐이란? 일반적으로 베이비붐(baby boom)이란 어떤 특정한 시기에 출생되는 아이의 수가 폭증하는 현상으로 이 시기에 태어난 출생 코호트는 베이비붐세대(baby boomer)라 불려진다(최원석 이진숙, 2014). 베이비붐세대처럼 특정 인구세대를 별도로 구분하여 개념화하는 이유는 이들이 사회의 인구 구조에 특이한 특징을 야기하기 때문이다(이여봉, 2012).
특정 인구세대를 별도로 구분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베이비붐(baby boom)이란 어떤 특정한 시기에 출생되는 아이의 수가 폭증하는 현상으로 이 시기에 태어난 출생 코호트는 베이비붐세대(baby boomer)라 불려진다(최원석 이진숙, 2014). 베이비붐세대처럼 특정 인구세대를 별도로 구분하여 개념화하는 이유는 이들이 사회의 인구 구조에 특이한 특징을 야기하기 때문이다(이여봉, 2012). 베이비붐세대는 경제발전의 주축으로써 이전 세대와는 달리 고학력, 고수입, 고도성장 시대의 중심에 있던 세대로서 문화적, 사회적, 정치적 환경을 경험하였다(정호성 외,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고현선. 지금수(1995). 부부의 갈등대처유형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4), 71-83. 

  2. 곽인숙(2013). 노인과 예비노인의 가정건강성과 행복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51(1), 1-16. 

  3. 국민대통합위원회(2014). 한국인의 행복과 삶의 질. 국민통합 이슈모니터링, Vol.3. 

  4. 김경미. 류승아. 최인철(2012). 기혼 중년 남성의 직무 및 가족 스트레스와 자살구상.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1), 105-134. 

  5. 김경신 . 김오남(1996). 맞벌이 부부의 역할기대 및 역할갈등과 결혼만족도.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4(2), 1-18. 

  6. 김나비. 유영주(1999). 기혼 취업여성의 결혼생활 공평성 인지도와 결혼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학동기 자녀를 둔 취업 주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2), 81-106. 

  7. 김여진. 홍환(2009). 중고령 전업주부와 취업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21, 93-118. 

  8. 영범. 박준식(2004). 한국노인의 가족관계망과 삶의 만족도: 서울 지역 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4(1), 169-185. 

  9. 은경(2013). 부산 경남지역 베이비붐 세대 기혼여성의 사회관계 및 가족관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22(3), 437-453. 

  10. 김태현(2012). 노년학. 파주: 교문사. 

  11. 김향순. 김순덕. 구명이(2014). 기혼여성의 자아분화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부부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자원경영학회지, 18(3), 159-176. 

  12. 김호경(2011). 전업주부와 취업주부의 결혼만족도 영향요인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화자(1991).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부부의 의사소통 효율성과 결혼 만족도에 관한 연구: 초등학교, 중, 고등, 대학교의 학부모를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문정화. 김미혜(2015). 베이비부머 배우자 관계 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31(2), 105-132. 

  15. 방하남. 신동균. 이성균. 한준. 김지경. 신인철(2010). 한국 베이비붐세대 근로생애(work life)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16. 방하남. 신인철(2011). 강요된 선택: 생애 주된 일자리에서의 퇴직과 재취업의 동학분석. 한국사회학, 45(1), 165-177. 

  17. 박영신. 김의철(2009). 한국성인남녀가 행복에 이르는 길: 직업 성취, 자녀 성공, 정서적 지원과 자기 효능감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4(3), 467-495. 

  18. 박영신 김의철(2011). 중년기 성인 남녀의 행복 형성 요인: 전업주부, 취업주부와 그들의 남편을 중심으로. 인간발달연구, 18(1), 65-108. 

  19. 박창제(2008). 중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와 결정요인. 한국사회복지학, 60(3), 275-297. 

  20. 변화순. 김인순. 정수연. 백혜정(2010). 경제위기에 따른 취약계층의 변화실태와 사회안전망 평가 및 향후 대책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1. 서미경(2012). 중 고령기 여성의 재취업 경험과 생애적 의미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사회복지정책, 39(1), 199-226. 

  22. 신명숙. 옥경희(2014). 기혼여성의 취업여부에 따른 경제적 어려움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배우자의 가사분담과 부부공유활동의 매개효과. 한국가족복지학회지, 19(1), 5-25. 

  23. 신연희(2010). 베이비붐세대 실태에 관한 조사: 위기의 베이비붐세대, 사회적 해결책은 있는가?. 한국가정법률상담소. 

  24. 양정선. 고지영. 이상림. 이정화(2011). 경기도 베이비붐세대의 가족생활 및 노후준비.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연구보고서. 

  25. 오혜경 역(2011). 모나리자 미소의 법칙. Diener,E., & Biswas-Diener, R. (2008). Happiness: Unlocking the mysteries of psychological wealth. 파주: 21세기 북스. 

  26. 유제민(2012). 성과 배우자 생존여부에 따른 한국 노인의 행복결정 요인 연구. 청소년학연구, 19(3), 375-400. 

  27. 이선미 .전귀연(2005). 결혼초기 남편과 아내가 인지한 갈등대처방식의 상호작용패턴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3(7), 93-107. 

  28. 이여봉(2010). 부부역할과 여성의 결혼만족도: 연령범주별 분석. 한국인구학, 33(1), 103-131. 

  29. 이여봉(2012). 중년여성의 노후 준비에 관한 연구. 가족과 문화, 24(1), 31-70. 

  30. 오명자(2010). 은퇴한 노인의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도의 관계: 의사소통의 매개효과와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이은정(2003). 중년기의 부부관계만족도, 위기감 및 부부교육 요구도 연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주연. 정혜정(2013). 노년기 부부의 결혼적응과 정신건강간의 관계에서 성인 자녀관계의 매개효과: 자기 상대방효과 상호의존모형 적용.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1), 129-147. 

  33. 임나현. 하규수(2012). 노년기 부부의 성역할 태도와 의사소통이 결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1), 199-214. 

  34. 임선영. 김태현(2002). 노년기 부부 스트레스와 결혼 불안정성. 한국노년학, 21(3), 111-128 

  35. 장명숙. 박경숙(2012). 노인의 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보건사회연구, 32(2), 232-266. 

  36. 정순둘(2011). 타연령층과 비교한 베이비붐세대의 가족특성. 제7차 베이비붐세대 미래구상포럼. 

  37. 조성희 박소영(2010). 여성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9, 149-174. 

  38. 정지범(2011). 국민 행복결정 요인 분석 및 제도적 관리 방안 연구. 한국행정연구원. 

  39. 정호성. 강성원. 문외솔. 박준. 손민중. 이찬영(2010). 베이비붐세대 은퇴의 파급효과와 대응방안. 삼성경제연구소. 

  40. 조유리(2000). 부부갈등 및 갈등대처행동과 결혼만족도.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1. 최원석. 이진숙(2014). 베이비부머세대 여성의 취업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34(1), 299-327. 

  42. 통계청(2014). 2014 고령자 통계. 

  43. 한경혜. 손정연(2015). 일 가족 상호성의 관점에서 본 베이비부머의 직무경험, 부부간 긴장과 행복감. 한국인구학, 38(4), 32-62. 

  44. 한경혜. 최현자. 은기수. 이정화. 주소현. 김주현(2011). 한국 베이비부머들의 삶의 지평. 한국 베이비부머 패널 연구 1차 년도 보고서. 서울대학교 노화고령사회연구소 & MetLife Korea Foundation. 

  45. 한남제(1987). 도시부부의 갈등에 관한 연구. 여성문제연구, 15, 165-180. 

  46. Johnson, H. A., Zabriskie. R. B., & Hill, B.(2006). The contribution of couple leisure involvement, leisure time, and leisure satisfaction to marital satisfaction. Marriage and Family Review, 40(1). 69-91. 

  47. Karmey, B. R. & Bradbury, T. N.(1995). The longitudinal course of marital quality and stability: A review of theory, method, and research. Psychological Bulletin, 118(1), 3-34. 

  48. Kingdon, G. & Knight, J.(2006). Subjective well-being poverty versus income poverty and capabilities poverty?. Journal of Development Studies, 42(7), 1199-1224. 

  49. Layared. R.(2005). Happiness: Lessons from a new science. New York: Penguin. 

  50. Selim, S.(2008).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in turkey. Social Indicators Research, 88(3), 531-56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