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톳가루와 보릿가루 첨가가 쌀가루 증편의 이화학적·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ng Barley Flour and Hizikia fusiformis Powder o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6 no.4, 2016년, pp.370 - 379  

이민우 (군산대학교 식품영양학전공) ,  이인선 (군산대학교 식품영양학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prepared with various levels of barley flour and Hizikia fusiformis powder. The pH, volume, and spreadability of the dough as well as the moisture content, color, texture, and sensory evaluation of Jeungpyun were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보리와 톳의 활용도를 높이고, 현대인들의 건강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보릿가루와 톳가루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증편을 제조하였으며, 반죽 발효과정 중의 pH와 부피를 측정하고, 발효가 끝난 반죽의 퍼짐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완성된 증편의 수분함량, 색도, 기계적 품질 특성,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기능성 증편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보리와 톳의 활용도를 높이고, 현대인들의 건강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보릿가루와 톳가루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증편을 제조하였으며, 반죽 발효과정 중의 pH와 부피를 측정하고, 발효가 끝난 반죽의 퍼짐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완성된 증편의 수분함량, 색도, 기계적 품질 특성,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기능성 증편 개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증편은 어떤 음식인가? 떡은 청동기 시대에 농경이 시작되면서 등장한 우리나라 고유의 음식이며(Lee JS 1998), 과거에는 시·절식, 통과의례 등 특별한 날에 먹는 음식에서 최근에는 식사대용 간편식으로서의 이용가치가 높은 식품이다. 떡의 종류는 190여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중 증편은 습식 제분한 쌀가루에 탁주를 첨가하고 발효시켜 만드는 떡이다(Lee HE 등 2004). 일반적인 떡과 달리 해면상의 내부구조를 하고 있어서 소화성이 좋고(Moon HJ 등 1999), 쉽게 굳지 않으며 저장성이 우수하다고 보고되었다(Jung JY 등 2004).
해조류 중 톳의 영양 성분은 무엇인가? 해조류 중 톳(Hizikia fusiformis) 역시 식이섬유 함량이 높으며, 그 외에도 칼륨․마그네슘․철분․칼슘 등의 무기질과 비타민 B1·B2·C, 니아신, 베타카로틴 등이 풍부하여 현대인의 식사에서 부족하기 쉬운 영양소를 보충하는데 좋은 식품자원으로 알려져 있다(Choi KS & Oh YJ 2008). 또한 항산화성, 항균성, 혈청지질 개선, 항 혈액 응고, 항 염증성 등에 대한 기능성도 보고되었다(Pyun JW 등 2012).
해조류 중 톳의 효능은 무엇인가? 해조류 중 톳(Hizikia fusiformis) 역시 식이섬유 함량이 높으며, 그 외에도 칼륨․마그네슘․철분․칼슘 등의 무기질과 비타민 B1·B2·C, 니아신, 베타카로틴 등이 풍부하여 현대인의 식사에서 부족하기 쉬운 영양소를 보충하는데 좋은 식품자원으로 알려져 있다(Choi KS & Oh YJ 2008). 또한 항산화성, 항균성, 혈청지질 개선, 항 혈액 응고, 항 염증성 등에 대한 기능성도 보고되었다(Pyun JW 등 2012). 현재 우리나라의 톳 소비량은 생산량에 비해 낮은 수준이며, 이에 톳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Kim HS 등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ho KR, Kim MR, Kim OS, Son JW, Song MR, Choi HS, Choi HY (2013) Food Materials Science. Powerbook Press, Korea. p 19. 

  2. Cho MK, Lee WJ (1996) Preparation of high-fiber bread with barley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28(4): 702-706. 

  3. Choi JJ, Seo BH (2012) A study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eon with added Rubus coreanus Miquel.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1): 52-61. 

  4. Choi KS, Oh YJ (2008) Effect of steam-dried Hizikia fusiformis powder on the rheological and sensory profile of bread. Korean J Culinary Research 14(1): 11-20. 

  5. Do JR, Kim EM, Koo JG, Jo KS (1997) Dietary fiber contents of marine algae and extraction condition of the fiber. J Korean Fish Soc 30(2): 291-296. 

  6. Ha DM, Park YK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added with domestic germinated barley. Korean J Food Preserv 18(2): 131-142. 

  7. Ha DM, Park YK, Kang JH, Kim MH (2012) Dough properti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s added with barley flour. Korean J Food Preserv 19(3): 344-353. 

  8. Jeong SY, Park MJ, Lee SY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Jeung-pyun. Korean J Food Culture 26(1): 86-93. 

  9. Jung HC (2012) Study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pan bread with various barley powder. Ph D Dissertation Sejong University, Seoul. pp 109-112. 

  10. Jung JY, Choi MH, Hwang JH, Chung HJ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prepared with paprika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5): 869-874. 

  11. Kim HS, Shin ES, Lyu ES (2010) Optimization of cookies prepared with Hizikia fusiformis powder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Cook Sci 26(5): 627-635. 

  12. Kim HY, Kim MR, Koh BK (2004) Food Quality Evaluation. Hyoil Press, Korea. pp 190-191. 

  13. Kim HY, Koh BK (2012) Food Preparation Science 2nd. Hyoil Press, Korea. pp 183-184. 

  14. Kim SH (2011) Development of low-fat sausage using barley paste and transglutaminase.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pp 1-58. 

  15. Kim WJ (2013) Quality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Garaedduk prepared with stabilized rice bran and rice flours by semi-dry milling.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pp 23-24. 

  16. Kim YK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 pyun with different amounts of barley flour. MS Thesis Sunchon National University, Jeonnam. pp 27-37. 

  17. Ko YS, Sim KH (2014)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Jeung-pyun added with Ju-bak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4(2): 190-200. 

  18. Lee GS, Park G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pyun prepared with different ratios of Polygonum multiflorum Thunb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7(4): 35-46. 

  19. Lee HE, Lee AY, Park JY, Woo KJ, Hahn YS (2004) Effect of rice protein on the network structure of Jeung-pyun. Korean J Food Cook Sci 20(4): 396-402. 

  20. Lee JS (1998)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consumption pattern and preference of Korean rice cake. Korean J Soc Food Sci 14(2): 133-139. 

  21. Lee MW, Lee IS (2016)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prepared with brown rice and sea tangle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32(2): 178-187. 

  22. Lee YJ, Kim EH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added with Hizikia fusiformis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27(6): 723-733. 

  23. Moon HJ, Chang HG, Mok CY (1999) Selection of lactic starter for the improvement of Jeungpyun manufacturing proces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5): 1241-1246. 

  24. Na HN, Yoon S, Park HW, Oh HS (1997) Effect of soy milk and sugar addition to Jeungpyun on physicochemical property of Jeungpyun batters and textural property of Jeungpyun. Korean J Soc Food Sci 13(4): 484-491. 

  25. Park GS, Park EJ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added Paecilomyces japonica powder according to fermentation ti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10): 1703-1708. 

  26. Park JO, Jang HW (2009) Effects of Sasa coreana Nakai on the lipid compositions of serum in high cholesterol diet rats. J Life Sci 19(8): 1145-1151. 

  27. Park MJ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with brown rice and barley flour. Korean J Food Cook Sci 23(5): 720-730. 

  28. Pyun JW, Hyun YH, Nam HW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olpyun with Hizikia fusiforme powder. Korean J Food Nutr 25(1): 196-204. 

  29.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1) 8th Revision Food Composition Table. Kwangmoongak Press, Korea. pp 28-410. 

  30. Ryu JH (2012)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barley-based menu and meal for diabetes patients. M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buk. pp 1-97. 

  31. Seo JS, Park ID (2014) Quality properties of barley Kochujang added with germinated barley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9(2): 187-1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