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건·의료 관련직 근로자의 근로환경과 건강상태가 질병결근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Working Conditions and Health Status on Absence due to Sickness in Health and Medical related Workers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5 no.3, 2016년, pp.216 - 226  

이윤정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  김현리 (충남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working conditions and health status on absence due to sickness in health and medical related workers. Methods: Data from the Third Korean Working Condition Survey was used. Study participants included 929 workers who have been working in the me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국 규모의 표본 자료인 근로환경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최근 관심사 중의 한 분야인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산업에 종사하는 보건 · 의료 관련직 근로자의 질병결근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를 분석하여 근로자들의 건강과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질병으로 인한 근로자의 결근의 영향요인은 무엇인가? 기존의 국내 보건 ․ 의료 관련직 근로자에 대한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들은 많았지만, 사회경제적 영향에 대한 연구는 적은 편이며, 사회경제적 영향중 결근은 근무를 해야 하는 시간에 근로자가 출석하지 아니하는 것으로 정의되고(Kim & Garman, 2003), 근로자의 건강 상태와 기업의 생산성 등을 파악하는데 있어 결근은 간접지표로 이용되며, 결근의 여러 형태 중, 질병으로 인한 근로자의 결근은 육체적, 정신적, 사회적 작용으로 인한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현상으로 정의하고 있다(Marmot, Feeney, Shipley, North, & Syme, 1995). 질병결근의 영향요인은 음주와 흡연, 진동, 고온, 저온, 간접흡연, 감염의 직업성 유해인자, 고용형태, 장시간 근로, 직무자율성과 직무요구도, 성희롱과 신체적 폭력, 사회적 지지, 불안, 건강문제의 경험, 주관적 건강상태 등과 관련되었음을 밝히고 있다(Breslin et al., 2008; Cha, Koh, Chang, Choi, & Kim, 1999; Kim, 2012; Kim, 2003; Kim et al.
근로환경이란 무엇인가? 근로환경은 일반적으로 고용형태, 업종, 종업원 수 등 노동력 구조나 장시간 근무, 교대근무 등 작업형태, 조직의 의사소통 등의 구조적 요인과 근로자가 수행하는 업무의 특성에 의해 좌우되는 물리적, 심리사회적 요인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Laaksonen et al., 2010), 근로환경에 대한 정의는 연구자들마다 다양하게 정의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근로환경이란 근로자를 에워싸고 있는 환경 즉, 물리적 환경과 심리적인 환경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근로자는 상당한 시간을 직장에서 일을 하며 보내고 있어 근로자의 삶의 질 유지, 증진이라는 점에서 근로자를 에워싸고 있는 근로환경의 건강한 조성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근로환경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근로환경은 일반적으로 고용형태, 업종, 종업원 수 등 노동력 구조나 장시간 근무, 교대근무 등 작업형태, 조직의 의사소통 등의 구조적 요인과 근로자가 수행하는 업무의 특성에 의해 좌우되는 물리적, 심리사회적 요인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Laaksonen et al., 2010), 근로환경에 대한 정의는 연구자들마다 다양하게 정의하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근로환경이란 근로자를 에워싸고 있는 환경 즉, 물리적 환경과 심리적인 환경을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llebeck, P., & Mastekaasa, A. (2004). Swedish council on technology assessment in health care (SBU). Chapter 5. risk factors for sick leave-general studies. Scandinavian Journal of Public Health, 32(Suppl 63), 49-108. http://dx.doi.org/10.1080/14034950410021853 

  2. Ando, S., Ono, Y., Shimaoka, M., Hiruta, S., Hattori, Y., Hori, F., et al. (2000). Associations of self estimated workloads with musculoskeletal symptoms among hospital nurses.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57(3), 211-216. http://dx.doi.org/10.1136/oem.57.3.211 

  3. Breslin, F. C., Tompa, E., Zhao, R., Pole, JD., Amick Iii, BC., Smith, PM., et al.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tenure and work disability absence among adults: a prospective study.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40(1), 368-375. http://dx.doi.org/10.1016/j.aap.2007.07.007 

  4. Cha, B. S., Koh, S. B., Chang, S. J., Choi, H. R., & Kim, H. S. (1999). Effects of job strains on absenteeism from work. Kore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32(4), 505-512. 

  5. Choi, E. S., Jung, H. S., Kim, S. H., & Park, H. (2010). The influence of workplace violence on work-related anxiety and depression experience among Korean employe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5), 650-661. http://dx.doi.org/10.4040/jkan.2010.40.5.650 

  6. Hong, E. Y., & Kim, S. D. (2012). Health status and affecting factors related to job among Korean women employees. Journal of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3(9), 4107-4118. http://dx.doi.org/10.5762/KAIS.2012.13.9.4107 

  7. Ishizaki, M., Kawakami, N., Honda, R., Nakagawa, H., Morikawa, Y., & Yamada, Y. Japan Work Stress and Health Cohort Study Group (2006). Psychosocial work characteristics and sickness absence in Japanese employees. International Archives of Occupational & Environmental Health, 79(8), 640-646. http://dx.doi.org/10.1007/s00420-006-0095-6 

  8. Jung, H. S., Kim, S. Y., Lee, B. K., Choi, E. S., Yi, Y. J., Kal, W. M., et al. (2012). Occupational health guidelines for nurses of medical center. Incheon: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9. Jung, Y. H., & Seo, C. S. (2005). The analysis of propagation effects of the medical service industry: an input-output study. industrial economic study. Korean Industrial Economic Association, 18(5), 2041-2065. 

  10. Kim, H. Y.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problems and working environment of clinical nurses. master's thesis, Han Yang University, Seoul. 

  11. Kim, J. H., & Chang, S. J. (2012). The relation between job stress and health problem according to working condition. Health and Social Science, Korean Association of Health and Medical Sociology, 31, 5-24. 

  12. Kim, J. H., & Park, S. A. (2002). The relationship between coping strategies and a nurs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staf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8(1), 97-105. 

  13. Kim, J. H., Park, S. G., Kim, D. H., Kim, H. C., Leem, J. H., Lee, E. C., et al. (2009). Absence and early leave status due to job stress and its relationship to job stress factors according to the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 among workers in small and medium scale industry.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21(2), 107-114. 

  14. Kim, J., & Garman, E. T. (2003). Financial stress and absenteeism: an empirically derived model. Journal of Financial Counseling and Planning, 14(1), 1-31. 

  15. Kim, S. K. (2012). Factors affecting sickness absence among workers in korea.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Gyeongsangnam-do. 

  16. Kim, S. W. (2003). Health related factors on workers' absenteeism.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17. Kim, Y. S., Kwon, O. J., Kim, K. S., & Koo, K. H. (2012).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low back pain and working conditions among Korean employe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22(2), 107-118. 

  18. Korea Occupational Safety Health Agency. (2014). Jikimi. Retrieved June 1, 2016, Available from: http://jikimi.kosha.or.kr/guide/HJK0401_R1.do 

  19. Kwon, O. J. (2011). Report on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in 2011. Inche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0. Laaksonen, M., Pitkaniemi, J., Rahkonen, O., & Lahelma, E. (2010). Work arrangements, physical working conditions, and psychosocial working conditions as risk factors for sickness absence: bayesian analysis of prospective data. Annals of Epidemiology, 20(5), 332-338. http://dx.doi.org/10.1016/j.annepidem.2010.02.004 

  21. Marmot, M., Feeney, A., Shipley, M., North, F., & Syme, S. L. (1995). Sickness absence as a measure of health status and functioning: from the UK Whitehall II study.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49(2), 124-130. http://dx.doi.org/10.1136/jech.49.2.124 

  22. Niedhammer, I., Chastang, J. F., Sultan-Taieb, H., Vermeylen, G., & Parent-Thirion, A. (2013). Psychosocial work factors and sickness absence in 31 countries in Europe. The European Journal of Public Health, 23(4), 622-629. http://dx.doi.org/10.1093/eurpub/cks124 

  23. Oh, S. W., Jung, K. T., & Park, J. Y. (2007). The association of health risks with absenteeism and presenteeism.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9(4), 304-314. 

  24. Parent-Thirion, A., Fernandes Macias, E., & Hurley, J. (2007). Fourth Europ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European Foundation for the Improvement of Living and Working Conditions, Retrieved June 1, 2016, from: http://www.eurofound.europa.eu/ 2007 

  25. Statistics Korea. (2013). News. Retrieved June 1, 2016,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31085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