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Serotonin 처리 농도에 따른 굴, Crassostrea gigas의 산란유발 효과
Effects of serotonin concentration on spawning induction in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원문보기

한국패류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v.32 no.2, 2016년, pp.67 - 71  

김기태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 ,  박미선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 ,  임한규 (국립목포대학교 해양수산자원학과)

초록

굴의 종패생산 시 수정란을 대량으로 얻기 위하여 성숙한 굴 어미를 대상으로 신경전달 물질인 serotonin의 최적 처리 농도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Serotonin 주사 후 방란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7.6분부터 27분까지 였으며, 농도가 낮아짐에 따라 소요시간은 유의하게 길어졌다 (P < 0.05). 방정시간 역시 방란시간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Serotonin 농도에 따른 반응률 역시 처리 농도가 높을수록 반응률이 높아졌다. Serotonin 처리 후 산란량을 조사한 결과, $10^{-2}M$ 에서 2,664천개로 $10^{-5}M$ 농도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으나 (P < 0.05), $10^{-4}$$10^{-3}M$ 처리구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P > 0.05). Serotonin 처리 후 산란된 알의 GVBD율, 수정률 및 부화율은 농도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obtain a large number of fertilized eggs for seedling production, experiment was carried out examine effects of serotonin on spawning of the Pacific oyster Crassostrea gigas. The shorter response time to initial spawning in case of serotonin injection showed, the higher serotonin inject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비록 굴은 생식소 부위에서 외과적으로 적출된 알도 수정이 가능하지만 산란에 의해 방출된 알이 적출된 알과 비교하여 수정 시 정상 발생률이 높고, 난 발생 속도가 일정하여 높은 수정률과 부화율을 얻을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Stephano and Gould, 1988). 따라서 본 연구는 굴의 인공 종패생산 시 질 좋은 수정란을 대량으로 얻기 위하여 성숙한 굴 어미를 대상으로 신경전달 물질인 serotonin의 최적 산란유발 농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굴의 수정란을 얻기 위하여 신경전달 물질인 serotonin 주사 후 방란, 방정까지 소요되는 시간의 범위는 어떠한가? 굴의 종패생산 시 수정란을 대량으로 얻기 위하여 성숙한 굴 어미를 대상으로 신경전달 물질인 serotonin의 최적 처리 농도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Serotonin 주사 후 방란까지 소요되는 시간은 7.6분부터 27분까지 였으며, 농도가 낮아짐에 따라 소요시간은 유의하게 길어졌다 (P < 0.05).
패류의 산란유발 자극의 종류는? 이매패류에 있어 산란은 내부와 외부의 요인에 의해 조절된다. 지금까지 패류의 산란유발 자극에는 물리적 자극, 화학적자극 및 생물적 자극 등이 보고되어 있으며, 현장에서 산란유발 시 이러한 방법들은 단독 또는 병행하여 적용되고 있다(Loosanoff and Davis, 1963; Kikuchi and Uki, 1974; Matsutani and Nomura, 1982; Gibbons and Castagona, 1984; Lee, 2001; Chang, 2015). 그러나 물리적 자극은 서식지의 환경이나 모패의 사육조건에 따라 유발률 및 산란까지 소요되는 시간에서 큰 차이를 보여 계획적인 채란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패류의 산란유발 자극 중 물리적 자극의 단점은? 지금까지 패류의 산란유발 자극에는 물리적 자극, 화학적자극 및 생물적 자극 등이 보고되어 있으며, 현장에서 산란유발 시 이러한 방법들은 단독 또는 병행하여 적용되고 있다(Loosanoff and Davis, 1963; Kikuchi and Uki, 1974; Matsutani and Nomura, 1982; Gibbons and Castagona, 1984; Lee, 2001; Chang, 2015). 그러나 물리적 자극은 서식지의 환경이나 모패의 사육조건에 따라 유발률 및 산란까지 소요되는 시간에서 큰 차이를 보여 계획적인 채란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H2O2나 NH4OH 등 화학물질 침지자극은 화학물질의 독성으로 인해 수정 및 부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많다 (Lee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lcazar, S.N., Solis, E.P., and Alcala, A.C. (1987) Serotonin-induced spawning and larval rearing of the China clam, Hippopus porcellanus rosewater (Bivalvia: Tridacnidae). Aquaculture, 66: 359-368. 

  2. Braley, R.D. 1985. Serotonin-induced spawning in giant clams (Bivalvia: Tridacnidae). Aquaculture, 47: 321-325. 

  3. Chang, Y.J. (2015) Overview of Physio-Aquaculture. pp. 93-105. Aqua Info Company, Seoul. [in Korean] 

  4. Fong, P.P., Wall, D.M., and Ram, J.L. (1993) Characterization of serotonin receptors in the regulation of spawning in the zebra mussel Dreissena polymorpha (Pallas). J. Exp. Zool, 267: 475-482. 

  5. Fong, P.P., Duncan, J., and Ram, J.L. (1994) Inhibition and sex specific induction of spawning by serotonergic ligands in the zebra mussel Dreissena polymorpha (Pallas). Experientia, 50: 506-509. 

  6. Fong, P.P., Deguchi, R., and Kyozuka, K. (1996) Serotonergic ligands induce spawning but not oocyte maturation in the bivalve Mactra chinesis from central J. Biol. Bull., 191: 27-32. 

  7. Galtsoff, P. S. (1938). Physiology of reproduction of Ostrea virginica I. Spawning reaction of the female and male. Biol. Bull. 74: 461. 

  8. Gibbons, M.C., and Castagna, M. (1984) Serotonin as an inducer of spawning in six bivalve species. Aquaculture, 40: 189-191. 

  9. Kang, K.H., Baik, K.K., Chang, Y.J., and Yoo, S.K. (1996) Spawning induction according to stimulating treatment and spat rearing of scallop, Patinopecten yessoensis. Kor. J. Malacol., 12: 99-104. [in Korean] 

  10. Kikuchi, S., and Uki. N. (1974) Technical study on artificial spawning of abalone, genus Haliotis I. Relation between water temperature and advancing sexual maturity of Haliotis discus hannai. Bull. Tohoku Reg. Fish. Res. Lab, 33: 69-78. 

  11. Lee, J.Y. (2001) Reproductive cycle and seedling production of surf clam, Spisula sachalinensis. Ph.D. thesis, pp. 142. Pukyong National University, Korea. [in Korean] 

  12. Lee, J.Y., Chang, Y.J., and Park, Y.J. (1996) Spawning induction and egg development of surf clam, Spisula sachalinensis. J. Aquacult., 9: 419-427. [in Korean] 

  13. Lee, J.Y., Park, Y.J., and Chang, Y.J. (1999). Gonadal development reproductive cycle of Gomphina melanaegis (Bivalve; Veneridae). J. Korean Fish. Soc., 32: 198-203. [in Korean] 

  14. Loosanoff, V.L., and Davis, H.C. (1963) Rearing of bivalve molluscs. Advanced Marine Biology, 1: 1-136. 

  15. Matsutani, T., and Nomura, T. (1982) Induction of spawning by serotonin in the scallop Patinopecten yessoensis (Jay). Mar. Biol. Lett., 3: 353-358. 

  16. O'Connor, W.A., and Heasman, M.P. (1995) Spawning induction and fertilisation in the doughboy scallop Chlamys (Mimachlamys) asperrima. Aquaculture, 136: 117-129. 

  17. Osada, M., Mori, K., and Nomura, T. (1992). In vitro effects of estrogen and serotonin on release of eggs from the ovary of the scallop. Nippon Suisan Gakkaishi., 58: 223-227. 

  18. Park, K.Y., Kim, S.K., Seo, H.C., and Ma, C.W. (2005) Spawning and larval development of the jicon scallop, Chlamys farreri. J. Aquacult., 18: 1-6. [in Korean] 

  19. Stephano, J.L., and Gould, M. (1988). Avoiding polyspermy in the oyster (Crassostrea gigas). Aquaculture, 73: 295-307 

  20. Velasco, L.A., Barros, J., and Acosta, E. (2007) Spawning induction and early development of the Caribbean scallops Argopecten nucleus and Nodipecten nodosus. Aquaculture, 266: 153-165. 

  21. Velez, A., Alifa, E., and Aguaje, O. (1990) Induction of spawning by temperature and serotonin in the hermaphroditic scallop Pecten ziczac. Aquaculture, 84: 307-313. 

  22. Yoo, S.K., and Kang, K.H. (1996) Spawning induction according to stimulating treatment and influence of water temperature on egg development and larvae rearing of oyster, Crassostrea gigas. Korean J. Malacol., 12: 91-97.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