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사증후군 대상자의 폐쇄성수면무호흡증 위험성 관련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Risk in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v.18 no.3, 2016년, pp.135 - 143  

김재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세브란스 심장혈관병원) ,  추상희 (연세대학교 임상간호과학과.김모임 간호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OSA) risk in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MS). Methods: Patients with MS between 30 and 74 years of age were recruited in an outpatient clinic of a cardiovascular center in Seoul, South Korea. M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OSA와 대사증후군과의 관련성에 대한 분석만 있었고, 대사증후군환자를 대상으로 OSA 위험성의 관련요인을 분석한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사증후군 대상자에서 OSA 위험요인을 일반적 특성, 임상적 특성, 생활습관을 포함하는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심혈관질환의 위험성을 낮추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 대상자에서 고위험 OSA의 위험성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여 대사증후군 대상자에서 OSA을 예방하기위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 대상자에서 고위험 OSA의 위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횡단적조사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OSA가 대사증후군에서 흔히 관찰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대사증후군은 고혈압, 이상지혈증, 공복혈당 장애, 복부비만이 한 사람에게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심혈관질환의 대표적인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대사증후군에서 OSA가 흔히 관찰되는 이유는 반복적인 무호흡과 각성이 혈압, 인슐린 저항성, 콜레스테롤을 높이고, 비만을 촉진시키기 때문이다. 수면 중 기도가 막히게 되면 대사활동을 보존하기 위해 심박동수는 느려지고 혈관은 수축하게 된다.
OSA의 국내 유병률은 어떠한가? OSA의 국내 유병률은 남성 4.5%, 여성 3.2%로 보고되었으나, 본인이 지각하지 못하는 경우를 감안하면 실제로는 중년 인구의 20.0-30.0%가 될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4], 대사증후군환자의 경우 OSA의 유병률은 50.0-60.0%로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대사증후군은 고혈압, 이상지혈증, 공복혈당 장애, 복부비만이 한 사람에게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심혈관질환의 대표적인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은 어떤 증상을 유발하는가? 폐쇄성수면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 OSA)은 수면 중 반복적으로 상기도를 폐쇄시켜 일시적인 무호흡 및 저호흡을 일으키고 이로 인해 혈중 산소농도가 낮아지게 된다. 무호흡이 나타날 때마다 뇌에서는 호흡을 회복하기 위해 각성이 일어나게 되며 밤 동안의 잦은 각성은 수면분열을 초래하여 낮에 졸림증, 피로, 집중력 저하, 두통, 인지기능저하 등 다양한 문제를 일으킨다. 또한 반복적인 ‘수면-각성 주기’는 3, 4단계의 깊은 수면과 렘수면으로의 이행을 방해하여 수면의 질을 떨어뜨리고 이는 낮 시간 동안 운전이나 작업 중 사고 위험성을 증가시킨다[1,2]. 그러나 OSA의 가장 큰 문제는 고혈압, 심근경색증, 부정맥, 심부전, 뇌졸중 등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높여 사망률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OSA와 심혈관질환의 관계를 체계적 문헌고찰 한 최근 연구에서는 OSA환자에서 고혈압이 발생할 위험성이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Yoon DW, Kim JK, Shin C. Epidemiology and Etiology of Obstructive Sleep Apnea. Korean Journal of Medicine. 2015;89(1):6-12. 

  2. Franklin KA, Lindberg E. Obstructive sleep apnea is a common disorder in the population-a review on the epidemiology of sleep apnea. Journal of Thoracic Disease. 2015;7(8):1311-1322. http://dx.doi.org/10.3978/j.issn.2072-1439.2015.06.11 

  3. Kostopoulos K, Alhanatis E, Pampoukas K, Georgiopoulos G, Zourla A, Panoutsopoulos A, et al. CPAP therapy induces favorable short-term changes in epicardial fat thickness and vascular and metabolic markers in apparently healthy subjec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hypopnea syndrome (OSAHS). Sleep and Breathing. 2016;20(2):483-493. http://dx.doi.org/10.1007/s11325-015-1236-5 

  4. Kim JK, In KH, Kim JH, You SH, Kang KO, Shim JJ, et al. Prevalence of sleep-disordered. breathing in middle-aged Korean men and women.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2004;170(1):1108-1113. 

  5. Drager LF, Togeiro SM, Polotsky VY, Lorenzi-Filho G. Obstructive sleep apnea: a cardiometabolic risk in obesity and the metabolic syndrome.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 2013;62(7):569-576. http://dx.doi.org/10.1016/j.jacc.2013.05.045 

  6. Suh YS, Kim DH, An BH, Cho YW.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male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2006;6(3):177-185. 

  7. Barreiro B, Garcia L, Lozano L, Almagro P, Quintana S, Alsina M, et al. Obstructive sleep apnea and metabolic syndrome in spanish population. Open Respiratory Medicine Journal. 2013;(18)7:71-76. http://dx.doi.org/10.2174/1874306401307010071 

  8. Xu S, Wan Y, Xu M, Ming J, Xing Y, An F,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obstructive sleep apnea and metabolic syndrom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ioMed Central Pulmonary Medicine. 2015;15(105). http://dx.doi.org/10.1186/s12890-015-0102-3 

  9. Rogers A, Ravene J, Donat M, Sexias A, Ogedegbe C, et al. Predictors of Obstructive Sleep Apnea Risk among Blacks with Metabolic Syndrome. Journal of Obesity and Overweight. 2015;1(1):1104-1112. 

  10. Aykan AC, Gul I, Kalaycioglu E, Gokdeniz T, Hatem E, Mentese U, et al. Is metabolic syndrome related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severity and complexity: An observational study about IDF and AHA/NHLBI metabolic syndrome definitions. Cardiology Journal. 2014;21(3):245-251. http://dx.doi.org/10.5603/CJ.a2013.0126 

  11. Lee S, Park HS, Kim SM, Kwon HS, Kim DY, Kim DJ, et al. Cutoff points of waist circumference for defining abdominal obesity in the Korean population. Korean Journal of Obesity. 2006;15(1):1-9. 

  12. Nikolaus C, Netzer MD, Riccardo A, Stoohs MD, Cordula M. Using the Berlin Questionnaire To Identify Patients at Risk for the Sleep Apnea Syndrome.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999;131(7):485-491. 

  13. Kang KH, Park KS, Kim JE, Kim JW, Kim YT, Kim JS. et al. Usefulness of the Berlin Questionnaire to identify patientsat high risk for obstructive sleep apnea: a population-based door-to-door study. Sleep Breath. 2013;17(8):803-810. http://dx.doi.org/10.1007/s11325-012-0767-2 

  14. Sohn SI, Kim DH, Lee MY, Cho YW.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Sleep and Breathing. 2012;16(3):803-812. http://dx.doi.org/10.1007/s11325-011-0579-9 

  15. D'Agostino RB, Vasan RS, Pencina MJ. General Cardiovascular Risk Profile for Use in Primary Care. The Framingham Heart Study. Circulation. 2008;117(6):743-753. http://dx.doi.org/10.1161/CIRCULATIONAHA.107.699579 

  16. Kang SW.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Lifestyle Evaluation Tool for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0;17(4):487-497. 

  17. Jackson JH, Sobolski J, Krienke R, Wong KS, Frech-Tamas F, Nightengale B. Blood pressure control and pharmacotherapy patterns in the United States before and after the release of the Joint National Committee on the Prevention, Detec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High Blood Pressure (JNC 7) guidelines. Journal of the American Board Family Medicine. 2008;21(6):512-21. http://dx.doi.org/10.3122/journal.pone.0125615 

  18. Park SY, Park YK, Cho KH, Choi HJ, Han JH, Han KD, et al. Normal range albuminuria and metabolic syndrome in South Korea: the 2011-2012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 Peer-Reviewed, Open Access Journal. 2015;10(5):e0125615.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125615 

  19. Peppard PE, Young T, Barnet JH, Palta M, Hagen EW, Hla KM. Increased prevalence of sleep-disordered breathing in adults.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2013;177(9):1006-1014. http://dx.doi.org/10.1093/aje/kws342 

  20. Lee JY, Kim SJ, Lee JH, Jung DU. Characteristics of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patients proven with nocturnal polysomnography as correlates of age and gender.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2009;16(2):65-73. 

  21. Kang SG, Shin SH, Lee YJ, Jung JH, Park IS, Kim PC, et al. The effect of physical characteristics on sleep disturbance and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in obstructive sleep apnea patients. The Preliminary Study. Korean Journal of Otolaryngology-Head and Neck Sur. 2015;58(11):759-763. 

  22. Kong HW, Lee HJ, Choi YS, Na JH, Ha CK, Hwang DW, et al. Clinical predictors of obstructive sleep apnea. korean neurology association. 2005;23(3):324-329. 

  23. Ciccone MM, Scicchitano P, Zito A, Cortese F, Boninfante B, Falcone VA, et al. Correlation between inflammatory markers of atherosclerosis and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in Obstructive Sleep Apnea. Molecules. 2014;19(2):1651-1662. http://dx.doi.org/10.3390/molecules19021651 

  24. Pedrosa RP, Barros IM, Drager LF, Bittencourt MS, Medeiros AK, Carvalho LL, et al. OSA is common and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and increased arterial stiffness in consecutive perimenopausal women. Chest Journal. 2014;146(1):66-72. http://dx.doi.org/10.1378/chest.14-0097 

  25. Xiao Y, Han D, Zang H, Wang D. The effectiveness of nasal surgery on psychological symptoms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sleep apnea and nasal obstruction. Acta Oto-laryngologica. 2016;136(6):626-632. http://dx.doi.org/10.3109/00016489.2016.1143120 

  26. Han KH, Soh MA, Ha JH, Ryu SH, Yu JH, Park DH. The Correlation between Severity of Sleep Apnea, Sleep and Mood Related Scales, and Activity During Sleep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Patients.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2011;18(2):76-81. 

  27. Yoon CH, Kim SH, Ji KW, Kim IG, Ha CK. Impact of Obstructive Sleep Apnea on Carotid Intima-Media Thickness. Journal of the Korea Neurology association. 2009:27(2):129-135. 

  28. Mendelson M, Lyons OD, Yadollahi A, Inami T, Oh P, Bradley TD.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on sleep apnoea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a randomised trial. European Respiratory Journal. 2016;48(1):142-150. http://dx.doi.org/10.1183/13993003.01897 

  29. Maki-Nunes C, Toschi-Dias E, Cepeda FX, Rondon MU, Alves MJ, Fraga RF, et al. Diet and exercise improve chemoreflex sensitivity in patients with metabolic syndrome and obstructive sleep apnea. Obesity (Silver Spring). 2015;23(8):1582-1590. http://dx.doi.org/10.1002/oby.211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