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적 방법을 적용한 화재조사와 결함수 분석을 이용한 정온전선의 발화원인 추론
Fire Cause Reasoning of Self-regulating Heating Cable by a Fire Investigation Applying the Scientific Method and Fault Tree Analysis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30 no.4, 2016년, pp.73 - 81  

김두현 (충북대학교 안전공학과) ,  이흥수 (한국화재보험협회 방재시험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온전선은 평형 도체 사이에 반도전성 폴리머를 연속 압출 방식으로 충전시킨 후 양 도체 사이에 전기를 흐르게 함으로써 고분자에 의한 전열을 이용한 전기 발열체이다. 정온전선은 가격이 저렴하고 시공이 편리하기 때문에 겨울철 수배관의 동파방지용 열선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유용함에도 불구하고 구조적인 문제로 인하여 두 평형 도체의 절연이 파괴되는 경우에는 화재로 이어질 수도 있는 위험성이 존재하고 있다. 본 논문은 정온전선에 의한 화재현장을 조사하여 원인을 도출하는 방식으로 직접적인 원인을 추론하고자 하였으며, 결함수 분석을 통해 근본적인 문제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실제 냉동창고 화재현장을 조사하여 정온전선에 의한 화재원인을 추론한 결과 전선 말단 절연처리 결함에 의한 절연파괴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향후 이 결과는 안전활동 및 유사 화재원인조사 시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elf-regulating heating cable is an electrical heating element by flowing an electric current between parallel conductors filled with an extruded semi-conductive polymer. Self-regulating heating cables are used mainly for frost protection purposes because the construction is convenient and the pri...

주제어

표/그림 (1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화재조사와 연역적인 검증방법을 통해 정온전선의 발화원인을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온전선이 최초 발화개체로 작용한 것으로 추정되는 냉동창고 화재현장에 대한 화재조사를 실시하였다.
  • 본 논문은 냉동창고에 시공된 정온전선에 의한 발화원인 추론을 위해 과학적 방법을 적용한 화재조사와 결함수 분석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이에 따라 정온전선의 화재위험성을 주제로 하는 다수의 논문이 발표되었으며(1-5), 지금도 해당 제품의 화재위험성에 대한 실험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본 논문은 화재원인조사의 결과론적인 측면에서 화재위험성과 관련한 실험연구가 아닌 화재원인조사를 수행하여 발화원인을 도출하는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정온전선의 발화원인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 발화지점의 화재패턴 해석과 정온전선 말단부의 아크흔 등을 통해 발화원인은 정온전선의 트래킹 현상으로 추론하였다. 이러한 귀납적 추론에 의한 조사결과를 검증하고자 결함수 분석을 수행하고 최종 결론을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이러한 이유로 발화지점은 정온전선의 전기적인 발열에 의해 발화되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발화지점은 정온전선의 말단부분에 해당하였고, 정온전선의 말단부에서는 아크흔이 생성되었기 때문에 현장조사 당시 발화원인을 트래킹 현상에 의한 것으로 가정하였다. 현장조사를 통한 귀납적 추론 결과는 현장에서 조사자가 채증한 자료를 분석하여 수립한 가설에 해당하기 때문에 연역적 추론방식으로 해당 가설을 검증하여 화재조사의 결론을 도출해야 한다.
  • 화재조사자는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발화지점과 발화원인 규명에 관한 가설을 수립한다. 이러한 가설은 화재현장에서 수집된 자료와 조사자의 지식 및 경험 등에 근거하기 때문에 귀납적 추론이라고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온전선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정온전선은 가격이 저렴하고 시공이 편리하기 때문에 겨울철 수배관의 동파방지용 열선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유용함에도 불구하고 구조적인 문제로 인하여 두 평형 도체의 절연이 파괴되는 경우에는 화재로 이어질 수도 있는 위험성이 존재하고 있다. 본 논문은 정온전선에 의한 화재현장을 조사하여 원인을 도출하는 방식으로 직접적인 원인을 추론하고자 하였으며, 결함수 분석을 통해 근본적인 문제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정온전선이란 무엇인가? 정온전선은 평형 도체 사이에 반도전성 폴리머를 연속 압출 방식으로 충전시킨 후 양 도체 사이에 전기를 흐르게 함으로써 고분자에 의한 전열을 이용한 전기 발열체이다. 정온전선은 가격이 저렴하고 시공이 편리하기 때문에 겨울철 수배관의 동파방지용 열선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정온전선은 어떤 이점이 있고 어떻게 사용되는가? 단열재나 난방기구 등을 사용하여 배관의 동파를 예방하기도 하지만 요즘은 일반적으로 정온전선(Self-regulating heating cable)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정온전선은 가격이 저렴하고 시공이 편리하기 때문에 각종 배관계통의 동파를 방지하 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이점에도 불 구하고 전기제품의 발열특성과 절연파괴 현상 등에 의해 언제든지 발화될 수 있는 위험성이 상시 존재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H. I. Lee,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Fire Risk and Caouse Analysis on Freezing Protection Heating Cables", Autumn Conference of KIFI, pp. 85-94 (2014). 

  2. J. S. Yoon and J. You,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Fire by the Self-regulating Heater Cable", Autumn Conference of KIFI, pp. 188-205 (2011). 

  3. S. H. Lee, C. H. Kim, D. M. Choi, Y. K. Park and M. S. Choi, "Study for Unmelted Conductor that Experienced Electrical Tracking Phenomenon (Focused on Electrical Tracking Case of Self-regulating Heating)", Spring Conference of KIFI, pp. 98-108 (2015). 

  4. S. H. Min and B. J. Song, "A Study on Ignition and Fire Risk of Electric Heat Wire", Technology for Disaster Prevention, Vol. 17, No. 4, pp. 113-121 (2015). 

  5. S. R. Yoon, "A Study on the Risk for Self-regulating Heating Cable", Disaster Prevention Technology, Vol. 54, pp. 10-13 (2013). 

  6. Tyco Thermal Controls, "Electric Heat Tracing System", Tyco Electronics, pp. 3-7 (2001). 

  7. J. H. Lee and J. Y. Park, "Research for the Ignition Possibility of Preventing Freeze and Burst Heat Rays", Autumn Conference of KIFI, pp. 213-252 (2011). 

  8. NFPA 921 2014 edition, "Guide for Fire and Explosion Investigations",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pp. 19-22 (2014). 

  9. NFPA, IAAI, "User's Manual for NFPA 921: Guide for Fire and Explosion Investigations 2nd Edition",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pp. 14-15 (2005). 

  10. Y. S. Byun, D. M. An and K. S. Hwang, "A Comparative Study on Safety Analysis Methodology of Chemical Process", Journal of the KIIS, Vol. 18, No. 2, pp. 64-65 (2003). 

  11. S. J. Lim and C. K. Han, "A Study on the Mission Reliability Prediction of Missile Fire Control System through Fault Tree Analysis", KIIE Fall Conference, pp. 902-903 (2007). 

  12. H. K. Lim, "System Safety Engineering", Hansol Academy, pp. 150-220 (2012). 

  13. N. H. Roberts, W. E. Vesely, D. F. Haasl and F. Goldberg, "Fault Tree Handbook", NUREG-0492, 45-55 (1981). 

  14. NFPA 921 2014 edition, "Guide for Fire and Explosion Investigations",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pp. 206-209 (2014). 

  15. D. H. Kim, S. C. Kim, E. S. Kim, C. O. Kim, S. I. Lee, J. H. Jung, C. S. Choi, S. H. Kang and S. G. Jo, "Electrical Safety Engineering", Donghwa Technology Publishing, pp. 264-276 (2013). 

  16. N. H. Roberts, W. E. Vesely, D. F. Haasl and F. Goldberg, "Fault Tree Handbook", NUREG-0492, 36-38 (1981). 

  17. N. H. Roberts, W. E. Vesely, D. F. Haasl and F. Goldberg, "Fault Tree Handbook", NUREG-0492, 93-95 (1981). 

  18. N. H. Roberts, W. E. Vesely, D. F. Haasl and F. Goldberg, "Fault Tree Handbook", NUREG-0492, 79-80 (1981). 

  19. H. K. Lim, "System Safety Engineering", Hansol Academy, pp. 184-187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