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niform management of the dental hygienists in Korea. Methods: The study was carried out by direct telephone survey to dental gygienists in Gangneung, Wonju, and Seongnam from March 15 to April 10, 2015. The subjects were seventy dental cl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현재 치과위생사의 유니폼의 관리 실태와 인식을 알아보고, 유니폼의 세탁방법 및 장소와 교육의 필요성에 대하여 알고, 임상에서 올바른 세탁교육과 세탁방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종플루, 에볼라, 메르스 등의 발병으로 국민들의 인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2015년 새로운 전염병의 발병 이후 병원 근무자의 감염 실태와 인식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신종플루, 에볼라, 메르스 등의 발병은 병원을 더 이상 안전 하지 않은 곳으로 인식하게 되었고, 국민들은 병원균 전파의 원인을 찾고자 하였으며, 메르스 이후에는 병원 내 감염을 막기 위해 유니폼의 세탁을 강조하는 등, 의료인의 복장과 감염 전파과정에 대한 관심 또한 높아지게 되었다.
병원 유니폼선택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병원 내 근무자가 착용한 가운과 넥타이 등은 잠재적으로 병원성 세균에 오염될 수 있고, 교차 감염을 유발 시킨다[1]. 이는 병원 유니폼의 위험성을 보여준 사례라고 볼 수 있겠다. 적절한 병원 유니폼을 입어 일상복이나 노출된 피부에 감염되는 것을 막아 주는 것은 중요하다.
병원에서의 유니폼은 어떤 역할을 행하는가? 병원에서 유니폼을 입는 것은 직접 환자진료에 참가하는 치과위생사에게는 특별히 중요하며, 분진이나 침, 피, 고름 같은 인체 분비물로 인한 감염을 막아 줄 수도 있고, 전파할 수도 있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병원 유니폼선택에서는 보이는 이미지만을 강조하지 않고 오염성, 내구성, 활동성, 세탁성의 기능을 아는 것은 중요한 부분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Kim YK, Kim JS, Lee HS, Koo HS, Kim HS, Song WK, et al. Nosocomial infectious bacterial contamination on residents white coats and neckties. J Korean Soc Clinic Microbio 2009;12(1):43-7. http://dx.doi.org/10.5145/KJCM.2009.12.1.13. 

  2. Seo KH, Kim SY, Choi JW, Lee JC, Kim KH. Estimating financial loss to medical clinics resulting from the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outbreak in Korea. J Korean Med Assoc 2015;58(12):1171-1178. http://dx.doi.org/10.5124/jkma.2015.58.12.1171. 

  3. Kim SK. Healthcare workers infected with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and infection control. J Korean Med Assoc 2015;58(7):647-654. http://dx.doi.org/10.5124/jkma.2015.58.7.647. 

  4. Korean Human Rights News. The labor standards act [Internet]. [cited 2016 June 1]. Available form: http://www.committee.co.kr/sub_read.html?uid8060. 

  5. Jeong H, Kim JH. The association of health care workers' uniforms and health care-associated infection: systematic review. J Perspe Nurs Sci 2013;10(1):65-76. 

  6. Oh HJ. A study on the effect of nurse uniforms on organizational identity[master's thesis]. Won-ju : Univ. of Yonsei, 2011. 

  7. Black CP. Systematic Review of the Biology and Medical Management of Respiratory Syncytial Virus Infection. Respiratory Care 2003;48(3):209-33. 

  8. Siegel JD, Rhinehart E, Jackson M, Chiarello L. 2007 Guideline for Isolation Precautions: Preventing Transmission of Infectious Agents in Health Care Settings. American J of Infection Control 2007;35(10):Supplement 2 S65-S164. http://dx.doi.org/10.1016/j.ajic.2007.10.007. 

  9. Wilson JA, Loveday HP, Hoffman PN, Prarr RJ. Uniform: An evidence review of the microbiological significance of uniforms and uniform policy in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s. report to the department of health(England). J Hospit Infection 2007;66: 301-7. http://dx.doi.org/10.1016/j.jhin.2007.03.026. 

  10. Harbarth S. What can we learn from each other in infection control? Experience in Europe compared with the USA. J of Hospital Infection 2013;83(3):173-84. http://dx.doi.org/10.1016/j.jhin.2012.12.003. 

  11. Choi HW, Jurg CJ, Park MJ. Analysis of the survey on the consumer's knowledge and laundry habits to microorganisms living in clothing. J Costume Culture 2002;10(6):781-92. 

  12. Park JH, Jung KA. The knowledge of infection control, practice and performance of dental hygienists. J Korean Soc Dent Hyg 2012;12(5):953-61. http://dx.doi.org/10.13065/jksdh.2012.12.5.953. 

  13. O SG, Kim HG. Infection control practices recommended for dentistry. J Korean Dent Assoc 1994;32(6):409-16. 

  14. Choi YS, Jun BH, Cho YS. Effect of infection control practice on exposure prevention of dental hygienist. J Korean Acad Dent Hyg Educ 2010;10(2):255-68. 

  15. Park SS, Jang GW, Kang YJ. Perception and practice of the infection control by empowerment in the dental hygienists. J Kor Soc Dent Hyg 2014;14(6):831-8. http://dx.doi.org/10.13065/jksdh.2014.14.06.831. 

  16. Jeong HJ, Lee JH. Impact factor of cognition and practice of infection control in the dental hygienists. J Kor Soc Dent Hyg 2015;15(3):363-9. http://dx.doi.org/10.13065/jksdh.2015.15.03.36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