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Marine casualties originated from fishing vessels occupied about 71.2% of the whole marine casualties in Korea from 2008 to 2014, which has not changed much for a long time. Therefore, a pragmatic counterplan to decrease in casualties in fishing vessel is indispensable for reduction of marine casualties in Korea. Since the casualties occurred by fishing vessels may incline to a specific type of casualtie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the operating type; in this paper, 11 fishing types which occurred casualties frequently in numbers and occupied ratio were selected. Since the most frequent occurring casualties in fishing vessels were from collisions and fire explosion in statistics from KMST (2008~2014), the study focused on them. The collision is given a great deal of weight in all the casualties mostly due to the negligence of duty regardless of the job types. Gill netter, trap fishing boat, jig boat, multiple fishing boat and stow netter have their own specific causes of casualties in collision according to the operating types. The cause of fire explosion was mainly due to poor inspection and maintenance the electric cord. For this reason, it may be necessary for an operator to make strict precaution on the other vessels under way systematically, keep the regulation for preventing collisions, and for an engineer on watch to make a check the electricity periodically to reduce the fire explosion.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해양사고 | 해양사고의 원인 분석과 대책을 마련할 때 우선적으로 사용되는 자료는 무엇인가? |
중앙해양안전심판원의 사례집의 통계
해양사고의 원인 분석과 대책을 마련할 때 우선적으로 사용되는 자료가 중앙해양안전심판원의 사례집의 통계이다. 그런데 이 사례집의 통계가 2008년 이전과 그 이후에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
해양사고에서 어선이 차지하는 비율 | 해양사고에서 어선이 차지하는 비율은 몇 %인가? |
71.2%
우리나라 중앙해양안전심판원의 해양사고 사례집을 보면 우리나라 전체 해양사고의 71.2%가 어선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KMST, 2008∼2014), 이 비율은 과거의 통계와 비교해도 거의 변화가 없다. |
해양사고에서 어선이 차지하는 비율 | 해양사고에서 어선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은 주된 이유는? |
어선의 등록 척수가 전체 등록선의 90% 정도를 차지한데 기인한 바가 크다
해양사고에서 어선이 차지하는 비율은 이렇게 높은데, 그것은 어선의 등록 척수가 전체 등록선의 90% 정도를 차지한데 기인한 바가 크다 (Kang et al., 2007).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