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실제 공정에서의 감균의 대부분은 침지이후 약 3분 이내에 대부분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실제로 pilot plat 규모의 세척설비를 사용한 경우 강산성, 약산성, 미산성, 약알칼리성 차아염소산수의 상추에 대한 살균효과는 품질손상을 감안하지 않고 10분 3회 연속 침지살균한 경우 초기 오염도 104-106cfu/g에서 3 log cycle/g 이하로의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농기평 보고서 발간번호 11-1543000-000759-01, 신선 농산물의 노로 바이러스 및 식중독균 저감화 기술개발, 2014). HClO를 비롯한 대부분의 염소는 미생물의 불활성화에 있어 선택성이 없고 세척공정에서 cleaning water를 대체하여 표면 오염 미생물을 물리적으로 가능한 범위내에서 불활성화하여 최소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실제 산업현장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세척공정의 설계가 필요하다.
  • 본 고에서는 신선편이 농산물의 수처리를 기반으로 하는 세척 살균 공정을 중심으로 미생물 저감과 관련하여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차아염소산수 특히, 미산성 차아염소산수의 특성과 세척력 향상을 위한 마이크로-나노버블 기술의 세척시스템에의 활용 가능성, 화학적 살균소독제를 대체할 수 있는 복합적인 처리 방법을 중심으로 기술적 활용 가능성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산물 부착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방법 중 물리적인 세척방법의 종류는? 과일이나 채소와 같은 농산물은 재배시 환경에서 유래하는 다종다양한 미생물과 농약, 기생충의 알 등과 같은 이물질이 표면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위생 안전을 위해 이를 제거할 수 있는 세척 및 살균공정이 필연적으로 요구된다. 그러나 단순한 침지나 유수 세척만으로는 이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가어려워 물리적인 힘을 부가하는 세척방식(공기방울, 와류, 초음파 등의 물리적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 역시 미세한 구조를 띄는 농산물에는 충분한 세척력을 부가하지는 못한다.
안전한 식품이란 무엇인가? 안전한 식품이란 ‘의도하는 용도에 따라 조리 또는 섭취하는 경우에 사람에게 위해를 일으키지 않은 식품’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열살균을 거치는 가공식품과 달리 신선편이 농산물은 관능적인 품질 특성이 제품의 품질수명을 결정하게 된다.
신선편이 농산물의 제품 품질수명을 결정하는 요인은? 안전한 식품이란 ‘의도하는 용도에 따라 조리 또는 섭취하는 경우에 사람에게 위해를 일으키지 않은 식품’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열살균을 거치는 가공식품과 달리 신선편이 농산물은 관능적인 품질 특성이 제품의 품질수명을 결정하게 된다. 미생물학적 품질은 병원성 미생물의 오염도, 자연적으로 상재하는 미생물균총, 오염 미생물의 3가지로 구분하여 고려할 수 있으며 대부분 관능적 품질수명을 경과한 후 영향을 미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garwal A, Ng WJ, Liu Y (2001) Principle and applications of microbubble and nanobubble technology for water treatment, Chemosphere, 84, 1175-1180 

  2. Beuchat LR (1998) Surface decontamin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eaten raw: a review. Food Safety Issues, Food Safety Unit,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WHO/FSF/FOS/98.2. 

  3. Beuchat LR (2002) Ecological factors influencing survival and growth of human pathogens on raw fruits and vegetables. Microbes and Infection, 4, 413-423 

  4. Faille C, Fontaine F, Benezech T (2001) Potential occurrence of adhering living Bacillus spores in milk product processing lines. Journal of Applied Microbiol, 90(6), 892-900 

  5. Hood SK, Zottola EA (1995) Biofilms in food-processing. Food Control, 6(1), 9-18 

  6. Hricova D, Stephan R, Zweifel (2008) Electrolzed water and its application in the food industry. J. Food Prot, 71(9), 1934-1947 

  7. Huang YR, Hung YC, Hsu SY, Huang YW, Hwang DF (2008) Application of electrolyzed water in food industry. Food Control, 19, 329-345 

  8. Issa-Zacharia A, Kamitani Y, Morita K, Iwasaki K (2010) Sanitization potency of slightly acidic electrolyzed water against pure cultures of Escherichi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in comparition with that of other food sanitizers. Food Control, 21, 740-745 

  9. Jefferson KK (2004) What drives bacteria to produce a biofilm? Fems Microbiology Letters, 236(2), 163-173 

  10. Koide S, Takeda J, Shi J, Shono H, Atungulu GG (2009) Disinfection efficacy of slightly acidic electrolyzed water on fresh cut cabbage. Food Control, 20, 294-297 

  11. Lee SA, Youn AR, Kwon KH, Kim BS, Cha HS (2009) Washing Effect of Micro-Bubbles and Changes in Quality of Lettuce(Lactuca sativa L.)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6(3), 321-326 

  12. Len SV, Hung YC, Erickson M, Kim C (2000) Ultraviolet spectrophotometric characterization and bactericidal properties of electrolyzed oxidizing water as influenced by amperage and pH. J Food Prot, 63, 1534-1537 

  13. Norwood DE, Gilmour A (2000) Growth and resistance to sodium hypochlorite of Listeria monocytogenes in a steady-state multispecies biofilm. J. Appl. Microbiol, 88, 512-520 

  14. Quan Y, Choi KD, Chung DH, Shin IS (2010) Evaluation of bactericidal activity of weakly acidic electrolyzed water (WAEW) against Vibrio vulnificus and Vibrio parahaemolyticus. J. Food Microbiol, 136, 255-260 

  15. Rahman SME, Ding T, Oh DH (2010) Effectiveness of low concentration electrolyzed water to inactivate foodborne pathogens under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International J. Food Microbiol, 139, 147-153 

  16. Shoji Koide, Jun-ichi Takeda, John Shi, Hiroshi Shono, Griffiths G. Atungulu (2009) Disinfection efficacy of slightly acidic electrolyzed water on fresh cut cabbage, Food Control, 20, 294-297 

  17. Suzuki K, Nakamura T, Kokubo S, Tomita M (2005) The chemical properties of slightly electrolyzed water prepared with hydrochloric acid as a raw material. Bokin Bobai, 33(2), 63-71 

  18. Zhao Q, Wang C, Liu Y, Wang S (2007) Bacterial adhesion on the metal-polymer composite coatings. International Journal of Adhesion and Adhesives, 27(2), 85-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