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경 여성의 근감소증 및 근감소성비만과 심혈관질환 위험도와의 관련성 연구: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 자료를 활용하여
Sarcopenia and Sarcopenic Obesity and Their Association with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Postmenopausal Women : Results for the 2008-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21 no.4, 2016년, pp.378 - 385  

김미성 (원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손정민 (원광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sarcopenia and sarcopenic obes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We analyzed data of 2,019 postmenopausal women aged 50-64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관련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한국 폐경 여성의 근감소증과 근감소성비만 유병률을 분석하고 심혈관질환의 발생위험도를 보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 폐경 여성의 근감소증과 근감소성비만과 관련된 분석 결과는 어떠하였는가? 연구대상자의 근감소증과 근감소성비만의 유병률은 비근감소증 65.4%(n=1,333), 근감소증은 16.3%(n=317), 근감소성비만은 18.3%(n=369) 로 조사되었다. 체지방률은 비근감소증, 근감소증, 근감소성비만군으로 갈수록 체지방량 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근감소증의 판정지표인 사지근육량을 체중으로 나눈 값은 비근감소증군에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p < 0.000).
노화와 관련된 근감소증은 무엇인가? 나이가 듦에 따라서 인간은 노화를 겪게 되며, 노화로 인해 근육량 및 근력이 감소되고 체지방 및 복강 내 지방이 증가되어 체성분의 변화가 나타난다[1-3]. 노화와 관련된 근감소증은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근육의 양과 근력의 감소로 정의되고 있으며, 1989년 Rosenberg에 의해 ‘sarcopenia’ 라는 말이 도입 되면서 근감소증의 개념이 나타났다[4].
나이가 듦에 따라 신체의 변화는 어떠한가? 따라서 한국 노인에서 비만 등의 심혈관질환의 위험요인이 중요한 건강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나이가 듦에 따라서 인간은 노화를 겪게 되며, 노화로 인해 근육량 및 근력이 감소되고 체지방 및 복강 내 지방이 증가되어 체성분의 변화가 나타난다[1-3]. 노화와 관련된 근감소증은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근육의 양과 근력의 감소로 정의되고 있으며, 1989년 Rosenberg에 의해 ‘sarcopenia’ 라는 말이 도입 되면서 근감소증의 개념이 나타났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Sipila S, Narici M, Kjaer M, Pollanen E, Atkinson RA, Hansen M et al. Sex hormones and skeletal muscle weakness. Biogerontology 2013; 14(3): 231-245. 

  2. Zamboni M, Mazzali G, Zoico E, Harris TB, Meigs JB, Di Francesco V et al. Health consequences of obesity in the elderly: a review of four unresolved questions. Int J Obes (Lond) 2005; 29(9): 1011-1029. 

  3. Czarkowska-Paczek B, Milczarczyk S. Age-related muscle mass loss. Przegl Lek 2006; 63(8): 658-661. 

  4. Rosenberg IH. Sarcopenia: origins and clinical relevance. J Nutr 1997; 127(5 Suppl): 990s-991s. 

  5. Baumgartner RN, Koehler KM, Gallagher D, Romero L, Heymsfield SB, Ross RR et al. Epidemiology of sarcopenia among the elderly in New Mexico. Am J Epidemiol 1998; 147(8): 755-763. 

  6. Janssen I, Heymsfield SB, Ross R. Low relative skeletal muscle mass (sarcopenia) in older persons is associated with functional impairment and physical disability. J Am Geriatr Soc 2002; 50(5): 889- 896. 

  7. Cruz-Jentoft AJ, Baeyens JP, Bauer JM, Boirie Y, Cederholm T, Landi F et al. Sarcopenia: European consensus on definition and diagnosis: Report of the European working group on sarcopenia in older people. Age Ageing 2010; 39(4): 412-423. 

  8. Zamboni M, Mazzali G, Fantin F, Rossi A, Di Francesco V. Sarcopenic obesity: a new category of obesity in the elderly. Nutr Metab Cardiovasc Dis 2008;18(5): 388-395. 

  9. Visser M, Pahor M, Taaffe DR, Goodpaster BH, Simonsick EM, Newman AB et al. Relationship of interleukin-6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with muscle mass and muscle strength in elderly men and women: the Health ABC Study.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2002; 57(5): M326-M332. 

  10. Schaap LA, Pluijm SM, Deeg DJ, Visser M. Inflammatory markers and loss of muscle mass (sarcopenia) and strength. Am J Med. 2006; 119(6): 526.e9-17. 

  11. Stone NJ, Robinson JG, Lichtenstein AH, Merz CNB, Blum CB, Eckel RH et al. 2013 ACC/AHA guideline on the treatment of blood cholesterol to reduce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risk in adults: a report of the American college of cardiology/American heart association task force on practice guidelines. Circulation. 2014; 129(25 Suppl 2): S1-45. 

  12. Lee SY, Park HS, Kim DJ, Han JH, Kim SM, Cho GJ et al. Appropriate waist circumference cutoff points for central obesity in Korean adults. Diabetes Res Clin Pract 2007; 75(1): 72-80. 

  13. Andrus B, Lacaille D. 2013 ACC/AHA guideline on the assessment of cardiovascular risk. J Am Coll Cardiol 2014; 63(25_PA): 2886. 

  14. Kim JH, Hwangbo Y, Hong ES, Ohn JH, Kim CH, Kim HW et al. Investigation of sarcopenia and its association with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in elderly subjects. J Korean Geriatr Soc 2010; 14(3): 121-130. 

  15. Cheng Q, Zhu X, Zhang X, Li H, Du Y, Hong W et al. A crosssectional study of loss of muscle mass corresponding to sarcopenia in healthy Chinese men and women: reference values, prevalence, and association with bone mass. J Bone Miner Metab 2014; 32(1): 78-88. 

  16. Chin SO, Rhee SY, Chon S, Hwang YC, Jeong IK, Oh S et al. Sarcopenia i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cardiovascular disease in older Korean adults: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from 2009. PLoS One 2013; 8(3): e60119. 

  17. Kim JH, Cho JJ, Park YS. Relationship between sarcopenic obes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as estimated by the Framingham risk score. J Korean Med Sci 2015; 30(3): 264-271. 

  18. Hwang B, Lim JY, Lee J, Choi NK, Ahn YO, Park BJ. Prevalence rate and associated factors of sarcopenic obesity in Korean elderly population. J Korean Med Sci 2012; 27(7): 748-755. 

  19. Park S, Ham JO, Lee BK. A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stroke risk and sarcopenia in men aged ${\geq}$ 50 years, but not women: Results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0. J Nutr Health Aging 2014; 18(9): 806-812. 

  20. Roubenoff R. Sarcopenic obesity: does muscle loss cause fat gain? Lessons from rheumatoid arthritis and osteoarthritis. Ann N Y Acad Sci 2000; 904: 553-557. 

  21. Jensen GL. Inflammation: roles in aging and sarcopenia. J Parenter Enteral Nutr 2008; 32(6): 656-659. 

  22. Choi CS. Pathogenesis of insulin resistance. Korean J Med 2009; 77(2): 171-177. 

  23. Walsh K. Adipokines, myokines and cardiovascular disease. Circ J 2009; 73(1): 13-18. 

  24. Lee JS, Auyeung TW, Kwok T, Lau EM, Leung PC, Woo J. Associated factors and health impact of sarcopenia in older Chinese men and women: a cross-sectional study. Gerontology 2007; 53(6): 404-410. 

  25. Lee K. 10-year risk for 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and coronary heart disease among Korean adults: findings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9- 2010. Int J Cardiol 2014; 176(2): 418-422. 

  26. Kim KM, Park SK, Kim DH, Shin SG.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ferritin level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calculated by atherosclerotic cardio vascular disease risk estimator in middleaged men in Korea. Korean J Fam Pract 2016; 6(2): 79-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