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융합 자기주도적 실습교육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성 및 기본간호술기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linical Convergence Self-directedness Practice Learning Program on Self-directedness and Competency in Fundamental Nursing Skills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7 no.4, 2016년, pp.51 - 58  

박지현 (대구가톨릭대학교국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임상융합 자기주도적 실습교육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성 및 기본간호술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D시의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80명으로 실험군 40명, 대조군 40명을 무작위로 배정하였다. 실험군은 5일 동안 임상현장을 방문 및 기본간호 술기 수행 동영상을 촬영하고 스스로 디브리핑하며 프로토콜을 수정 보완하는 자기주도적 실습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의 자기주도성과 기본간호술기 수행능력은 사전과 사후에 각각 1번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WIN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Independent t-test, Mann-Whitney U test와 chi-square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의 자기주도성(t=12.93, p=.001)과 기본간호술기 수행능력(t=8.34, p=.021)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임상융합 자기주도적 실습교육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성 및 기본 간호술기 수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linical convergence self-directedness practice learning program on self-directedness and competency in fundamental nursing skills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The study design was a non-equivalent pre-post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높을수록 기본간호술기 수행능력도 높게 나타났다[1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기주도적인 실습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성과 기본간호술기 수행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을 구체적인 목표로 두었다.
  • 본 연구는 임상융합 자기주도적 실습교육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성 및 기본간호술기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정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임상융합 자기주도적 실습교육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성과 기본간호술기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 유사실험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자기주도적 실습교육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성과 기본간호술기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유사 실험연구이다. 자기주도적 실습교육 프로그램을 받은 간호대학생과 자기주도적 실습교육 프로그램을 받지 않은 간호대학생 간의 자기주도성과 기본간호술기 수행능력은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이 중 개별 일정 등을 고려하여 총 80명의 학생을 선별하였고, 신청순서의 홀짝수에 따라 실험군 40명과 대조군 40명으로 나누었다. 실험군, 대조군의 상호 정보교환을 막고, 실험처치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서 방학 중에 실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임상현장과 연계하여 기본간호술기의 프로토콜을 학생 스스로 검토하고 수정·보완하여 자가 동영상촬영을 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성과 기본간호술기 수행능력의 변화 정도를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연구가설 1 : 임상융합 자기주도적 실습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이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자기주도성 점수가 높을 것이다.
  • 연구가설 2 : 임상융합 자기주도적 실습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이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기본간호술기 수행능력 점수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학의 실습교육의 간호학 교과목은 어떠한 교육으로 구성되어 있나요? 간호학의 실습교육은 학습목적과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정확한 수기술을 익히는 것을 필요로하는데[7], 그 중기본간호학 교과목은 간호대학생이 임상실습을 하기 전에 간호실무를 경험하는 교과목으로 간호개념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교육과 구체적 간호술을 익히는 실습교육으로 구성되어 있다[8]. 기본간호학 실습교육의 간호술기는 간호사가 갖추어야 하는 여러 가지 능력 중 가장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실무능력이다[9].
자기주도성 함양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기본간호실무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한 이유는? 기본간호학 실습교육의 간호술기는 간호사가 갖추어야 하는 여러 가지 능력 중 가장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실무능력이다[9]. 하지만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에서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기본간호술기를 직접 시행하지 못하고 관찰 위주의 제한된 실습교육을 받고있으므로[10] 간호대학생들은 임상 현장에서 습득해야 할 기본간호술기를 제대로 익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간호대학생들은 졸업 후 다양한 간호실무에서 숙련된 간호행위를 해야 하는데[11] 이에 부담을 느끼고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는 것이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쳐 이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12]. 따라서 보다 빠른 시기에 자기주도성 함양 교육프로그램을 통한 학습으로 창의성과 자기주도성을 확립시켜 기본간호실무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간호대학생들의 임상실습만족도를 높이고 나아가 직무만족도를 높여 이직을 줄일 수 있는 중재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자기주도성의 특징은? 자기주도성은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에 대한 주도권과 책임감을 가지고 학습을 완수하려는 특성으로[1], 간호대학생이 자신의 실습에 대한 목표를 세우고 요구를 명확히 하여 실습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원동력이므로 실습역량 강화에 필수적 요인이다[2]. 간호대학생은 고학년일수록 스스로 학습해야 하는 부분이 많은 전공과목과 임상실습 경험을 통해 자기주도성이 훈련되어[3] 학년이 높아질수록 자기주도성이 높게 나타났다[3, 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J. S. Jung, “Relationship of self-directedness and practice satisfaction to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clinical competenc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8, No. 1, pp. 53-61, 2012. 

  2. T. L. Levett-Jones, “Self-directed learning: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for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 Nurse Education Today, Vol. 25, No. 5, pp. 363-368, 2005. 

  3. J. M. Kim, “Personality Type, Learning Style, Self-Dire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Nursing Student,”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Vol. 7, No. 2, pp. 1-25, 2010. 

  4. W. O. Oh, “Factors influencing self-directedness in learning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Vol. 32, No. 5, pp. 684-693, 2002. 

  5. I. Y. Cho, “The relationship of self-directedness, clinical practice experiences and clinicalpractice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6, pp. 3635-3647, 2014. 

  6. C. Patterson, D. Crooks, O. Lunyk-Child, “A new perspective on competencies for self-directed learning,”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 41, No. 1, pp. 25-31, 2002. 

  7. E. O'Shea, “Self-directed learning in nurse education: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43, No. 1, pp. 62-70, 2003. 

  8. M. R. Song, E. M. Kim, S. J. Yu, “Aanalysis on the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basic nursing skills,” The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2, No. 6, pp. 390-401, 2012. 

  9. S. N. Park, S. K. Lee, “Factors influencing basic nursing skil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15, No. 1, pp. 6-13, 2008. 

  10. M. H. Cho, I. Kwon, “A study on the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on nursing activitie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3, No. 2, pp. 143-154, 2007. 

  11. M. R. Eom, H. S. Kim, E. K. Kim, J. Y. Seong, “Effects of teaching method using standardized patients on nursing competence in subcutaneous injection,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problem solving abil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Vol. 40, No. 2, pp. 151-160, 2010. 

  12. T. Anderson, L. Linden, M. Allen, E. Gibbs, “New graduate RN work satisfaction after completing an interactive nurse residency,” The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39, No. 4, pp. 165-169, 2009. 

  13. P. J. Guglielmino, L. M. Guglielmino, H. B. Long,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nd performance in the work place: implications for business, industry, and higher education,” Journal of Higher Education, Vol. 16, No. 3, pp. 130-137, 1987. 

  14. K. O. Yoo, "Study on the self-direction of adult learners and its demographic and socio-psychological variabl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University, Seoul, 1997. 

  15. J. T. Son, "The newest fundamentals of nursing practice," Huunmoon, Seoul, 2011. 

  16. T. L. Levett-Jones, “Self-directed learning: Imolications and limitations for undergraduate nursing education,” Nurse Education Today, Vol. 25, No. 5, pp. 363-368, 2005. 

  17. E. M. Jun, “The infuluencing factors on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Vol. 39, No. 2, pp. 44-56, 2014. 

  18. J. A. Park, J. Y. Hong,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ego resilienc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the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s basic nursing skills,” The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 16, No. 1, pp. 342-351, 2016. 

  19. S. R. Song, Y. J. Kim, “Effect of self-evaluation method using video recording on competency in nursing skill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22, No. 4, pp. 416-423, 2015. 

  20. E. T. Hartley, M. A. Bray, T. J. Kehle, “Self-modeling as an intervention to increase student classroom practicipation,” Psychology in the Schools, Vol. 35, No. 4, pp. 363-372, 1998. 

  21. S. I. Ji, "The effect of group composition way on the changes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learning motivation in web-based cooperative learning,"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2006. 

  22. E. H. Park, h. s. Kim, J. O. Kim, “The effect of convergence action learning techniques in simulation class,” Journal of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5, pp. 241-248, 2015. 

  23. S. R. Song, Y. J. Kim, “Effect of a self-evaluation method using video recording on competency in nursing skill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self-efficac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ol. 22, No. 4, pp. 416-423, 2015. 

  24. E. H. Ha, H. S. Song, “The effect of structured self-debriefing using on the clinical competency, self-efficacy,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after simul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21, No. 4, pp. 445-454, 2015. 

  25. D. L. Linton, W. M. Pangle, K. H. Wyatt, K. N. Powell, R. E. Sherwood, “Identifying key futures of effective active learning: The effects of writing and peer discussion,” Life Science Education, Vol. 13, No. 3, pp. 469-477, 2014. 

  26. M. Field, J. M. Burke, D. McAllister, D. M. Lloyd, “Peer-assisted learning: A novel approach to clinical skills learning for medical students,” Medical Education, Vol. 41, No. 4, pp. 411-418, 2007. 

  27. E. H. Ha, “Attitudes toward video-assisted debriefing after simulation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An application of Q-methodology,” Nurse Education Today, Vol. 34, No. 6, pp. 978-984, 2014. 

  28. J. W. Rudolph, E. G. Foldy, T. Robinson, S. Kendall, S. S. Taylor, R. Simon, “Helping without harming: The instructor's feedback dilemma in debriefing-A case study,” Simulation in Healthcare, Vol. 8, No. 5, pp. 304-316, 2013.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