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유전 고분자를 첨가한 유기태양전지의 효율 특성
The Efficiency Characteristics of the Ferroelectric Polymer Added Organic Solar-cells 원문보기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29 no.9, 2016년, pp.589 - 594  

박자영 (청주대학교 레이저광정보공학과) ,  정치섭 (청주대학교 레이저광정보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3HT:PCBM bulk heterojunction solar cells added with ferroelectric polymer were fabricated and characterized. By incorporating P3HT:PCBM solar cell with P(VDF-TrFE) ferroelectric additive, the power conversion efficiency was increased up to nearly 50%. Photoacoustic analysis on this phenomena was 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강유전 고분자를 첨가 효과를 보기위해 기준 전지의 사양을 반복된 실험을 거쳐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P3HT에 대한 PCBM 조성비는 10:7로, 그리고 유기용매에 대한 P3HT:PCBM 농도비는 1.
  •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우리는 기존의 광전류 측정으로부터 비방사 재결합을 추정하는 대신 비방사 재결합을 직접 측정함으로써 효율 증대의 원인을 보다 명확히 규명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설사 구조물에 의한 광 음향이 발생되더라도 모든 시료전지의 구조물은 동일하게 제작되었으므로 발생된 광 음향 세기는 상대 비교를 통해 기여도를 상쇄할 수 있다. 이 같은 분석에 따라 이 실험에서 측정되는 광 음향세기는 주로 흡수층 내에서 발생되는 비방사 전이에 의해 결정된다고 판단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기 고분자 태양전지에 관한 연구가 꾸준히 계속되는 이유는? 이에 비해 유기 고분자 태양전지의 효율은 아직 10% 정도로, 획기적인 효율증가가 이루어지지 않는 한 상용화는 어렵다고 보여진다 [1,2]. 그럼에도 불구하고 낮은 제조 가격 및 공정상 편이성 때문에 이 분야 연구는 아직도 꾸준히 계속되고 있다 [3]. 고분자 태양전지는 유기반도체 특성을 활용한 소자로 전자 주개/받개의 이종접합 구조로 되어있다.
고분자 태양전지의 구조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낮은 제조 가격 및 공정상 편이성 때문에 이 분야 연구는 아직도 꾸준히 계속되고 있다 [3]. 고분자 태양전지는 유기반도체 특성을 활용한 소자로 전자 주개/받개의 이종접합 구조로 되어있다. 광 흡수로 인해 형성된 엑시톤은 확산 과정을 통해 도너/억셉터 계면으로 이동하며, 전자 친화도 차이에 의해 전자는 억셉터 쪽으로 이동하여 소위 전하 전달 엑시톤 (charge transfer exciton, CTE)이 형성된다 [4].
CTE가 광전류를 발생시키는 과정은? CTE는 전극의 일함수차이에 인해 발생되는 내부 전기장에 의해 자유 전하로 분리되어 광전류를 발생시킨다. 이 태양전지로부터 추출 가능한 효율은 이론적으로 15%에 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F. C. Krebs, Sol. Energy Mater. Sol. Cells, 93, 394 (2004). [DOI: http://dx.doi.org/10.1016/j.solmat.2008.10.004] 

  2. C. J. Brabec, Sol. Energy Mater. Sol. Cells, 83, 273 (2004). [DOI: http://dx.doi.org/10.1016/j.solmat.2004.02.030] 

  3. C. H. Bang, The Korean Vacuum Society, 16, 167-171 (2007). [DOI: http://dx.doi.org/10.5757/JKVS.2007.16.3.167] 

  4. J. Y. Lee, The Korean Physical Society, 21, 20-30 (2012). 

  5. D. Veldman,S.C.J. Meskers, and R.A.J. Janssen, Adv. Funct. Mater., 19, 1939-1948 (2009). [DOI: http://dx.doi.org/10.1002/adfm.200900090] 

  6. T. Kirchartz, K. Taretto, and U. Rau, J. Phys. Chem. C, 113, 17958-17966 (2009). [DOI: http://dx.doi.org/10.1021/jp906292h] 

  7. D. Veldman, O. Ipek, S.C.J. Meskers, J. Sweelssen, M. M. Koetse, S. C. Veenstra, J. M. Kroon, S. S. van Bavel, J. Loos, and R.A.J. Janssen, J. Am. Chem. Soc., 130, 7721-7735 (2008). [DOI: http://dx.doi.org/10.1021/ja8012598] 

  8. K. S. Nalwa, J. A. Carr, R. C. Mahadevapuram, H. K. Kodali, S. Bose, Y. Chen, J. W. Petrich, B. Ganapathysubramanian, and S. Chaudhary, Energy Environ, Sci., 2012, 7042 (2012). [DOI: http://dx.doi.org/10.1039/C2EE03478F] 

  9. K. Vandewal, K. Tvingstedt, A. Gadisa, O. Inganas, and J. V. Manca, Nature Mater., 8, 904-909 (2009). [DOI: http://dx.doi.org/10.1038/nmat2548] 

  10. V. Shrotriya, Y. Yao, G. Li, and Y. Yang, Appl. Phys. Lett., 89, 063505 (2006). [DOI: http://dx.doi.org/10.1063/1.2335377] 

  11. Y. Yuan, T. J. Reece, P. Sharma, S. Poddar, S. Ducharme, A. Gruverman, Y. Yang, and J. Huang, Nature Materials, 10, 296 (2011). [DOI: http://dx.doi.org/10.1038/nmat2951] 

  12. K. Asadi and P. de Bruyn, Appl. Phys. Lett., 98, 183301 (2011). [DOI: http://dx.doi.org/10.1063/1.3587630] 

  13. V. D. Mihailetchi, L.J.A. Koster, J. C. Hummelen, and P.W.M. Blom, Phys. Rev. Lett., 93, 216601-216604 (2004). [DOI: http://dx.doi.org/10.1103/PhysRevLett.93.216601] 

  14. L. B. Kreuzer, Optoacoustic Spectroscopy and Detection, Chap 1, Y. H. Pao Ed. (Academic Press, 1977) 

  15. B. Yang, J. Cox, Y. Yuan, F. Guo, and J. Huang, Appl. Phys. Lett., 99, 133302 (2011). [DOI: http://dx.doi.org/10.1063/1.3643450] 

  16. T. Kirchartz, K. Taretto, and U. Rau, J. Phys. Chem. C, 113, 17958 (2009). [DOI: http://dx.doi.org/10.1021/jp906292h] 

  17. D. Shvydka and V. G. Karpov, Appl. Phys. Lett., 92, 053507 (2008). [DOI: http://dx.doi.org/10.1063/1.28359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