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과학 5학년 1학기 '태양에서 행성까지 거리 비교'에 대한 초등예비교사들의 교재 재구성 내용 분석
Analysis of Contents of Reorganization of Textbooks by Pre-Service Teachers' on 'Comparison of Distances from Solar System to Planets' in First Semester of Elementary Science 5th Grade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4 no.3, 2021년, pp.225 - 235  

김해란 (부산교육대학교) ,  이용섭 (부산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천문 교육 방법의 개선 방향과 교육 자료 또는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데 있다. 교육과정 '태양계와 별' 지도와 연계하여 초등예비교사들에게 태양으로부터 행성까지의 상대적인 거리를 비교하는 재구성 과제를 제시한 후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인 초등예비교사들은 B광역시 소재 초등 교사 양성 대학교 음악교육학과 2학년에 재학 중인 학생들로 남자 11명, 여자 19명이다. 도출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두루마리 휴지를 이용한 거리 비교 활동'은 태양에서 행성까지의 거리를 단순 비교하는 데는 적합하지만 태양계의 광대함을 체험하게 하거나 학생 참여 중심의 수업을 이끌어내는 데는 한계가 있다. 둘째, 넓은 학습 공간의 확보와 함께 행성의 크기와 행성까지의 거리를 동시에 반영하고 또한 태양계의 광대함도 체험하며 실내에서 적용할 수 있는 초등학생용 소프트웨어 자료의 개발이 더 필요하다. 셋째, 교과서 자료는 초등예비교사의 수업 설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astronomical education methods and development of educational materials or software. In connection with the 5th grade 1st semester elementary science 'Solar System and Stars' unit,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e...

주제어

표/그림 (7)

참고문헌 (29)

  1. 교육부(2015). 별책 9 과학과 교육과정 고시 제2015-74호. 교육부. 

  2. 교육부(2019). 과학 5-1교사용 지도서. (주)비상교육. 

  3. 교육부(2021). 더 나은 미래, 모두를 위한 교육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시안). 교육부. 

  4. 길지현, 송신철, 소금현, 여성희(2012). 초등학생들의 온실 효과에 대한 개념 이해 조사 연구. 생물교육, 40(4), 412-420. 

  5. 김지영(2014). 예비교사가 수행한 교재 재구성 과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한국초등교육, 25(1), 223-243. 

  6. 김평국(2004).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과 내용 재구성 실태와 그 활성화 방향. 교육과정연구, 22(2), 135-161. 

  7. 김한제, 정용재, 장명덕(2013). '어는점 내림'에 대한 초등예비교사들의 인식 조사 및 설명 모형 제안. 초등과학교육, 32(2), 206-224. 

  8. 김해진, 배진호, 심규철, 소금현(2013). 초등학생의 곤충에 대한 인식과 태도 조사 연구. 생물교육, 41(1), 61-74. 

  9. 김희수, 서창현, 이항로(2003). 천문학적 공간개념 수준에 관한 검사도구 개발. 한국지구과학회지, 24(6), 508-523. 

  10. 박일수, 김은정, 한춘희, 조호제, 전풍효(2018). 학습자 중심의 미래형 교과서 개발을 위한 교과서 발행체제. (사)한국검인정교과서협회. 

  11. 서영임(2019). 초등학생의 태양계 시스템 모델링 수준에 따른 태양계 이해의 양상.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이연형(2006).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실태와 실천 방안 연구.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임성만(2020).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탐구활동의 교수전략, 유형, 개념과의 연관성 분석. 초등과학교육, 39(3), 449-463. 

  14. 장명덕, 남윤경(2012). 천체의 상대적 크기에 대한 초등예비교사들의 인식. 한국지구과학회지, 33(7), 645-657. 

  15. 전승준, 고운영, 이영식, 곽영순, 최성연, 박민아, 김홍종, 박구선, 김대수(2018). 모든 한국인을 위한 과학. 한국과학창의재단. 

  16. 정대균, 이혜정, 정선희, 오창호, 박국태(2007). 기체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 조사 및 대안 개념 유형 분석. 초등과학교육, 26(4), 359-371. 

  17. 정진우, 김윤지(2008). 물의 순환에 대한 초등예비교사들의 지구 시스템적 인식. 초등과학교육, 27(4), 319-327. 

  18. 정진우, 한신(2010). 초등학교 교사들의 천문학적 거리에 대한 개념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31(7), 827-837. 

  19. 최하늘, 신동희(2021). 국내외 천문 교육 프로그램 관련 연구 동향 비교 분석. 천문학논총, 36(1), 25-36. 

  20. 추갑식, 신재한(2015).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교육과정 통합 및 재구성 유형에 대한 연구. 교사교육연구, 54(1), 120-137. 

  21. 한국과학창의재단(2019). 모든 한국인을 위한 과학적 소양미래세대 과학교육표준(KSES). 한국과학창의재단. 

  22. 한신영(2014). 교육과정 재구성 실천을 통한 교사의 전문성 신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Choi, J. T., Lee, K. Y., & Park, J. Y. (2019).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astronomy education program reflecting astronomical thinking: A case of planetarium class at science museum.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40(1), 86-106. 

  24. Ian, T., Miles, B., & Alister, J. (2003). Promoting mental model building in astronomy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10), 1205-1225. 

  25. Kim, K. M., Park, Y. S., & Choe, S. U. (2008). Analysis of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in the astronomy section of school science textbook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9(2), 204-217. 

  26. Kwak, M. H., Shin, Y. J., & Lee, J. H. (2019). Research trend in Earth Science education: Based on an application of data mining.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18), 1311-1335. 

  27. Lee, S. J. (2002). The effects of learning spatial abilities on achievement in astronomy.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8. Oh, H. S., & Lee, K. Y. (2018). Exploring 6th graders learning progression for lunar phase change: Focusing on astronomical systems thinking.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9(1), 103-116. 

  29. Orion, N., & Ault, C. (2007). Learning Earth Sciences.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653-68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