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실제 과학수업에서 시선추적과 주의력 검사를 통한 초등학생들의 주의 특성 분석
An Analysis of Elementary Students' Attention Characteristics through Attention Test and the Eye Tracking on Real Science Classe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6 no.4, 2016년, pp.705 - 715  

신원섭 (서울교육대학교) ,  신동훈 (서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실제 과학수업에서 시선추적과 주의력 검사를 통해 초등학생들의 주의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초등학생들의 주의 과정을 분석하기 위하여 SMI사의 ETG(eye tracker glasses) 이동형 시선추적기를 사용하였고, 샘플링 속도는 30Hz이다. 사전 주의력 검사의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6학년 155명이었고, 시선추적의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6학년 남학생 6명이었다. 시선추적의 연구대상자는 모두 과거 안구병력이 없었으며, 안경을 쓰지 않았다. 안구운동 분석은 'BeGaze Mobile Video Analysis Package'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주의력 검사 결과, 선택적 주의와 자기통제는 .316으로 낮은 상관을 보였고, 선택적 주의와 지속적 주의는 .85로 높은 상관을 보였다. 둘째, 선택적 주의와 자기 통제의 상관관계를 기준으로 초등학생들의 주의 유형을 주의형(attentive type), 비주의형(inattentive type), 안이형(easygoing type), 경솔형(hasty type)으로 구분하였다. 셋째, 실제 과학수업에서 초등학생들의 안구운동분석을 통해 초등학생들의 주의는 상향식 주의처리, 하향식 주의처리,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로 구분할 수 있었다. 또한 실제 수업에서 초등학생들의 주의 전환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빈번히 발생하였다. 초등학생들이 목표 지향적이고 지식에 의존하는 하향식 주의 처리를 못하는 원인은 초점주의 실패로 인한 목표 대상 지각의 실패, 목표 대상에 대한 관련지식의 부재, 관련지식에 대한 유추의 실패 등으로 나타났다. 주의력 검사와 안구운동분석을 종합하여 초등학생의 주의 처리과정을 도식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힌 초등학생의 주의 특성과 주의 처리과정이 효과적인 교수전략, 교수학습 모형, 교수자료를 개발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elementary students' attention characteristics through attention test and eye tracking on real science classes. The SMI's ETG(eye tracker glasses) mobile eye tracker was used to analyze the attention process of elementary students'. The sampling rate of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주의력 검사와 과학수업에서 시선추적을 통해 초등학생들의 주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주의력 검사를 실시하였고, 실제 수업상황에 신경과학적 연구방법인 이동형 시선추적시스템을 적용하여 초등학생들의 시각적 주의 특성과 주의 처리과정을 밝히고자 한다.
  • 이로 인해 선행 연구들은 수업을 촬영하여 관찰하거나 학생들의 행동에 대한 면담을 통한 자기보고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Shin, 2016). 이 연구에서는 다른 신경과학적방법에 비해 높은 안전성과 접근성을 가지고 있는 시선추적기법을 활용하고자 한다. 최근 시선추적을 활용한 국내외 선행 연구(Carmichael et al.
  •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주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주의력 검사와 실제 과학수업에서 연구대상자의 안구움직임을 이동형 시선추적기를 활용하여 추적하였다. 주의력 검사를 통해 초등학생의 선택적 주의, 자기통제력, 지속적주의의 관계와 주의력 수준을 밝혔고, 실제 과학수업에서 학생의 안구운동분석을 토대로 주의 특성과 주의 처리 과정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언적 지식이란? LTM 은 선언적 지식(Declarative Knowledge; DK)과 비선언적 지식(Non-declarative Knowledge; NK)으로 구분할 수 있다(Lee, 2014; Park, 2013; Shin & Shin, 2013b). DK 는 일화기억과 의미기억을 말하고, NK 는 절차적 기억, 점화기억, 고적적 조건화, 비연합학습 등을 말한다(Lee, 2014; Park, 2013; Shin & Shin, 2013b).
학생들이 PIS과 정에서 문제해결과 관련된 정보를 구성하지 못하여 유용한 정보를 생성하지 못하면 어떻게 되는가? PIS 과정에서도 관찰대상에 대한 정보를 형성할 수도 있는데(Shin & Shin, 2013b), 주로 색깔, 윤곽, 깊이, 명암 등 관찰대상의 원초적인 정보를 형성(Raw Information Formation; RIF)한다. 학생들은 PIS과 정에서 문제해결과 관련된 정보를 구성하지 못하여 유용한 정보를 생성하지 못할 경우 실패(null)과정에 머물게 되고, 이러한 실패과정이 반복되면 학생들은 혼란 주의로 일관하기도 한다(Shin & Shin, 2013b). 상향식 주의에 의한 RIF 과정에서 인간의 ‘무의식적 지식의 의식화’(Unconsciously Conscious of Knowledge; UCK)과정은 언제나 가능하고(Baars & Gage, 2007; Park, 2013; Shin & Shin, 2013b), UCK 과정을 통해 장기기억속의 관련 지식을 활성화하게 된다면 하향식주의로 즉시 전환할 수도 있다.
학생들의 학습참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실제 수업에서 학생들의 주의 수준과 주의 처리과정을 분석해야하는 이유는? 학생들의 학습참여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실제 수업에서 학생들의 주의 수준과 주의 처리과정을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Shin & Shin, 2013b). 그 이유는 교사의 체계적인 수업설계와 효과적인 교수전략을 바탕으로 한 교수학습활동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언제나 학습활동에 수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Borich, 2010). 기존의 주의력 검사도구를 이용해 학생들의 선택적 주의, 자기통제, 주의의 지속성 등을 평가할 수 있었지만, 실제 수업에서 학생들의 주의 특성과 처리과정을 이해하는 데에는 제한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2)

  1. Andrew, D. (2007). Eye tracking methodology: theory and practice. New York: Springer-Verlag. 

  2. Baars, B. J., & Gage, N. M. (2007). Cognition, brain, and consciousness : introduction to cognitive neuron, Elsevier. 

  3. Bermudez J. L. (2010). Cognitive science: An introduction to the science of the mi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4. Bojko, A. (2013). Eye Tracking the User Experience - A Practical Guide to Research. New York: Rosenfeld Media Brooklyn. 

  5. Borich, G. (2010). Effective teaching methods: research-based practice(7th edition). Boston: Allyn & Bacon 

  6. Bradley, F. H. (1886), Is There any Special Activity of Attention?. Mind, 11(43), 305-323. 

  7. Broadbent, D. E. (1954). The role of auditory localization in attention and memory spa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47, 191-196. 

  8. Broadbent, D. E. (1958). Perception and Communication. London: Pergamon Press. 

  9. Carmichael, A., Larson, A., Gire, E., Loschky, L., & Rebello, N. (2010). How Does Visual Attention Differ Between Experts and Novices on Physics Problems? AIP Conference Proceedings, 1289(1), 93-96. 

  10. Carney, R. N., & Levin, J. R. (2002). Pictorial illustrations still improve students' learning from text.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4, 5-26. 

  11. Cheoi, K., & Lee, Y. (2005). Detecting Salient Regions based on Bottom-up Human Visual Attention Characteristic. Journal of KIISE, 31(2), 189-202. 

  12. Cheoi, K., Park, M. (2011). Visual Information Selection Mechanism Based on Human Visual Attention.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14(3), 378-391. 

  13. Choi, H. D., Shin, W. S., & Shin, D. H. (2012). Differences in eye movement pattern during the classification between the gifted and general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1(4), 501-512. 

  14. Choi, H. D., Shin, W. S., & Shin, D. H. (2014). The comparison of eye movement in measuring tasks between the underachievers and the overachiever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3(1), 181-194. 

  15. Choi, M. (2003). A Study on the Method of Eye Tracking Analysis Based on the Properties in Visual Perception of User -With Emphasis on the Development of Analysis-Framework for Product Desig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16(4), 197-206. 

  16. Choi, S. B., Ban S. W., & Lee, M. (2004). Human-Like Selective Attention Model with Reinforcement and Inhibition Mechanism. N.R. Pal et al. (Eds.): ICONIP 2004, LNCS 3316, 694-699. 

  17. Cook, M., Wiebe, E. N., & Carter, G. (2011). Comparing visual representation of DNA in two multimedia presentations. Journal of Educational Multimedia and Hypermedia, 20(1), 21-42. 

  18. Corbetta, M., Miezin, F. M., Shulman, G. L., & Petersen, S. E. (1993). Attention modulation of neural processing of shape, color, and velocity in humans. Science 248, 1556-1559. 

  19. Corbetta, M., Shulman, G. L., Miezin, F. M., & Petersen, S. E. (1995), Superior cortex activation during spatial attention shifts and visual feature conjunction. Science, 270, 802-805. 

  20. Duchowski, A. (2007). Eye tracking methodology: theory and practice. New York: Springer-Verlag. 

  21. Holmqvist, K., NystrOm, M., Anderson, R., Dewhurst, R., Jarodzka, H., & Weijer, J. V. D. (2011). Eye tracking : A comprehensive guide to methods and measures, pp. 9-144.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2. Itti, L., Koch, C., & Niebur, E. (1998). A model of saliency-based visual attention for rapid scene analysis. IEEE Trans. Patt. Anal. Mach. Intell, 20(11), 1254-1259. 

  23. Jang K., & Shin D.(2013). An Analysis of Understanding and Eye mo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Types of Science Textbook Illustration.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4(4), 127-146. 

  24. Jensen, E. (2008). Brain-Based Learning : The New Paradigm of Teaching. Corwin Press. 

  25. Jeon, Y. & Shin, D. (2015). Comparative Analysis of Eye Movement on Performing Biology Classification Task between the Scientifically Gifted and General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4(1), 142-152. 

  26. Jung, B., & Lee, M. (2004). Development of Active Stereo Surveillance System with the Human-like Visual Selective Attention. Journal of the Korean Sensors Society, 13(2), 144-151. 

  27. Kannath, H. O. Berger, M. F., K?er, W., & Rorden, C. (2004). The anatomy of spatial neglect based on voxelwise statistical analysis; a study of 140 patients. Cerebral Cortex, 14, 1164-1172. 

  28. Kim, Y. & Shin, D. (2014). Analysis on Cognitive Strategies of Scientific Predicting according to 6th Graders' Predicting Skills Based on Eye Movement.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3(4), 751-761. 

  29. Ko, M., Yang, I., Kim O., Lim, S. (2014). The Differences in Eye Movement of Pre-service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BF Question about a Visual Material of the Change on the Lunar Phase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3(2), 273-285. 

  30. Lee, J. & Shin, D. (2012a). The unit-introduction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 in the elementary school through the yet tracking method. Journal of elementary Korean education, 49, 133-159. 

  31. Lee, J. & Shin, D. (2012b). The Unit-introduction Development of Korean Textbook in the Elementary School through the Eye Tracking Method II: Focusing on the Introductory Question and Speech-bubbles.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3(3), 89-109. 

  32. Lee, J. (2014). Cognitive Science -Interdisciplinary Convergence and Applications. Seoul: Sungkyunkwan University Press 

  33. Lee, M. (2009). Selective attention concentration Artificial vision system. The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36(11), 52-65. 

  34. Levitin, D. J. (2014). The organized mind: Thinking straight in the age of information overload. Penguin. 

  35. Lim, C. S. (2005). A brain-based approach to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a successive integration model of the structures and functions of human brain and the affective, psychomotor, and cognitive domains of school science.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4(1), 86-101. 

  36. Lim, C. S. (2009). Development of model of brain-based evolutionary scientific teaching for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9(8), 990-1010. 

  37. Liu, C. J., & Shen, M. H. (2011). The influence of different representations on solving concentration problems at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20, 621-629. 

  38. Moore, T., & Fallah, M. (2001). Control of eye movements and visual attention. Proceeding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SA. 98, 1273-1276. 

  39. Moosbrugger, H., & Oehlschlagel, J. (1996). Frankfurter Aufmerksamkeits-Inventar (FAIR). Bern: Huber. 

  40. Mort, D. J., Malhorta, P., Mannan, S. K., Rorden, C., Pambakian, C., Kennard, C., & Husain M. (2003). The anatomy of visual neglect. Brain 126(9), 1986-1997. 

  41. Muller, H. J., & Krummenacher, J. (2006). Visual search and selective attention. Visual Cognition, 14(4-8), 389-410. 

  42. Navalpakkam, V., & Itti, L. (2002) A Goal Oriented Attention Guidance Model. Biologically Motivated Computer Vision Lecture Notes in Computer Science, 2525, 453-461. 

  43. Oh, H. (2002). FAIR, Attention Test. Seoul: ChungangJeoksung Institute. 

  44. Park, M. (2013). The All thing of brain science that reading to pictures. Seoul: Humanistbooks 

  45. Park, S., Shin, J., Lee, M. (2002). Bottom-up Selective Attention Visual Model in Color Image Using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Sensors Conference, 13(1), 150-154. 

  46. Posner, M. I., Snyder, C. R. R., & Davidson, B. J. (1980). Attention and the detection of signal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09, 160-174. 

  47. Rauthmann, J. F., Seubert, C. T., Sachse, P., & Furtner, M. R. (2012). Eyes as windows to the soul: Gazing behavior is related to personality.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46, 147-156. 

  48. Shin, D., & Kwon, Y.(2007). A Review on Brain Study Methods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A Focus on the fMRI Method.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6(1), 49-62. 

  49. Shin, W. (2016). The Development of Science Knowledge Generative Learning WEDO Model through Cognitive-Neuroscientific Analysis on Elementary Science Clas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NUE, doctorate thesis. 

  50. Shin, W., & Shin, D. (2012). Eye movement analysis on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process of science textbook graph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1(3), 386-397. 

  51. Shin, W., & Shin, D. (2013a). Analysis of eye movement by the science achievement level of the elementary students on observation test.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2), 185-197. 

  52. Shin, W., & Shin, D. (2013b). Development of the heuristic attention model based on analysis of eye mo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discrimination task.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3(7), 1471-1485. 

  53. Shin, W., & Shin, D. (2014a). Analysis of Eye Movement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 about "Life Cycle of Plant" External Representation in 2007, 2009 Reform Science Textbook. Biology Education, 42(2), 115-131. 

  54. Shin, W., & Shin, D. (2014b).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Program for Enhancing Elementary Science-Poor Students' Basic Science Process Skills - Focus on Eye Movement Analysis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4(8), 797-808. 

  55. Shin, W., Shin, D., & Jhun, Y. (2013). The Educational Games' UI Study from the Point of View of UX by Eye-track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17(2), 211-224. 

  56. Snowden, R., Tnompson, P., & Troscianko, T. (2012). Basic vision : an introduction to visual percep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57. Treisman, A. M., & Gelade, G. (1980). A Feature-integration Theory of Attention. Cognitive Psychology, 12, 97-136. 

  58. Tsai, M. J., Hou, H. T., Lai, M. L., Liu, W. Y., & Yang, F. Y. (2012). Visual attention for solving multiple- choice science problem: An eyetracking analysis. Computer & Education, 58, 375-385. 

  59. Tsotsos, J. K., Culhane, S. M., Wai, W., Lai, Y., Davis, N., & Nuflo, F. (1995). Modeling visual attention via selective tuning. Artificial Intelligence, 78, 507-545. 

  60. Wittrock, M. C. (1989). Generative processes of comprehension. Educational psychologist, 24(4), 345-376. 

  61. Wittrock, M. C. (1991). Generative Teaching of Comprehension.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92(2), 169-184. 

  62. Wolfe, J. M., & Horowitz, T. S. (2004). What attributes guide the deployment of visual attention and how do they do it? Nature Review: Neuroscience, 5(6), 495-5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