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QAR 전략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의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QAR Strategy on 5th Graders' Scientific Attitude in Elementary Schools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9 no.2, 2016년, pp.123 - 138  

오승민 (한국교원대학교) ,  정진우 (한국교원대학교) ,  김형범 (충북대학교) ,  정소피아(선경) (조지아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질문전략 중 QAR(Question-Answer-Relationship) 전략을 적용한 과학수업이 학습유형에 따라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5학년 4개 학급 97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49명과 비교집단 48명을 선정하였다. 수업실시 전과 후, 각 집단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여 자기질문전략이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실험집단 학생을 대상으로 Kolb의 자기보고식 학습유형 검사를 실시하여 학습유형에 따른 과학적 태도의 변화를 비교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적 태도에 있어 수업 실시 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실험집단의 학습유형을 분류한 결과 적응자(46.9%), 수렴자(24.5%), 분산자(20.4%), 융합자(8.2%) 순이었다. 자기질문전략을 적용한 수업 후 과학적 태도에 있어 학습유형 집단 간에는 통계적인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학습유형 중 융합자 보다는 적응자, 수렴자, 분산자의 과학적 태도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pplying the Question-Answer Relationship (QAR)strategy on the attitude toward science of the elementary fifth grade students whose learning styles have beenidentified. The population of the study constitutes the total of 97 elementary fifth g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자기질문전략 중 QAR 전략을 적용한 수업이 학습유형에 따라 학생의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서 QAR 전략을 과학수업에 적용한 실험 집단과 교사 질문 중심의 일반적인 학습을 적용한 비교집단을 선정하고 사전사후 검사를 Fig. 2.와 같이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독립 변인은 자기질문전략(QAR)활용 수업이고, 종속 변인은 학습 처치 결과로 나타난 학습자들의 과학적 태도이다.
  • 본 연구에서는 자기질문전략 중 QAR 전략을 적용하여 수업을 계획한 후, 자기질문전략을 활용한 과학 학습이 초등학생의 논리적 사고력 및 과학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 학습자의 학습유형을 분석하여 자기질문전략을 활용한 수업이 학습유형별로 논리적 사고력과 과학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결론과 제언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의 자기질문전략 중 QAR 전략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변화와 학습자 유형에 따라 과학적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는 교실에서 학생이 생성한 과학적 질문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하고, 학생의 학습유형이 고려되지 않은 상태에서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장에 시사점을 제시해 줄 것이다.
  • 수업도입 단계에서는 학생들의 질문을 이끌어 내기 위해 인지적 갈등을 일으킬 수 있는 사진자료, 플래시, 동영상, 또는 교과서 그림과 설명문을 제시하였다. 학생들을 이 자료를 통해 질문 활동지에 자신이 모르는 개념이나 알고 싶거나 궁금한 부분, 자신이 본 수업과 관련하여 구체적 조건을 조작하거나 변인을 바꾸는 등 어떠한 질문이라도 기록하고 발표하도록 하였다. 수업 도입부터 질문생성을 하는 것은 수업 도입 부분에 질문의 기회를 주면 학생들이 무엇을 배울지 알고 모르는 것을 미리 확인하여 자신이 궁금증을 먼저 느끼고 수업에 집중할 수 있기 때문이다(King, 1992).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적 소양이란? 과학적 소양은 과학과 관련된 다양한 사회․문화적 문제에 참여하고 해결하며 적절한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것으로, 2009 개정교육과정에서는 과학 탐구능력과 과학적 태도뿐만 아니라 창의적이고 합리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과학적 소양을 강조하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09). 따라서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부딪히는 과학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과학적 지식과 사고력을 각자의 필요에 따라 자기질문전략을 통해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King, 1995).
QAR은 어떤 방법인가? 자기질문전략 중 QAR(Question Answer Relationship)기법은 Raphael과 Pearson(1985)이 학생들의 읽기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방법으로 제시한 학습 전략이며 Pearson과 Johnson(1978)이 제시한 질문 분류 방법을 근거로 하고 있다. Pearson과 Johnson(1978)은 교재에 포함된 정보와 독서의 사전지식에서 나온 정보 사이의 관계를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3가지 종류의 질문으로 범주화 하였다.
QAR이 근거로 한 질문 분류 방법에서 3가지 종류의 범주화된 질문은? Pearson과 Johnson(1978)은 교재에 포함된 정보와 독서의 사전지식에서 나온 정보 사이의 관계를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3가지 종류의 질문으로 범주화 하였다. 첫 번째는 명시적 질문(explicit question)으로 이는 교재 내에 해답이 있는 경우를 말하며, 두 번째는 암시된 질문(implicit question)으로 이는 해답이 교재 내에 있으나 독자가 정보를 적절히 적용하여 답을 구하는 형태의 질문이고, 세 번째는 추론적 질문(scripturally implicit question)으로 글을 읽는 독자가 자신의 스키마를 이용하여 교재에 답이 없는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질문이다. 이를 바탕으로 Raphael과 Pearson(1985)은 Pearson과 Johnson(1978)의 3가지 질문에 대한 범주에 대해 범례를 추가하여 더 구체적인 질문으로 분류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교육과학기술부 (2009). 초등학교 교육과정 (제2009-41호), 179-210. 

  2. 김범준, 김형범, 조정은, 배성희(2015). 상호작용에 따른 논증수업이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3), 309-317. 

  3. 김성근, 여상인, 우규환(1999). 과학 수업에서의 학생 질문에 대한 연구(I). 학생 질문을 강화한 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3), 377-388. 

  4. 김효남, 정완호, 정진우(1998).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3), 357-369. 

  5. 박지민(2010). 초등학생의 학습 유형, 학업성취도, 체계화하기 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창원대학교 대학원. 

  6. 박정인(2007). 과학적 질문.공유 해결학습이 초등학생의 과학 수업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7. 배진호, 김정아(2008). 고차적 질문 생성 전략이 초등 과학 수업에 미치는 효과.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6(4), 555-565. 

  8. 이신동(2005). Kolb 학습유형에 따른 교수방법 선호도 비교. 아시아교육연구, 6(4), 125-144. 

  9. 이신동, 원재권, 김기명(2007). 초등학교 수학영재, 과학영재, 일반 학생의 학습유형 및 교수방법 선호도 비교. 영재와 영재교육, 6(2), 107-128. 

  10. 양미경(2002). 학생의 질문행동 및 내용의 특성과 그에 따른 교육적 시사점 분석. 교육학연구, 40(1), 99-128. 

  11. 조현숙(2004). 자기질문전략 훈련이 독해학습장애아의 독해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고신대학교 대학원. 

  12. 최선영, 김지인(2011). 초등과학에서 창의적 문제해결 수업 적용에 따른 학습자 유형에 대한 효과. 초등과학교육학회지, 30(4), 615-623. 

  13. 최은아(2006). 과학적 의문을 질문으로 유도한 수업이 초등과학학습 특성에 주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14. 채동현(2015). 대학 영재원 영재선발시험의 단계별 연관성에 관한 연구: 창의성의 일반 영역적 관점과 특수 영역적 관에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3), 259-266. 

  15. Furnham, A., Jackson, C. J., & Miller, T.(1999). Personality, learning style and work performanc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7(6), 1113-1122. 

  16. King, A.(1992). Facilitating elaborative learning through guided student generated questioning. Educational Psychology, 27(1), 11-126. 

  17. King, A.(1995). Designing the instructional process to enhance critical thinking across the curriculum. Teaching of Technology, 22, 13-17. 

  18. Kolb, D. A.(1985). Learning style inventory. Boston: McBer & Company. 

  19. Kolb, D. A.(1993). LSI-IIa: Self scoring inventory and interpretation booklet. Boston: McBer & Company. 

  20. Kolb, D. A.(1999).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 as a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 Hall. 

  21. Leah, H., & Edward, L. S. J.(2009). Using question-answer relationships to build reading comprehension in science. Science Activities, 45(4). 

  22. Margaret, E. M., & Roni, J. D.(1996). Using question-answer relationship strategy to improve students' reading of mathematics text. The Clearing House, 69(3), 154-161. 

  23. Pearson, P. D., & Johnson, P. D.(1978). Teaching reading comprehension. New York: Hot, Rinehart & Winston. 

  24. Raphael, T. E., & Pearson, P. D.(1985). Increasing student's awareness of sources of information for answering question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2, 217-236. 

  25. Raphael, T. E., & Au, K. H.(2005). QAR: Enhancing comprehension and test taking across grades and content area. The Reading Teacher, 59(3), 206-220. 

  26. Willamson, R. A.(1996). Self-questioning-an aid to metacognition. ReadingHorisons, 37(1), 30-4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