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학생 활동 중심의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모형 개발 및 적용: 지구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Student Activity-centered High School Science Textbook Model: Focused on Earth Science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9 no.2, 2016년, pp.139 - 151  

이효녕 (경북대학교) ,  이현동 (경북대학교) ,  채동현 (전주교육대학교) ,  임성만 (한국교원대학교) ,  전재돈 (경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 활동 중심의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모델을 개발하고, 개발한 모델을 현장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학생 활동 중심의 교과서 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국내 및 국외 교과서와 교육과정에 대한 문헌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선행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7E 순환 학습 모델에 기반한 교과서 개발 Framework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Framework를 토대로 '시스템과 상호작용 - 지구시스템'의 성취 기준에 대한 학생 활동 중심의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모델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모델은 총 5차시 분량이며 시스템 사고, 융합인재교육에서 추구하는 여러 가지 목표를 반영하였다. 1~4차시까지는 최종산출물을 도출하기 위한 유기적은 연결되어 학생활동 중심의 탐구로 구성하였다. 마지막 5차시는 직업과 진로에 대하여 탐색할 수 있는 단원으로 제시하였다. 개발한 모형을 학교 현장에 투입한 후, 학생들의 반응을 살펴본 결과 수업에 대한 흥미, 교과서 내용, 산출물의 도출 등에서 학생들이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개발한 모델을 학교 교육과정에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한 교과서가 만들어진다면 학생들의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the student activity-centered science textbook model in high school and explore the field application possibility. For development of student activity-centered science textbook model, we conducted a literature survey about foreign science textbook and sci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개발된 Framework를 토대로 고등학교 ‘과학’의 성취 기준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학생 활동 중심의 교과서 모델을 개발하며 이에 대한 현장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 나아가 산출물을 제작하는 과정에 시스템 사고를 활용하여 시스템의 상호작용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직업과 진로와 관련한 체험과 생각을 해볼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여 앞으로의 진로 탐색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 이 연구는 ‘학생 활동 중심’의 교과서 모형을 개발하는 것으로 그 목적에 맞추어 학생 활동이나 탐구활동 등이 잘 구현되어있고 지구과학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는 미국, 싱가포르, 일본의 교육과정 또는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 이 연구는 고등학교의 과학과 관련된 내용을 바탕으로 시스템 사고와 융합인재교육에 기반한 학생 활동 중심의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모델을 개발하고 현장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개발된 교과서 모형을 현장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광역시 소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21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과학에서 시스템과 융합인재교육을 기반으로 지구 시스템에 대하여 학생 활동 중심의 교과서 모형을 개발하고 현장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연구를 통해 알게 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이 연구에서는 교과서 개발을 위하여 학생 활동 중심의 교과서 개발을 위하여 국외 교과서 및 우리나라의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틀은 최도성(2013)에서 사용한 틀을 수정 보완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기존 분석된 선행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학생 활동이 강조된 국외(예, 미국, 싱가포르, 일본) 교과서 및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과학에서 시스템 사고와 융합인재교육을 기반으로 학생 활동 중심의 교과서 모델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나아가 학생 활동 중심의 교과서 모델 개발을 위한 Framework를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개발된 Framework를 토대로 고등학교 ‘과학’의 성취 기준 중 하나를 선택하여 학생 활동 중심의 교과서 모델을 개발하며 이에 대한 현장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 앞서 제시한 Framework를 통해 학생 활동 중심의 교과서 모형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여준다. 첫째, 융합인재교육의 측면에서 접근하여 소단원의 유기적인 연계를 통해 도전 문제에서 제시한 과제의 최종 산출물을 제시하는 것이 중단원의 목표이다. 둘째, 지구과학의 특징을 살려 ‘시스템’을 강조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시스템 사고를 활용한 접근을 전략을 구상하며 나아가 제시되는 다양한 자료에서 시스템 사고가 가능하도록 배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싱가포르는 무엇을 바탕으로 난이도별 기준에 기초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는가? 싱가포르는 국가수준의 성취도 평가(GCE: Singapore-Cambridge General Certificate Of Education)를 바탕으로 제시되는 난이도별 기준에 기초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 교육과정은 다양성, 순환, 상호작용, 에너지, 과학과 기술, 측정, 모형과 시스템 등 7개의 Big Ideas를 바탕으로 탐구 중심으로 기술되어 있다. 그리고 기본적인 과학 개념, 원리, 이론을 학생 스스로 탐구하여 깊이 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그 내용이 제시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융합인재교육에서 추구하는 교육목표가 무엇에 반영되어 있는가? 더욱이 지구과학 영역에서는 지구계 교육이 교육과정에 반영되면서 여러 개념을 통합하는 통합 교육과정으로서의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융합인재교육에서 추구하는 교육목표가 학생 활동에 중요하다고 시스템, 시스템적 요소가 반영되어 있다(이효녕, 2011; 이효녕 등, 2013)
과거 산업 사회와는 다른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 변화된 교육의 패러다임의 특징은 무엇인가?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는 과거 산업 사회와는 다른 교육의 패러다임을 적용하고 있다. 즉, 지식 정보화 사회의 교육에서는 구성주의 철학을 중심으로 학습자가 주도적이고 자율적으로 교육을 선택하여 학습할 수 있는 것을 강조한다(강인애, 2003). 이와 같은 패러다임처럼 우리나라도 제7차 교육과정부터 최근 이루어진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학습자 중심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권치순, 조한수(2011). 한국과 핀란드 초등과학 교과서의 체제와 내용 비교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4(2), 134-141. 

  2. 강인애(2003). 왜 구성주의인가? 서울: 문음사. 

  3. 교육부(1998). 제7차 교육과정. 서울: 교육부. 

  4. 교육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 세종: 교육부. 

  5. 구슬기, 박일우(2012). 한국과 미국의 초등과학 교과서 과학 글쓰기 과제 분석. 초등과학교육학회지, 31(4), 463-480. 

  6. 김미영, 김경희(2010). 우리나라, 싱가포르, 대만의 과학 교과서 비교 연구 : 생명 영역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4), 498-518. 

  7. 김지혜, 민병미, 이유미, 손연아, 김동렬, 김태훈 (2013). 한국, 일본, 미국의 초등 과학 교과서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내용 비교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7(2), 619-644. 

  8. 김효남, 박도영(2009). Elementary Science Textbook Analysis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과학교육연구지, 33(2), 258-270. 

  9. 박윤배, 권성기, 윤은정(2015). 수업 변화 유도를 위한 과학 교과서 개선 연구(물리). 한국과학창의 재단 연구보고. 

  10. 배현경, 정공수(2008). 한국과 미국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의 지질학 탐구 활동의 비교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9(7), 626-639. 

  11. 백성혜, 원정애, 최정인, 최정임, 유정웅, 박철용, 송그론(2014). 수업 변화 유도를 위한 과학교과서개선 연구(화학).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 

  12. 서예원(2007).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비교 연구: 3학년 물질 영역의 과학적 개념 및 탐구 과정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학회지, 26(5), 509-524. 

  13. 이봉우, 박종석, 손정우, 심규철, 이기영, 이세연 (2016). 학생주도 실험 및 과제연구를 위한 과학탐구실험 교과서 모형 연구. 2016년 한국과학교육학회 국제동계학술발표대회, 159-160. 

  14. 이효녕(2011).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실행을 위한 중학생들의 지구계에 대한 이해. 한국지구과학회지, 32(7), 798-808. 

  15. 이효녕, 권혁수, 박경숙, 이현동(2013). 고등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측정을 위한 측정 도구 개발과 타당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5), 995-1006. 

  16. 정진수, 김동원, 임재근, 이윤정, 김은애, 임성만 (2012). 고교 융합형 '과학'교과서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5(2), 189-196. 

  17. 채동현, 임성만, 이효녕, 한제준, 이상균, 김은정 (2016). 학생 활동 중심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개발 및 적용; '지구와 우주'영역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1), 15-26. 

  18. 최도성(2013). 한국과 미국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비교 연구. 한국초등교육학회지, 24(2), 151-166. 

  19. 최변각, 이해신, 추병수, 문병권, 소영무, 이지은, 이정은, 조명아(2013). 고등학교 지구과학. 서울: (주)천재교육. 

  20. 한유화, 전은선, 백성혜(2014). 중학교 과학교과서, 교사의 인식 및 실험 수업 사례에서 나타난 과학적 탐구 요소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4), 349-357. 

  21. 竹?敬人, 山極隆, 森一夫 (2005). 未?へひろがる Science 第2分野(下). 大阪市: 啓林館. 

  22. Benbow, A., Carpenter, M., Hoover, M., Smith, M. J., & Southard, J. B. (2011). Florida edition of EarthComm: Project-based space and earth system science. New York, NY: It's About Time(R). 

  23. National Research Council[NRC].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4. National Research Council[NRC].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