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역 특화 주제형 과학동아리 활동이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f Impacts on Students' Scientific Attitude by Specialized Thematic Science Club Activities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8 no.6, 2017년, pp.438 - 447  

김상우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임성만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위수민 (한국교원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지역 특화 주제형 과학동아리 활동이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우리나라 남부에 있는 소도시 소재 2개의 인문계 고등학교에 재학생 중인 92명이었다. 연구를 위해 지역 특화 주제를 정하여 운영하는 2개의 과학동아리 46명을 실험집단, 지역 특화 주제를 정하지 않고 일반적인 수업을 운영하는 2개의 과학동아리 46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조사 내용은 과학에 대한 정의적 영역 중 과학적 태도와 관련된 검사지를 이용하여 대응표본 t-검증과 독립집단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지역 특화 주제형 과학동아리 활동은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과학적 태도의 평균점수가 동아리를 운영하기 전보다 향상되었지만 지역 특화 주제를 운영한 실험집단의 상승 폭이 통제집단의 상승 폭보다 더 컸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지역 특화 주제형 과학동아리 활동이 일상생활의 문제를 해결하는 학교, 가정, 사회 상황에서의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동아리 운영 전후에 실시한 검사 결과 통제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지역 특화 주제를 운영한 실험집단에서는 가정과 학교 상황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지역 특화 주제형 과학동아리 활동이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에 많은 긍정적 영향을 끼치므로, 현장에서 과학동아리를 운영하는데 있어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고려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pecialized thematic science club activities on the students' scientific attitud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ninety students from two high schools in Korea. The study group consisted of forty experimental groups and forty six scienc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하지만 과학동아리를 운영하는 형태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계획적으로 운영되지 못하고, 학생들이 익숙한 실험만을 반복하거나 단순히 시간을 보내는 활동으로 끝나는 경우도 많아 개선의 여지가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동아리 활동을 지역 특화 주제를 선정하고 이를 해결해나가는 나가는 형식으로 진행하는 동아리와 그렇지 않은 과학동아리를 비교 분석해서 지역 특화 주제형 과학동아리 활동이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 교육에서 전통적으로 강조해왔던 영역은 무엇인가? 과학 교육에서는 전통적으로 강조해왔던 인지적 영역 외에 근래에는 정의적 영역을 주목하고 있으며, 특히 정의적 영역 중 태도는 과학 학습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Hong et al., 2006;Kim and Lee, 2004; Lee and Kil, 2011; Lee and Wee, 2015).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어떤 것을 목표로 제시하고 있는가?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의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기르고, 과학적 태도를 기르는 것을 목표로 제시하고 있으며, 학생들이 갖추어야할 과학적 태도는 과학 문제를 해결하는데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태도임을 제시하고 있다(MOE, 2015). 과학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유발하고 유지하려는 노력은 미래의 과학기술 인력의 확보를 위해서 뿐만이 아니라, 개인과 사회 문제 해결에 과학 지식과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과학적 소양’을 가진 미래 시민을 양성하기 위해서도 꼭 필요하다(Lee and Kim, 2004; Yu et al.
과학교육에서 정의적 영역에서 동아리 활동은 어떤 도움을 주는가? 그러나 일반적으로 학교현장에서는 지적 영역을 강조하고 정의적 영역은 소홀히 다루어지는 경향이 있는데, 그것은 과학교육에서 정의적 영역의 개념이 모호하고 교육과정 개발 및 교수방법의 도입과 평가가 어렵기 때문이다(Ha, 1991; Hwang, 1991). 그런 의미에서 동아리 활동은 적성과 소질 계발, 건전한 인성발달과 독창적이고 유용한 창의적 능력함양, 공동체 의식과 강인한 정신력 함양 그리고 미래 사회 대응력으로서의 문제 해결력과 조직력, 갈등관리력 등과 같은 고차원적인 사회능력을 개발하기 위해 학생들의 자율적인 단체 활동과 동아리 활동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대되고 있다(Sung, 2000). 실제 과학동아리에 대한 참여는 과학에 대한 인식과 흥미 및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과학적 사고력을 신장하고 과학적 소양을 증가시키는 기능이 있다(Kang etal.,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Cho, K., Lee, G., and Kang, C., 2005, The Effect of Students' Science Club Activities On Science-Related Attitude. Symposium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005(1), 278-285. 

  2. Choi, W., Woo, K., and Park, H., 2004, Study about the Case that the High School Science Club Experience Affected on Students' Career Decis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4(6), 1070-1081. 

  3. Glynn, S. M., Taasoobshirazi, G., and Brickman, P., 2007, Nonscience majors learning science: A theoretical model of motiv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8), 108-1107. 

  4. Gogolin, L. and Swartz, F., 1992,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nquiry of the Attitudes toward Science of Nonscience College Stud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5), 487-504. 

  5. Ha, B., 1991,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Seoul; Educational Science Press. 

  6. Hong, J., Han, M., Chung, J., Choi, J., and Shin, Y., 2006, The Effect of HASA Program on the Science Related Attitudes, Science Knowledge and Scientific Inquiry Skill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5(2), 206-216. 

  7. Hwang, J., 1991, School learning and education evaluation. Seoul; Educational Science Press. 

  8. Jung, J., Wee, S., and Lim, s., 2015, Impact of Science Club Activities Associated with STEAM Activities on Students' Self-Efficacy and Attitudes toward Scienc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8(2), 183-192. 

  9. Kang, C., 2005, The Effect of Students' Science Club Activities on Science-Related Attitude. Master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10. Kwon, C. and Park, D., 1990, A Study on Elementary Students' Attitudes toward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0(2), 39-47. 

  11. Kwon, J., Kim, B., Woo, J., Chung, W., Choi, B., and Jeong, J., 2002, Science Education. Seoul; Educational Science Press. 

  12. Kang, K., Son, Y., Maeng, H., Kim, D., Kim, E., Lee, Y., and Hong, S., 2010, Instructional Practices on Science Teaching-Learning For the Pre-service and In-service Science Teacher. Seoul; Educational Science Press. 

  13. Kim, J. and Kim, J., 2014, The Changes of Attitude Related to Science of Students in the High School Science Club through the Creative-Experience Activity of Science field.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8(3), 471-489. 

  14. Kim, S., Lee, H., Lee, H., and Jung, J., 200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After-school Program for an Astronomy Observation Club in a Highschool: Standardized Coefficient Decision Program in Consideration of the Observation Site's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9(6), 495-505. 

  15. Kim, Y. and Lee, C., 2004, An Effectiveness of Science-Play Activity on the Scientific Attitudes and the Scientific Inquiry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3(1), 17-26. 

  16. Lee, J., Kil, J., So, K., and Yeau, S., 2011, The Effects of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using Plants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cientific Attitude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Biology Education. 39(3), 362-372. 

  17. Lee, J. and Wee, S., 2015, The Effects of STEAM Program Using Landslide on High School Students' Affective Domain.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6(4). 360-366. 

  18. Lee, M. and Kim, J., 2004,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4(6), 1082-1093. 

  19. MOE., 2015,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20. Ryu, J. and Yoo, K., 1997, The Effects of STS Program-Oriented Earth Science Instruction on the Science-Related Attitude and Scientific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18(6), 473-479, 

  21. Shim, K., Kim, H., Lee, H., and Ryu, H., 2005, Science Teacher Perception and Status of Management of Science Classes or Clubs in Secondary School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5(7), 794-800. 

  22. Song, K. and Lee, K., 201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xperiential Activity Program for Science Club in Middle Schoo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The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38(1), 23-37. 

  23. Sung, N., 2000, An Analysis of Actual Conditions and Education Needs of High School Students. Master Thesis, Ajou University. 

  24. Ryan, R.M. and Deci, E.L., 2000,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facilitation of intrinsic motivation, social development, and well-being. The American Psychologist, 55(1), 68-78. 

  25. Yu, E., Oh, H., and Kim, C., 2008, The Influence of Global Science Literacy-Oriented Instruction on Students' Views of the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9(7), 602-616, 

  26. Yun, J., Lee, J., and Moon, S., 2007, The Effects of Science-Related and Scientific Attitudes in Small-Scale Science Experimental Learning on 3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7(1), 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