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예비교사의 '지층과 암석'에 대한 프로젝트 학습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roject Learning on 'Strata and Rock' of Pre-service Teachers on Self 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Environmental Sensitivity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9 no.2, 2016년, pp.233 - 242  

이용섭 (부산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예비교사의 '지층과 암석'에 대한 프로젝트 학습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6년 3월부터 6월까지 15주간의 실험처치 기간을 설정하였으며,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B 교육대학교 4학년 1학기에 재학 중이고 '지층과 암석' 강좌를 수강하는 과학교육 심화 1개 반 34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집단을 구성하였다. 연구집단의 실험처치는 현장체험 중심의 지층과 암석에 대한 탐구활동으로 이루어졌다. 모둠별로 프로젝트 학습의 방법을 활용하여 탐방하고자 하는 지역을 설정하여 현장체험 학습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예비교사의 '지층과 암석'에 대한 프로젝트 학습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가 있었다. 둘째, 초등예비교사의 '지층과 암석'에 대한 프로젝트 학습이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효과가 있었다. 셋째, 초등예비교사는 '지층과 암석'에 대한 프로젝트 학습에 대해 흥미를 느끼며 학생들의 인식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learning about the project 'stratum and the rock ' of pre-primary teachers to th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environmental sensitivity. This study was set up experimental treatment period of 15 weeks from March 2016 to June, students who are B Educa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예비교사의 ‘지층과 암석’에 대한 프로젝트 학습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둘째, 초등예비교사의 ‘지층과 암석’에 대한 프로젝트 학습이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모둠별로 주제를 설정하여 찾아가는 체험중심의 탐구가 이루어졌다. 자연 현장에서 탐구활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연에 대한 감수성을 체험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러한 현장 체험 중심의 탐구활동은 자연스럽게 환경에 대한 감수성 함양에 도움이 되었다고 여겨진다.
  •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학습 적용 후,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 2003)을 살펴보면 초, 중등학생들의 프로젝트 학습은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며, 학습욕구, 자기 관리, 학습전략 수립, 자기 성찰 능력이 높아지고,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학업성취도, 탐구 과제의 몰입과 수행하는 태도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밝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래 초등학생들을 가르칠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학습 방법을 적용해 현장체험 중심의 학습으로 실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현장체험 학습방법 연구는 초등학생들을 가르칠 예비교사들임을 고려해 볼 때 가치가 있을 것이라 여겼다.
  • 초등예비교사들이 환경교육에 대한 올바른 인식이 없다면 지도하는 초등학생들에게 환경에 대한 올바른 모델링이 될 수 없다. 이에 초등예비교사들에게 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한 프로젝트 학습으로 현장체험 학습을 함으로써 자기주도적 학습능력향상과 환경에 대한 감수성 함양이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프로젝트 학습법이란 무엇인가? Kilpatrick(1918)은 프로젝트 학습법은 전심을 다하는 유목적인 활동이라고 정의하였다. 이후 프로젝트 학습법은 프로젝트 접근법(The Project Approach)이라는 용어로 재조직되어 사용되었으며, 학생들의 주도성과 학생들의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스스로 탐구하고 지식을 재창조하는 과정으로 중요시되는 학습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다.
프로젝트 학습의 특징은 무엇인가? 이후 프로젝트 학습법은 프로젝트 접근법(The Project Approach)이라는 용어로 재조직되어 사용되었으며, 학생들의 주도성과 학생들의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스스로 탐구하고 지식을 재창조하는 과정으로 중요시되는 학습방법으로 여겨지고 있다. 한조은 외(2015)에 의하면 프로젝트 학습은 개인, 소집단, 또는 학급 전체가 참여하는 학습 방법으로 교사의 지도와 동시에 학생 스스로 생활 속에서 문제를 찾아 계획하고 해결해 나간다고 밝히고 있다. 이러한 프로젝트 학습에 대한 선행연구 등(권옥희, 2003; 정모아, 2014; Du, 2012; Markham et al.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학습 방법을 적용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있어서 어떠한 의미가 있겠는가? 한조은 외(2015)에 의하면 프로젝트 학습은 개인, 소집단, 또는 학급 전체가 참여하는 학습 방법으로 교사의 지도와 동시에 학생 스스로 생활 속에서 문제를 찾아 계획하고 해결해 나간다고 밝히고 있다. 이러한 프로젝트 학습에 대한 선행연구 등(권옥희, 2003; 정모아, 2014; Du, 2012; Markham et al., 2003)을 살펴보면 초, 중등학생들의 프로젝트 학습은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며, 학습욕구, 자기 관리, 학습전략 수립, 자기 성찰 능력이 높아지고, 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학업성취도, 탐구 과제의 몰입과 수행하는 태도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밝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래 초등학생들을 가르칠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학습 방법을 적용해 현장체험 중심의 학습으로 실천하고자 하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강선미, 이정화, 정연옥(2011). 학교 숲을 이용한 체험활동이 초등학생의 환경감수성 및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4(2), 105-124. 

  2. 권옥희(2003). 프로젝트 수업이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권진, 류상희(2006). 실과 중심 프로젝트 학습이 초등학생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9(4), 51-60. 

  4. 김경순(2001). 충북지역 중.고등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감수성 및 태도와 환경친화적 행동의 관련성. 충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김근곤, 윤진식, 최경윤, 박선영, 배진희(2008). 전공간 협력 프로젝트 학습이 대학생의 의사소통, 문제해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4(2), 252-261. 

  6. 김진선(2004). 자기조절 학습전략 훈련이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손성현, 최성봉(2012). 중학교 과학과 IPER 수업과 PBL 수업이 학업성취도 및 자기주도적 학습 특성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5(1), 124-133. 

  8. 이미영, 최지연(2009). 실과 ‘간단한 생활용품 만들기’단원에서 프로젝트법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 22(4), 243-260. 

  9. 이상석, 황미자(2007).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국토지리학회, 41(3), 299-310. 

  10. 이용섭(2015). 초등예비교사의 생태동아리 멘토 활동이 초등학생의 환경감수성 및 환경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8(3), 378-386. 

  11. 이용섭, 김윤경(2015).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이 과학개념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8(3), 399-408. 

  12. 정모아(2014). 초등사회과에서 프로젝트 학습이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에 미치는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조상기, 전병만(1999). 프로젝트 중심 영어 교수-학습 모형이 영어학업 성취와 자기 주도적 학습 태도에 미치는 효과. 글로벌영어교육학회, 4(2), 101-125. 

  14. 조영남, 박순자(2002). 교과 통합을 통한 프로젝트 활동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에 미치는 효과. 교육학논총, 23(2), 101-117. 

  15. 한승희(2008). 문헌정보학 교육에서 프로젝트 중심 학습법이 학생의 문제해결능력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사례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3), 81-101. 

  16. 한조은, 박세희, 정보람, 김종원, 이선경(2015). 프로젝트 기반 에너지기후 변화 학습에 참여한 초등학생의 경험과 역량. 에너지 기후 변화교육, 5(2), 53-67. 

  17. Alp, E., Ertepinar, H., Tekkaya, C., & Yilmaz, A. (2008). A Survey on Turkish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Friendly Behaviors and Associated Variables.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14(2), 129-143. 

  18. Aslan, S., & Reigeluth, C. M. (2016). Examining the Challenges of Learner-Centered Education. Phi Delta Kappan, 97(.4), 63-68. 

  19. Aslan, S., Reigeluth, C., & Thomas, D. (2014). Transforming Education with Self-Directed Project-Based Learning: The Minnesota New Country School. Educational Technology, 54(3), 39-42. 

  20. Buchcic, E. & Grodzinska, J. M. (2004). Environmental Education in Polish Primary Schools. International Research in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13(3), 264-268. 

  21. Du, F. (2012). Using Study Plans to Develop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Implications from a Pilot Project. College Student Journal, 46(1), 223-232. 

  22. He, X., Hong, T., Liu, L., & Tiefenbacher, J. (2011). A Comparative Study of Environmental Knowledge, Attitudes and Behavi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China. International Research in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0(2), 91-104. 

  23. Horsley, T., O'Neill, J., & Campbell, C. (2009). The Quality of Questions and Use of Resources in Self-Directed Learning: Personal Learning Projects in the Maintenance of Certification. Journal of Continuing Education in the Health Professions, 29(2), 91-97. 

  24. Kilpatrick, W. H. (1918). The Project Method: The Use of the Purposeful Act in the Educative Process: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25. Lahiri, S. (2011). Assessing the Environmental Attitude among Pupil Teachers in Relation To Responsible Environmental Behavior: A Leap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Journal of Social Sciences, 7(1), 33-41. 

  26. Markham, T., Larmer, J., & Ravitz, J. (2003). Project Based Learning Handbook: A Guide to Standards -Focused Project Based Learning for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Buck Institute for Education. 

  27. Pitre, C. C., Curtis, A., Golash, I., Kuzmanich, K., Wenzl, G. (2008). Impact of Self-Directed Group Study Projects on Social Justice Teachers' Induction-Year Experiences. AILACTE Journal, 5, 75-9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