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대인 간 문제해결능력 및 또래 유능성 간의 관계
The Relations Between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Chil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nd Peer Competence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 아동학회지, v.37 no.4, 2016년, pp.57 - 67  

최난이 (서울여자대학교 아동심리학과) ,  남은영 (서울여자대학교 아동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chil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nd peer competence among children aged 4-5 and their mothers and teachers. Methods: A total of 54 children from 24 kindergartens were assessed on their interpersonal problem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Kim, 2007; Kwon & Park,2003). 그러나 위와 같이 선행연구는 어머니의 정서와 관련된 단일차원의 행동에 초점을 두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 부모의 상위정서철학은 당면한 정서적 상황에서 본인이 가진 고유한 신념 및 가치관에 의해 영향을 받는 구체적인 정서관련 양육 태도를 통해 아동의 사회성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 관계를 살피고자 한다. 또한 또래 유능성은 교사가 하는 평정이 가장 타당하다는 연구결과를 근거하여(J.
  •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구체적인 사회적 행동으로 나타나기 전의 선행 능력인 아동의 대인 간 문제해결능력과 아동이 사회적 장면에서 사회적 행동으로 드러난 또래 유능성에 영향을 주는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의 특성을 함께 탐색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아동의 인지·사회발달 및 사회적 적응을 돕기 위한 심리적 중재 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이라는 새로운 차원의 개입 방향성을 제시하리라 기대한다.
  • 즉 동일한 정서적 상황과 맥락에도 부모마다 느끼는 방식과 수용하고 표현하는 정도가 다르며 이는 자녀와의 정서적 상호작용으로 나타나 결국 자녀가 갈등상황을 대처할 수 있는 능력에도 영향을 미치리라 유추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정서관련행동을 포함하는 상위정서 철학이 자녀의 대인 간 문제해결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또한 또래 유능성은 교사가 하는 평정이 가장 타당하다는 연구결과를 근거하여(J. Park & Rhee,2001) 아동의 담임교사 통해 또래 유능성을 살피고자 한다.
  • 이에 부모와 자녀 관계에서 보이는 정서적 특성들을 다루기 위한 연구가 다수 실시되었으나, 대부분 정서의 단일적 부분에 초점을 맞춘 질문지법을 사용함으로써 대상의 질적인 특성은 간과할 수 있는 연구방법론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본 연구는 어머니가 본인과 자녀가 경험하는 정서적 상황에서 무엇을 중요시하고 어떻게 정서를 생각하며 관점을 두는가를 초점에 둔 상위정서철학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통제된 질문과 응답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주관적인 정서적 경험을 제공받는데 용이한 면접법을 채택하여 사용하였고 이에 대한 연구는 부모-자녀의 정서적 관계에 깊은 함의를 제공하리라 생각된다.
  • 이 연구는 아동의 심리사회적 발달과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인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에 주목하여, 서울시, 경기도, 인천광역시에 거주하는 54명의 만 4, 5세 아동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대인 간 문제해결능력 및 또래 유능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문제를 바탕으로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여 이와 함께 시사점과 제한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셋째, 아동의 사회인지발달 및 사회성 발달에 주요한 영향을 주는 요인인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에 대해 밝혔다. 그간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사회인지발달과 사회성 발달 간의 관계를 함께 탐색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 이 연구는 아동의 심리사회적 발달과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인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에 주목하여, 서울시, 경기도, 인천광역시에 거주하는 54명의 만 4, 5세 아동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대인 간 문제해결능력 및 또래 유능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문제를 바탕으로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하여 이와 함께 시사점과 제한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러한 결과는 부모가 정서코칭 상위정서철학을 보일 때, 아동은 질적으로 높은 수준의 놀이를 하고 낮은 비율의 부정적 정서표현을 보였다는 연구결과와 일맥상통한다(Katz & Windecker-Nelson, 2004). 즉 자녀가 슬픔이나 분노의 부정적인 정서를 경험할 시 어머니가 아이의 마음을 잘 인식하고 수용하며 감정을 다스리고 조절할 수 있는 교육의 기회를 삼는 상위정서 가치관을 가진 경우, 아동의 유능한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침을 시사하는 바이다. 결국 자녀의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은 자녀가 또래에 수용되어 친사회적이며 사교적 관계를 맺어나가고 주도하는 또래 유능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보여준다.
  • 특히 학령전 아동의 핵심적인 발달과업은 아동이 또래관계에 얼마나 적응적으로 참여하는 것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또래 관계를 중점으로 아동의 또래 유능성을 살피고자 하며 아동의 또래 유능성을 또래와 잘 어울리고 관계를 친사회적으로 유지하며, 주도할 수 있는 능력으로써 효율적이고 긍정적인 기능의 측면으로 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두 번째로 논의할 것은 자녀의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이 자녀의 또래 유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이는 어머니가 자녀의 정서표현에 대해 수용적이고 온정적일수록 아동은 또래 내 관계에서 유능한 것으로 평가받았다는 연구결과(Gottman & DeClaire, 1997; Song & Nahm, 2013)와 맥을 같이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상위정서철학은 무엇인가? 부모와 자녀 간의 정서적 상호작용은 자녀의 성장에 필요한 다양한 발달을 촉진시킨다. 최근 주 양육자의 정서 관련 태도가 아동의 구체적인 행동 발달로 연결되는 기제를 밝히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짐에 따라 정서에 관한 가치관 및 신념을 의미하는 ‘상위정서철학’이 Gottman, Katz와 Hooven (1996,1997)에 의해 소개되었다. 상위정서철학이란 정서에 대한 느낌과 태도들을 포함하는 상위 인지적 개념으로써, 정서적 행동에 대한 실행 기능을 수행하며 부모의 상위정서철학은 어머니 본인의 정서에 대한 상위정서철학, 자녀 정서에 대한 상위 정서철학인 두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된다.
부모의 상위정서철학은 자녀에 대한 양육행동으로 어떻게 나타나는가? 이는 부모-자녀 관계에서 본인과 자녀가 경험하는 부정적인 정서에 대해 부모가 어떤 신념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자녀와의 정서적 경험에서 구체적인 양육행동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본인과 자녀의 정서를 인식하는 정도가 높고 자녀가 느끼는 정서 경험을 자녀와의 친밀감 형성의 기회로 삼는 부모들은 자녀에게 허용적인 것으로 드러났다(Nahm, 2006). 또한 부모의 상위정서철학은 자녀의 정서조절능력, 사회적 기능, 신체적 기능, 학업 성취와도 관련 있고(Gottman et al.
부모의 상위정서철학의 두 가지 하위요인은 무엇인가? 최근 주 양육자의 정서 관련 태도가 아동의 구체적인 행동 발달로 연결되는 기제를 밝히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짐에 따라 정서에 관한 가치관 및 신념을 의미하는 ‘상위정서철학’이 Gottman, Katz와 Hooven (1996,1997)에 의해 소개되었다. 상위정서철학이란 정서에 대한 느낌과 태도들을 포함하는 상위 인지적 개념으로써, 정서적 행동에 대한 실행 기능을 수행하며 부모의 상위정서철학은 어머니 본인의 정서에 대한 상위정서철학, 자녀 정서에 대한 상위 정서철학인 두 가지 하위요인으로 구성된다. 어머니 본인의 정서에 대한 상위정서철학은 부정적 정서에 대해 어머니가 직접 느끼고 경험하는 태도를 말하고, 자녀의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은 일상에서 자녀가 경험하는 부정적 정서 상황에 대해 어머니가 갖는 고유의 인식방식 및 태도를 의미한다(Gottma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Diener, M., Isabella, R., Behunin, G., & Wong, M. (2008). Attachment to mothers and fathers during middle childhood: Associations with child gender, grade, and competence. Social Development, 17(1), 84-101. doi:10.1111/j.1467-9507.2007.00416.x 

  2. Eisenberg, N., Cumberland, A., & Spinrad, T. L. (1998). Parental socialization of emotion. Psychological Inquiry: An International Journal for the Advancement of Psychological Theory, 9(4), 241-273. doi:10.1207/s15327965pli0904_1 

  3. Eisenberg, N., Fabes, R. A., Shepard, S. A., Murphy, B. C., & Reiser, M. (1999). Parental reactions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s: Longitudinal relations to quality of children's social functioning. Child Development, 70(2), 513-534. doi:10.1111/1467-8624.00037 

  4. Eisenberg, N., Losoya, S., Fabes, R. A., Guthrie, I. K., Reiser, M., Murphy, B., . . . Padgett, S. J. (2001). Parental socialization of children's dysregulated expression of emotion and externalizing problem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5(2), 183-205. doi:10.1037/0893-3200.15.2.183 

  5. Gottman, J. M., & DeClaire, J. (1997). The heart of parenting: How to raise an emotionally intelligent child. New York: Simon & Schuster. 

  6. Gottman, J. M., Katz, L. F., & Hooven, C. (1996). Parent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emotional life of families: Theoretical models and preliminary data.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0(3), 243-268. doi:10.1037/0893-3200.10.3.243 

  7. Gottman, J. M., Katz, L. F., & Hooven, C. (1997). Meta-emotion: How families communicate emotionally.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8. Gottman, J. M., & Nahm, E. Y. (2007). Raising an emotionally intelligent child: The heart of parenting. Seoul: Hankyung BP. 

  9. Katz, L. F., & Hunter, E. C. (2007).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adolescent depressive symptomatology. Social Development, 16(2), 343-360. doi:10.1111/j.1467-9507.2007.00388.x 

  10. Katz, L. F., Maliken, A. C., & Stettler, N. M. (2012). Parental meta-emotion philosophy: A review of research and theoretical framework. Child Development Perspectives, 6(4), 417-422. doi:10.1111/j.1750-8606.2012.00244.x 

  11. Katz, L. F., & Windecker-Nelson, B. (2004). The child/adolescent meta-emotion coding system. Unpublished manuscript,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WA. 

  12. Lagace-Seguin, D. G., & Gionet, A. (2009). Parental metaemotion and temperament predict coping skills in early adolesc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Adolescence and Youth, 14(4), 367-382. doi:10.1080/02673843.2009.9748015 

  13. Lemerise, E. A., & Arsenio, W. F. (2000). An integrated model of emotion processes and cognition in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Child Development, 71(1), 107-118. doi:10.1111/1467-8624.00124 

  14. Nahm, E.-Y. (2006).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Korean American and European American parent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its relationship to parent-child interaction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3519650 

  15. Ramsden, S. R., & Hubbard, J. A. (2002). Family expressiveness and parental emotion coaching: Their role in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nd aggression.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 y, 30(6), 657-667. doi:10.1023/A:1020819915881 

  16. Rowlison, R. T., & Felner. R. D. (1998). Major life events, hassles, and adaptation in adolescence: Confounding in the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life stress and adjustment revisi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5(3), 432-444. doi:10.1037/0022-3514.55.3.432 

  17. Shortt, J. W., Stoolmiller, M., Smith-Shine, J. N., Eddy, J. M., & Sheeber, L. (2010). Maternal emotion coaching, adolescent anger regulation, and siblings' externalizing symptoms.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51(7), 799-808. doi:10.1111/j.1469-7610.2009.02207.x 

  18. Shure, M. B. (1982).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 cog in the wheel of social cognition. In F. Serafica (Ed.), Social cognitive development in context (pp. 133-166). New York: Guilford Press. 

  19. Stettler, N., & Katz, L. F. (2014). Changes in parents' metaemotion philosophy from preschool to early adolescence. Parenting, 14(3-4), 162-174. doi:10.1080/15295192.2014.945584 

  20. Webster-Stratton, C., & Hammond, M. (1997). Treating children with early-onset conduct problems: A comparison of child and parent training intervention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5(1), 93-109. doi:10.1037/0022-006X.65.1.93 

  21. Webster-Stratton, C., & Reid. M. J. (2003). Treating conduct problems and strengthening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in young children. Journal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11(3), 130-143. doi:10.1177/10634266030110030101 

  22. Choi, H. Y., & Min, K. H. (2007). The study on the validation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Comparison of suppression constructs in Korean cultur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1(4), 71-89. Retrieved from http://www.dbpia.co.kr/ 

  23. Huh, A. S. (2003). Mother's attitude toward children's expressiveness and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to peer competence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0212888 

  24. Im, H. J. (2009). Effect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on children's self-concept and children's peer competence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786450 

  25. Kim, E.-K. (2007). Preschoolers' peer competence model based on preschoolers' emotional ability and mothers' attitude toward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eness (Doctoral dissertation).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0998324 

  26. Kim, J., & Nahm, E.-Y. (2013). Relations between mother-child communication and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sychotherapy, 5(2), 35-49. Retrieved from http://www.newnonmun.com/ 

  27. Kim, J. Y., & Nahm, E.-Y.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response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 and children's stress-coping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regulatio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2(5), 13-28. Retrieved from http://childstudies.org/journal/view.php?number3353 

  28. Kim, T. E. (2014). The effects of emotional understanding an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strategies on peer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538878 

  29. Kim, Y.-J. (2014). The effect of the philosophical research group activity by using picture books on the same age group's problem solving skills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443585 

  30. Kwon, Y. H., & Park, K. J. (2003). Effects of emotionality,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strategies, and maternal behaviors o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4(3), 27-44. Retrieved from http://kiss.kstudy.com/ 

  31. Park, J., & Rhee, U. (2001). Development of a peer competence scale for preschool childre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9(1), 221-232. 

  32. Park, M.-H., & Jung, Y. (2012). Children’s goal orientation according to the goal orientation and parenting behavior of their parents. The Korean Journal of Human Development, 19(1), 123-141. 

  33. Park, W. J. (2009). The relationship among maternal attitude toward child 's emotional expressiveness, children's social perspectivetaking ability and children's coping strategies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1576513 

  34. Song, S.-J., & Nahm, E.-Y. (2013). Relations between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s of children’s metaemotion philosophy.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6(3), 1-17. 

  35. Sung, T. H. (2013).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children's ambivalence over emotion expressiveness and severity of depression (Master's thesis). http://www.riss.kr/link?idT13231975 

  36. Yoon, H. R. (2013). The relations between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children's interactive peer play perceived by mother and teacher (Master's thesis).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0681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