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성복 교육용 교재의 재킷패턴 비교분석 및 패턴개발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Jacket Sloper for Educational Textbook of Men's Wear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40 no.4, 2016년, pp.701 - 715  

유현 (동아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  양충선 (양충선 패턴연구소) ,  서추연 (동아대학교 패션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compared 3 types of jacket pattern design methods for men's wear (age range 25-35) in textbooks. We are to develop research pattern with problem solving based on an analysis of three jacket patterns. The comparative analysis revealed that loose-silhouette slopers A and B scored high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남성복 교재를 대상으로 재킷패턴 설계방법 비교 및 착의평가를 통해 25~35세 대상의 교육용 재킷몸판패턴을 개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25~35세 대상의 교육용 재킷패턴을 개발하기 위해 현재 사용되고 있는 남성복 교재 3종의 패턴설계방법에 대한 비교 및 착의평가를 통해 문제점들을 파악한 후 재킷몸판패턴을 개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패션시장에 새로운 소비의 중심축인 대상은? 패션을 통해 적극적인 개성을 표현하려는 젊은 남성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남성복 패션시장이 새로운 소비의 중심축으로 자리잡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새로운 소비주체 및 트렌드를 이끌고 있는 20~30대 남성들은 비교적 단순하고 정형화되어있는 남성복 틀을 깨고 다양한 의 복형태를 요구하고 있다(Jeong, 2011).
남성복 재킷디자인의 현 실태는? 이상과 같이 남성 소비자들의 의식변화 및 패션에 대한 요구도가 다양화됨에 따라 대학에서도 남성복 교재의 패션트렌드를 반영한 패턴에 대한 요구도가 높아지고 있다. 국내에서 출판된 남성복 패턴교재에 소개된 테일러드 재킷의 제도방법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지만 트렌디한 재킷의 실루엣을 나타내기에는 응용력이 미비한 부분이 많고(Park & Lee, 2013), 남성복 제작을 위한 전문패턴서적이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20~30대 남성들의 패션 요구사항은? 패션을 통해 적극적인 개성을 표현하려는 젊은 남성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남성복 패션시장이 새로운 소비의 중심축으로 자리잡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새로운 소비주체 및 트렌드를 이끌고 있는 20~30대 남성들은 비교적 단순하고 정형화되어있는 남성복 틀을 깨고 다양한 의 복형태를 요구하고 있다(Jeong, 2011). 그 중 남성복 정장의 경우 격식의 개념으로 입혀지던 과거와 달리 아이템 및 다양한 소재들이 남성복에 시도되어 종전의 남성복에서 통용되었던 격식을 과감히 탈피하여 다양한 패턴의 남성복 재킷디자인이 나오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Han, K. S. (2006). A study on consumer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pattern of jackets's original patterns-With a focus on local female bran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2. Jeong, Y. (201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atterns for pants for men in their early 20s and evaluation of subjective wear sens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5(3), 312-324. 

  3. Kim, M. O. (2009). The patternmaking of men's slim-fit jacket- focusing on men in the 30'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4. Kim, M. O., Kim, I., & Suh, M. A. (2012). Comparisons: Sizes in men's slim-fit jackets according to brand zones and number of buttons, and jacket patternmaking methods according to jacket style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20(2), 184-194. 

  5. Kim, M. O., Lee, M. S., & Suh, M. A. (2009). The effects of waist-line cutting portion on external appearance and performance in designing jacket patternmaking for men's casual jacket-Focusing on standard body type in 20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7(4), 616-625. 

  6. Kim, O. K., & Park, K. A. (2004). 남성복 패턴디자인 [Men's wear pattern design]. Seoul: Kyungchunsa. 

  7.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10). 6차 인체치수조사 [The 6th national anthropometric survey report]. Size Korea. Retrieved February 10, 2016, from http://sizekorea.kats.go.kr/02_data/outline05.asp 

  8.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2009). KS K 0511 Measuring method for thread per unit length in woven cloth. Seoul: Author. 

  9.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2011). KS K 0514 Measuring method for weight of cloth: small specimen method. Seoul: Author. 

  10. Korean Standards Association. (2015). KS K 0210-1 Test methods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fibre mixtures of textiles - Test methods for fibre identification. Seoul: Author. 

  11. Nam, Y. J., & Lee, H. S. (2003). 남성복 패턴메이킹 [Men's wear patternmaking]. Seoul: Kyohakyongusa. 

  12. Park, S. H., & Lee, E. H. (2013). A comparative study on the ease of men's jackets according to the pattern draft metho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9(2), 112-127. 

  13. Park, S. K., Uh, M. K., Jeong, J. C., Kim, M. J., & Kim, J. W. (2013). Men's wear pattern design. Paju: Gyomoon Publishers. 

  14. Shim, B. J., Li, E. J., & Suh, C. Y. (2007). Comparative analysis of jacket pattern and wearing evaluation for pattern design of men's fitted jacket.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1(5), 35-5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