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진로교육을 위한 웹기반 사이버강의 콘텐츠 개발 및 효과검증
The Study on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Web-based Cyber Class Contents for University Student's Career Education 원문보기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 한국데이타베이스학회지, v.23 no.2, 2016년, pp.225 - 238  

한미희 (General Education, Namseou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cyber class contents on website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o reinforce a career education. The participants of the experiment in this study are from Namseoul University who took the cyber class 'Self management and creation of vision.'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이를 위해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에 역점을 두었다. 따라서 앞에서도 언급한 바가 있지만 흥미를 이끌어내고 객관적인 자기이해와 직업정보, 그리고 전공확신 및 자신감 능력의 확보를 위해 다양한 심리검사를 활용하였으며, 1주에 2주차씩 이루어지는 강의에 유사한 내용을 기초에서 심화로 가는 과정으로 설계하였다.
  • 실제로 웹기반 사이버 강의를 통해 운영될 진로교육의 콘텐츠 개발은 그 연구가 매우 미흡한 실정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대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에 대한 정체성을 확립하고 자기관리와 함께 진로를 설정하여 철저한 준비와 행동실천이 될 수 있는 대학생활을 돕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Table 3]에서 제시하고 있다.
  • 또한 진로결정수준은 자신의 진로에 대한 결정과 그에 대한 확신의 정도를 의미하며 이는 자신의 진로에 대해 경험하고 있는 정서적 특성도 고려해 보는 것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의 내용처럼 진로정체성과 진로결정수준 향상을 위한 콘텐츠 개발을 중심으로 웹기반 사이버 강의를 활용하여 진로교육을 실행하고자 한다.
  • 즉 다양한 기회와 경험이 직업목표를 구체화하고 목표달성에 도움이 된다고 설명하고 있는데[Lee and Rojewski, 2009] 이는 대학에서 진로에 대한 교육적 의미는 매우 크다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 강의로 진행할 진로교육에 대한 콘텐츠에 대하여 진로확립과 결정수준의 향상에 조력할 강의 콘텐츠를 개발하고자 하며 이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이를 통해 대학생들이 바람직한 사회인으로서 성장할 수 있도록 조력하고자 하며. 본 연구가 대학생의 사이버 강의를 통한 진로교육의 확대와 활성화를 위해 기초적 토대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아래의 내용과 같다.
  • 본 연구는 대학생들에게 웹기반 사이버 교육을 통해 진로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로는 첫째, 웹기반 사이버 진로교육의 콘텐츠는 어떻게 구성되는가? 둘째, 웹기반 사이버 진로교육은 학생들에게 효과적인가? 이다.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진로교육을 위한 웹기반 사이버 강의를 실시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진로정체감 변화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하여 집단 간에 차이검증인 대응표본 t-test(paired t-test)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위와 같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웹기반의 사이버 교육을 통해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의 향상을 돕도록 하였다. 실제로 사회 진출을 위한 준비기관인 대학에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교육이 활성화 되고 확대되어야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것을 고려하여 정규교육과정으로 운영되는 웹기반 사이버 강의를 위한 진로교육 콘텐츠를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물론 진로교육 콘텐츠는 무엇보다 급속하게 변화하는 직업세계에서 요청되는 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지식과 기술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할 수 있다[Lim, 2011].
  • 본 진로교육 콘텐츠 개발은 대학생활 동안 바람직한 사회인으로의 준비가 될 수 있도록 진로에 대한 정체감 형성과 합리적인 진로결정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조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앞에서 전술하였듯이 대학생활 동안 ‘진로준비’를 중심으로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을 효과변인으로 설정하고 이에 대한 내용으로 콘텐츠를 설계하였다.
  • 이를 통해 대학생들이 바람직한 사회인으로서 성장할 수 있도록 조력하고자 하며. 본 연구가 대학생의 사이버 강의를 통한 진로교육의 확대와 활성화를 위해 기초적 토대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진로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웹을 기반으로 한 사이버 강의를 처치한 실험집단과 진로교육을 처치하지 않은 통제집단을 설정하였다 이에 대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와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이에 대한 내용은 연구문제의 가설을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2-1 :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진로정체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다.
  • 가설 2-2 :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진로결정수준이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다.
  • 연구가설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진로정체감에 대하여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다.」를 검증하기 위하여 집단의 사전·사후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대응표본 t-test를 하였다.
  • 이를 위한 본 연구의 효과검증을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분하고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으로 효과변인을 적용하였다. 이에 대하여「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진로정체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다」,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하여 진로결정수준이 유의미하게 향상될 것이다」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를 중심으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첫째, 진로교육의 목적을 위한 진로정체감 확립은 대학생들이 자신에 대한 이해를 통해 자신의 내적인 성숙을 향상시키며 진로에 대한 인식을 고양시킬 것이다. 둘째, 웹기반의 사이버 강의의 상호작용을 돕기 위하여 흥미로운 내용(성격 검사, 적성검사, 행동검사)들을 통해 정체성 확립과 직업정보, 진로결정수준 등을 소개하며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이버 강의의 장점은? 실제로 사이버 강의는 교수자와 학습자에게 인터넷을 활용하여 새로운 교육환경을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측면에서 상당히 긍정적인 호응을 받고 있으며, 이는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언제, 어디서나 수업을 수강할 수 있는 교육적 환경과 그리고 지역적 그리고 물리적 제약을 극복한다는 점에서 우월하다고 할 수 있다[Lee, 2005].
웹기반 사이버 교육의 교육적 효과가 떨어질 것으로 예측하는 이유는? 통상적으로는 웹기반 사이버 교육은 강의실에서 이루어지는 면대면 강의보다는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이 현저히 저하되어 교육적 효과가 떨어질 것이라고 예측되고 있다. 이와 같은 견해는 사이버 강의가 실시간 온라인 채팅과 같은 동기 방식을 활용하기는 하지만 매우 제한적이며 주로 비동기 방식에 의존하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즉 의사소통 및 피드백에 대한 지연은 학습의욕이나 효과를 현저히 저하시킬 수 있으며[Park et al.
웹기반 사이버 교육은 주로 무엇을 통해 이루어지는가? 특히 사이버교육은 사전에 개발된 콘텐츠를 통해 학습내용을 전달하고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학습 Q&A 등을 활용하여 교수 자가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 특성상 웹기반 사이버 교육은 교수자와 학습자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이 어려운 편이라고 할 수 있으며, 주로 콘텐츠와 LMS 등을 통해 교육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교과 특성에 부합하는 학습내용의 콘텐츠는 상호작용성을 높이는 효율적인 학습지원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에 주목된다[Lee and Lee,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n, Y. J.,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FI-R in terms of Undergraduate Students' Vocational Identity Status : Focused on the Freshmen of D University",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areer Education, Vol. 28, No. 4, 2015, pp. 17-40. 

  2. Choi, D. S. and Jeong, C. Y.,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Exploration Behavior and Motivational Factors and Attachment of Undergraduate Students",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Vocational Education, Vol. 22, No. 1, 2003, pp. 115-143. 

  3. Choi, D. S. and Kim, N. R., Career Education's Targets and Contents of the System Possess Microphotographs for Each Phase of Life, Ministry of Education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4. 

  4. Choi, G. S. and Noh, J. D., "A Study on Learning, System, and Administrative Variables Influencing Students' Satisfaction in Cyber-Education", Journal of Korea Information Strategy, Vol. 5, No. 2, 2002, pp. 23-52. 

  5. Eun, H. P. and Seon, Y, H., "Effects of a Web-based Learning Contents in Operating Room Nursing for Nursing Students",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 11, No. 9, 2011, pp. 384-394. 

  6. Harren, V. A., "A model of career decision making fo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14, No. 2, 1979, pp. 119-133. 

  7. Holland, J. L. and Holland, J. E., "Vocational indecision : More evidence and specul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Vol. 24, No. 5, 1997, pp. 404-414. 

  8. Holland, J. L., Daiger, D. C., and Power, P. G., MY vocational situation, palo Alto, CA :Counseling Psychologists Press, Incorporated, 1980. 

  9. Holland, J. L., Gottfrecson, D. C., and Power, P. G., "Some diagnostic scales for research in indecision making and personality : Identity, Information and Barri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39, No. 6, 1980, pp. 1191-1200. 

  10. Jeong, J. H., Won, M. S., and Lee, S, J.,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 13, No. 7, 2013, pp. 228-237. 

  11. Jeong, M. and Noh, A. 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areer Barriers and Career Decision Levels of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Vol. 5, No. 3, 2008, pp. 213-227. 

  12. Joo, Y. J. and Choi, S. H., "The Components and Strategies for Initiating the Cyber Education in University",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Vol. 33, No. 2, 2003, pp. 121-139. 

  13. Kim, B. H.,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college students",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University, 1997. 

  14. Koh, H. J., "The Relations between Decision Making styles and career search Self-Efficacy and Career indecision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Sookmyung University, counseling center, Vol. 18, No. 1, 1993, pp. 57-76. 

  15. Kwon, Y. I., "Course Management in Cyber Universities in Korea",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al Forum, Vol. 8, No. 2, 2009, pp. 109-130. 

  16. Lee, H. A. and Lee, Y., "A Case Study on e-learning Contents Development Types in "S" Cyber University", Journal of Digital and Design, Vol. 10, No. 1, 2010, pp. 147-156. 

  17. Lee, H. J. and Hong, Y. I., "Development of e-Learning Program on Blended e-Learning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Quality University Teaching", Asian Journal of Education, Vol. 11, No. 1, 2010, pp. 67-90. 

  18. Lee, I. H. and Rojewski, J. W., "Development of Occupational Aspiration Prestige :A Piece wise Latent Growth Model of selected Influence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Vol 75, No. 1, 2009, pp. 82-90. 

  19. Lee, S. N., "A Study on the Career Decisions of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Accounting : Focused on the University Students of Gyeonggi Province", The Korean Research Association for the Business Education, Vol. 10, No. 1, 2010, pp. 147-156. 

  20. Lee, S. Y., "Influencing Factors in Implementing the Web-Based Cyber Education", Korea Digital Contents Society, Vol. 6, No. 4, 2005, pp. 235-242. 

  21. Lee, S., "An analysis of interaction patterns in face-to-face and online synchronous/asynchronous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20, No. 1, 2004, pp. 63-88. 

  22. Lee, Y. D., Lim, E., Lee, J. Y., Choi, D. S., and Kim, N. R., "Establishment of life stages and career education goals and content",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4. 

  23. Lim, E. M., Song, M. S., and Lee, S, J.,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Identit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Major Transition Preparation of College Students", The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Career Education, Vol. 24, No. 4, 2011, pp. 1-20. 

  24. Lim, G. H., "A Study on specialization improving plan and manpower raising plan of the special high-school in Domestic are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9, No. 6, 2011, pp. 13-25. 

  25. Moore, G. and Kearsley, G., "Distance Education; A system view; Belmont, C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1996. 

  26. Park, C. G., Park, J. B., and Lee, J. W., "A Study on the Effects of Interactions Among Participants of Cyber Education",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Vol. 14, No. 3, 2007, pp. 179-197. 

  27. Park, S. J.,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on Career Development for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18, No. 2, 2012, pp. 259-267. 

  28. Seo, Y. R. and Lee, S. H., "Comparison between self-identity and career-identity on career attitude maturity",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 13, No. 2, 2012, pp. 525-542. 

  29. Shapiro, D. L., Furst, S. A., Spreitzer, G. M., and Von Glinow, M. A., "Trans-national teams in the electronic age : are team identity and high-performance at risk?",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 23, No. 4, 2002, pp. 455-467. 

  30. Shim, M. J. and Kim, J. M., "The Effect of Classroom Menu with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on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action in e-Learning Environment",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Vol. 15, No. 2, 2009, pp. 87-108. 

  31. Swanson, J. L. and Daniels, K. K., The career barriers inventory-revised, Unpublished manuscript,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Carbondale, 1995. 

  32. Yoon, Y. R., "Impact of Career Identity on Career Decision-Making Level in high school students", Educational and Cultural Journal, Vol. 15, No. 1, 2009, pp. 91-1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