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사이버강의 영향 요인에 관한 융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Affecting Factors of Cyber Lecture for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4, 2019년, pp.41 - 47  

강경심 (공주대학교 식품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 목적은 대학생의 사이버강의 융복합 영향요인을 검증하는 것으로 사이버강의 전 후 인식 수준 비교 검증을 통해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자료는 설문지이며, 15개 문항을 유용성, 흥미, 학업관련성, 사회적 상호작용, 사용의도의 5개 영역으로 분류하였다. 대학생의 사이버강의 인식수준은 5개 영역에서 학습 후 유의미하게 향상하였고, 특히 흥미와 학업 관련성에서 높게 향상되었다. 성별 및 학년별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5개 영역에서는 유의미하게 높아졌다(p<.001). 전공별 인식 수준은 사회과학전공이 흥미와 사용의도에서 학습 후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연구 결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사이버강의는 전반적으로 융복합 효과가 있음이 판명되었다. 사이버강의 컨텐츠 제작 시 흥미와 학업관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설계될 필요가 있으며, 유용성의 요인인 학업관련성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study is to enhance the convergence effects of cyber lecture for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the comparison and verification of recognition levels before and after cyber lectures. The study material was a questionnaire composed of 15 questions divided into fi...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0년대 이후부터 확산된 모바일 기기와 접목한 형태의 학습 환경을 새로운 학습 환경 패러다임이라고 정의하고 사이버강의의 목표를 학습자 중심의 학습 환경조성과 효과의 극대화라고 하였으며, 이를 위한 스마트인프라 기술, 지식전달 기술, 콘텐츠 개발 기술, 스마트트레이닝 요소 기술이 필요하고 하였다[20,21]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토대로 대학생 대상의 웹 기반 사이버강의에 대한 효과 검증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사이버강의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이버강의를 적용한 후 그 융복합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사이버강의 교과 운영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H. K. Shin & Y. A. Kim. (2011).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mart learning-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learning time-. Journal of the Korea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16(5), 93-105. DOI : 10.9723/jksiis.2011.16.5.093 

  2. Y. G. Chung & S. H. Lim. (2012). Cyber impact on education and job satisfac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0(4), 159-165. DOI : 10.14400/JDPM.2012.10.4.159 

  3. S. W. Lee. (2013). A study to improve full- cyber lectures : with focus on instructors' proposal.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4), 409-414. DOI : 10.14400/JDPM.2013.11.4.409 

  4. J. H. Seo. J. P. Jeong & E. J. Choi. (2016). The effects of smart learning o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pediatric nursing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11), 784-795. http://www.dbpia.co.kr/Article/NODE07063259 

  5. S. K. Shim. (2012). Relationship among the learning instrument,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in online clas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2(3), 487-497. http://www.dbpia.co.kr/Article/NODE01813215 

  6. S. E. Cho & J. H. Kim. (2017). A study on application for e-learning in university.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5(2), 241-244. DOI : 10.7236/JIIBC.2017.17.3.243 

  7. B. G. Lim & J. H. Lim. (2005). E-learning status in higher education in Korea and its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strategies.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1(1), 101-129. UCI : G704-SER000015054.2005.1.1.002 

  8. K. B. Min, M. H. Shin, T. H. Yu & S. H. Kwak. (2014). Strategies for revitalizing e-learning through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e-learning and the needs of distance learners in the domestic universitie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1), 30-39. DOI : 10.5392/JKCA.2014.14.01.030 

  9. J. S. Um & S. H. Cho. (2013). Case study for increasing the learning effect In cyber lecture.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16(10), 1230-1237. DOI : 10.9717/kmms.2013.16.10.1230 

  10. J. M. Ahn. (2010). A study on the learning effect of the cyber class: effective variables of university learners' contents and learning satisfactions. Journal of Cyber 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27(1), 171-213. UCI : G704-001789.2010.27.1.003 

  11. S. M. Jin & Y. H. Song. (2018)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contents by cyber education types - focused on cyber education for employees of health and welfare.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4), 205-211. https://www.earticle.net/Article/A335930 

  12. C. W. Moon & J. H. Kim. (2011). Interaction and flow as the antecedents of e-learner satisfaction. Journal of Korea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4(3), 63-72. UCI : G704-001447.2011.14.3.006 

  13. Y. S. Bea. (2010). A study on content design of online lectures to enhance academic performance -focused on the classes of cyber university,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11(3), 307-314. 

  14. S. H. Cho, J. S. Um & D. H. Hwang. (2004). The Survey for the effectiveness for cyber lecture's main components.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7(4), 542-549. UCI : G704-000883.2004.7.4.005 

  15. J. J. Woo, E. M. Kwak & H. J. Lee. (2018). The convergence study of smartphone overuse on cyberbullying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aggression. Korea Convergence Society, 9(5), 61-67. https://www.earticle.net/Article/A329690 

  16. S. H. Lee. (2017).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acceptance of cyber lecture: social influence and technology familiarity. Korea Business Review, 32(6), 85-102. DOI : 10.23839/kabe.2017.32.6.85 

  17. L. E. Jue. (2017).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cyber art education : focusing on a drawing cours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1), 663-668. DOI : 10.5762/KAIS.2017.18.1.663 

  18. M. H. Han. (2016). The study on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web-based cyber class contents for university student's career education. J. Inf. Technol. Appl. Manag, 23(2), 225-238. DOI : 10.21219/jitam.2016.23.2.225 

  19. K. H. Lee. (2015). The e-learning for practice training using augmented reality in the college education.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1(40), 443-476. DOI : 10.7230/KOSCAS.2015.40.443 

  20. J. Woo, H. S. Han & S. H. Lee. (2016). An exploratory study on smart learning environment,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IIBC), 16(1), 21-31. DOI : 10.7236/JIIBC.2016.16.1.21 

  21. K. S. Noh, S. H. Ju & J. T. Jung. (2011). An exploratory study on concept and realization conditions of smart learn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9(2), 79-88. DOI : 10.14400/JDPM.2011.9.2.079 

  22. J. M. Lee. (2012). The empirical study on the motivations for e-learning service usage of smart device users. Journal of Korean Socieity Internet Information, 13(2), 119-126. DOI : 10.7472/jksii.2012.13.2.119 

  23. G. Heo. (2014). A study o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the effect of e-learning. Review of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 15(6), 77-84. DOI : 10.7472/jksii.2014.15.6.77 

  24. L. J. Hyung & K. S. Young. (2015). Awareness and utilization plan of the smart learning in university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8), 5232-5239. DOI : 10.5762/KAIS.2015.16.8.5232 

  25. J. H. Park, J. M. Choi, B. L. Park & H. J. Kang. (2012). Establishing a sustainable future smart education system.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16(3), 495-503. DOI : 10.12673/jkoni.2012.16.3.4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