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 임상실습만족도,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전문직관의 연관성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the nursing profession in nursing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7, 2016년, pp.220 - 227  

박병준 (대구보건대학교 간호대학) ,  박선정 (여주대학교 간호학과) ,  조하나 (백석문화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임상실습만족도,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전문직의 연관성을 파악하고 이들 변수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로써, 4년제 간호 대학생 240명 대상으로 하여 수행하였다. 임상수행능력(F=1.888, p=.048)과 간호전문직관(F=1.976, p=.046)의 경우 전공만족정도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사후 검정한 결과 전공에 만족한다는 집단이 보통인 집단, 불만족하는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전문직관의 경우 전공에 만족한다는 집단이 불만족하는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상실습스트레스는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고,41%로 설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임상실습만족도,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전문직관의 정도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간호전문직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임상실습 중에 경험하는 스트레스정도가 임상실습의 수행능력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스트레스를 받으면서 임상실습에 임하는 것은 중요한 실습을 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실수를 범할 수 있고, 실수로 인하여 임상실습의 스트레스가 또다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앞으로 간호 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을 개발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linical practice stress,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the nursing profession. Data were collected from 240 students in the nursing college. Clinica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3학년과 4학년을 대상으로 임상실습 스트레스, 임상실습만족도, 임상수행 능력과 간호전문직관의 연관성에 대해 서술적 상관관계를 규명함으로서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방향을 찾고, 간호전문직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 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전공만족정도, 임상실습만족도,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전문직관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강원도, 충청도, 경상도에 각각 소재한 3개 대학의 간호(학)과 3학년과 4학년을 대상으로 편의 추출하여 수행한 연구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임상실습만족도,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전문직의 정도를 파악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간호대학생의 임상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대학교육 개발 과정 및 진로 설정의 방안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이에 따라 선행연구의 이론과 통계 등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수행능력, 임상실습만족도, 간호전문직관에 대해 분석하고 이들 변수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함으로써 간호대학생들의 임상 수행능력과 간호전문직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처음 임상실습'은 무엇을 유발하는 요인인가? 특히 ‘처음 임상실습’이라는 자체는 가장 높은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2]. 임상실습에서 경험하는 과도한 스트레스는 자칫 실습에 대한 흥미와 미래에 대한 긍정적 기대에 대한 박탈을 경험하게 할 수 있고, 그것은 곧 간호사로서의 전문직 인식에 영향을 줄 수있다[5].
간호교육은 어떤 학문인가? 또한, 인간을 총체적인 존재로 보고 신체적, 정신ㆍ심리적, 사회ㆍ경제적, 영적 측면의 전인간호에 그 목적을 두며, 이론과 실무를 중심으로 하는 복잡하고 어려운 학문이다[2].
간호교육의 목적은 무엇인가? 간호교육의 목적은 복잡하고 다양한 임상환경에서 간호사로서 업무를 수행하는데 모자람이 없도록 지식과 기술을 교육하여 임상실무를 원활하고 능숙하게 수행하는 간호사를 배출하는 데에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G. Maha, Stress and coping :Junior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settings. Nursing Forum, Vol. 33, No. 1, 1998. 

  2. E. J Yeun, Y. M. Kwon, O. H. An, Development of a Nursing Professional Value Scal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5, No. 6, pp. 1091-1100, 2005. 

  3. C. Barrett, F. Myrick, Selecting clinical preceptors for basic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a critical issue in clinical teach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 19, No. 1, pp. 194-202, 1994. DOI: http://dx.doi.org/10.1111/j.1365-2648.1994.tb01068.x 

  4. H. W. Kwak, J. E. Yi, Rel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clinical stress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2, pp. 147-155, 201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2.147 

  5. J. A. Yee, A Study on the Image of Nurses and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0, No. 3, pp. 325-334, 2004. 

  6. M. Y. Kim, Affecting Factors on Clinical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3, pp. 1884-1893,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3.1884 

  7. S. R. Kim, J. E. Lee, Relationship among Stress Coping Strategies, and Self-esteem in Nursing Students Taking Clinical Experienc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Nursing Education, Vol. 11, No. 1, pp. 98-106, 2005. 

  8. S, Y, Mun. N, Y, Yang,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Self-directed Learning with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3, No. 4, pp. 473-480, 2007. 

  9. S. H. Lee, S. Y. Kim & J. A. Kim, Nursing Students' Image of Nurse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0, No. 2, pp. 219-231, 2004. 

  10. M. S. Kim, Nursing Education for the Cooperative, Education Korea Annual Symposium, 1995. 

  11. Y. Y. Choe, Nursing Students and the clinical performance and stress factors Related research,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Gwangju, 2001. 

  12. S. J. Han,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Empowerment and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 6, No. 1, pp. 132-146, 2000. 

  13. H. S. Kim,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ublic Health Nursing, Vol. 16, No. 1, pp. 64-76, 2002. 

  14. Y. J. Choi, A study on the related facto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hospital nurs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2009. 

  15. U. S. Ham, H. S. Kim, I. S. Cho, Affecting Factors of Nursing Professionalism Perceived by Seni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Nursing Education, Vol. 17, No. 3, pp. 536-544, 2011.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11.17.3.536 

  16. E. G. Lee, H. S. You, I. H. Park, Affecting Factors on Stress of Clinical Practice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21, No. 2, pp. 154-163, 2015. DOI: http://dx.doi.org/10.11111/jkana.2015.21.2.1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