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해양환경산업의 시장규모 추계 및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Estimating the Market Size of the Marine Environmental Industries and Analyzing Their Economic Effects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2 no.5, 2016년, pp.536 - 546  

진세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에너지정책학과) ,  박세헌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정책연구소) ,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에너지정책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4년(2010-2013) 동안의 산업연관표로부터 해양환경산업의 시장규모 및 부가가치액을 추계하여 국민경제적 지위를 따져보고, 산업연관분석을 적용하여 해양환경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해양환경산업의 시장규모를 추계한 결과, 총 산출액은 2010년 1조 3,406억원에서 2013년 1조 9,723억원으로 증가하였으며, 총 산출액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 또한 0.04%에서 0.05%로 증가하였다. 부가가치액은 2010년 6,185억원에서 2013년 8,415억원으로 증가하였으며, 국내총생산에서 해양환경산업의 부가가치가 차지하는 비중은 0.05%에서 0.06%로 증가하였다. 또한 수요유도형 모형을 이용하여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 결과, 해양환경산업에서의 1원 생산 또는 투자가 국민경제 전체에 야기하는 생산유발효과는 2010년 1.8845원에서 2013년 1.8115원으로 소폭 감소하였다. 해양환경산업에서의 1원 생산 또는 투자로 발생하는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2010년 0.7680원에서 2013년 0.7063원으로 감소하였다. 해양환경산업에서의 10억원 생산 또는 투자의 취업유발효과는 2010년 10.17명에서 2013년 9.18명으로 감소하였다. 요컨대, 해양환경산업의 산출액 및 부가가치는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경제적 파급효과의 원단위는 감소 추세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sing the inter-industry tables over the period 2010-2013 published by the Bank of Korea, this paper attempts to uncover the national economic role of the marine environmental industries through the estimation of their market size and value-added, and to analyze their economic effects through in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여러 연도의 산업연관표를 동적으로 연결한 동적 분석의결과들을 통하여 해양환경산업의 시장규모 및 부가가치액과 경제적 파급효과를 한 눈에 정리함으로써 국민경제에서의 해양환경산업의 지위와 역할을 규명하고 나아가 해양환경산업 정책의 기초 자료로써 방향과 틀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본 논문은 산업연관분석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해양환경산업 부문을 중심에 놓고 이를 외생화하여 분석하고 해석하는 방법으로 해양환경산업에 대해 논의를 집중시킬 수 있었다는 데에 연구적인 측면에서도 의의를 가진다.
  • 한국은행에서 발표된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해양환경산업 부문의 시장규모 및 부가가치액을 추계하여 국민경제적 지위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해양환경산업의 산출이 자기 자신에게 미치는 효과를 제외하는 외생화 방법을 통하여 해양환경산업 부문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살펴보았다.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해양환경산업의 시장규모 및 부가가치액 추계를 통하여 해양환경산업의 국민경제적 지위를 파악하고,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산업연관표를 이용하고자 한다. 우리나라 산업연관표를 관장하고 있는 한국은행에서 발표한 연도별 산업연관표로를 이용하여 해양환경산업의 시장규모 및 부가가치액을 추계하고,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다.
  •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해양환경산업의 시장규모 및 부가가치액을 추계하여 국민경제적 지위를 따져보고,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해양환경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한국은행에서 발표된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해양환경산업 부문의 시장규모 및 부가가치액을 추계하여 국민경제적 지위 변화를 확인하였다.

가설 설정

  •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양환경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하면서 그 범위 또한 넓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전 지구적 에너지 위기와 기후변화의 불확실성이 점점 증가하고, 자연재난과 지구 생태계의 변화, 이에 따른 국제사회의 대응을 보면 해양환경산업의 위상은 과거와 달라질 것이다. 하지만 해양환경산업을 정의하고 그 시장규모를 추계하는 작업은 아직 걸음마 단계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류는 국제적인 해양환경 관리 협약을 통해 무엇을 하는가? 전 지구적 차원에서 발생하는 각종 해양환경 오염 및 해양생태계 교란에 대한 인류의 관심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해양환경 관리를 위해 인류는 국제적인 해양환경 관리 협약을 통한 규제로 오염원 배출을 제어하고, 해양 관련 국제기구들의 결의 및 프로그램을 통해 해양환경 보전 및 복구를 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인류의 관심이 날로 증가하는 대상은? 전 지구적 차원에서 발생하는 각종 해양환경 오염 및 해양생태계 교란에 대한 인류의 관심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해양환경 관리를 위해 인류는 국제적인 해양환경 관리 협약을 통한 규제로 오염원 배출을 제어하고, 해양 관련 국제기구들의 결의 및 프로그램을 통해 해양환경 보전 및 복구를 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해양환경 오염 및 해양생태계 교란에 대한 현재 모습은? 최근 해양 자원 및 공간에 대한 이용이 확대되고, 인위적인 해양환경 이용이 증가함에 따라 해양폐기물 투기, 육상오염물 유입 증가, 허베이스피리트호에 의한 서해의 유류오염사고 등 일련의 사건사고로 해양오염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유해물질의 생물 축적 및 생물확산에 의한 2차오염의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다(Park et al.,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ank of Korea(2014), Explanation of Input-Output Tables, Available at: http://ecos.bok.or.kr/jsp/use/pubselectnew/HandBook Select.jsp [Accessed 22 August 2016]. 

  2. Bank of Korea(2015), 2013 Input-Output Tables, Available at: http://ecos.bok.or.kr/flex/EasySearch.jsp [Accessed 22 August 2016]. 

  3. European Union(2007), Integrated Maritime Policy (Blue BooK), Available at: http://eur-lex.europa.eu/LexUriServ/LexUri Serv.do?uriCOM:2007:0575:FIN:EN:PDF [Accessed 22 August 2016]. 

  4. Heo, J. Y. and S. H. Yoo(2009), The role of the knowledge service industry in the four national economy,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and Business, Vol. 22, No. 6, pp. 3189-3208. 

  5. Kim, J., D. W. Jung and S. H. Yoo(2016), Analyzing the market size and the economic effects of the oceans and fisheries industry, Ocean and Polar Research, Vol. 38, No. 1, pp. 59-70. 

  6. Lee, M. K. and S. H. Yoo(2014), The role of the capture fisheries and aquaculture sectors in the Korean national economy: An input output analysis, Marine Policy, Vol. 44, pp. 448-456. 

  7. Miller, R. E. and P. D. Blair(2009), Input-output analysis: foundations and extension: 2nd ed, Prentice-Hall New Jersey, p. 750. 

  8.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2015), Oceans and Fisheries R&D Mid-long term Planning, Korea, Available at: http://www. mof.go.kr/article/view.do?menuKey386&boardKey22&article Key9124 [Accessed 22 August 2016]. 

  9. Nam, J. H.(2009), Green growth potential of marine and coastal environmental industry in Korea,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and Energy, Autumn annual conference in 2009, pp. 108-113. 

  10. Park, S. Y., J. H. Nam and S. H. Yoo(2013),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of developing marine environmental risk assessment and management technology,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Vol. 16, No. 1, pp. 20-40. 

  11. Pauli, G.(2010), The blue economy: 10 Years, 100 Innovation, 100 Million Jobs, Report to the Club of Rome. 

  12. UNEP, ILO, IOE, and ITUC(2008), Green Jobs: Towards decent work in a sustainable, low-carbon world, Available at: http://www.unep.org/PDF/UNEPGreenjobs_report08.pdf [Accessed 22 August 2016]. 

  13. Yoo, S. H. and T. H. Yoo(2009), The role of the nuclear power generation in the Korean national economy: An input-output analysis, Progress in Nuclear Energy, Vol. 51, No. 1, pp. 86-92. 

  14. Yoo, S. H. and J. S. Lee(2011), The economic value of improving the river environment, Journal of Water Policy and economy, Vol. 17, pp. 63-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