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의 흡수 역량이 프로세스 및 제품 혁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The Effect of Individual's on Absorptive Capacity on Process and Product Innovation 원문보기

지식경영연구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v.17 no.1, 2016년, pp.135 - 154  

장재승 (한국과학기술원 정보경영프로그램) ,  이준영 (한국과학기술원) ,  곽찬희 (한국과학기술원) ,  이희석 (한국과학기술원 경영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bsorptive capacity has been increasingly thought of as a potential source of innovation. From the knowledge management perspective, absorptive capacity is composed of a set of activities dealing with acquisition, assimilation, transformation, and exploitation of external and internal knowledge. T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흡수 역량과 혁신 역량과의 영향관계를 개인 수준에서 알아보고, 흡수 역량의 각 단계별 역량이 어떠한 영향력을 가지는지 알아보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 본 연구는 흡수 역량을 구성하고 있는 획득, 동화, 변환, 활용에 대해 각 단계를 개인 수준으로 측정하여 종속 변수인 프로세스 혁신과 제품 혁신으로 구분한 혁신 역량과 어떠한 영향관계가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기존 문헌 연구에서 충분히 다루지 않았던 개인 수준의 흡수 역량이 어떻게 혁신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지, 각 단계별 어떠한 영향력을 가지는지를 파악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 둘째, 개인 수준의 흡수 역량의 네 가지 단계 중 어떤 역량이 개인 수준의 제품 혁신에 대해 영향관계를 가지는지를 연구한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흡수 역량의 다양한 세부 단계가 제안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세부 역량들과 혁신 역량 간의 관계를 다룬 연구는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흡수 역량의 세부 단계가 혁신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및 분석하여 연구의 간극을 메우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흡수 역량을 획득, 동화, 변환, 활용의 역량으로 세분화하여 각각의 역량이 프로세스 혁신 그리고 제품 혁신으로 반영되는 혁신 역량과의 영향관계에 집중하였다.
  • 하지만 흡수 역량이 개인 수준의 역량임을 감안했을 때, 개인 수준의 혁신 역량 연구가 필요하다 판단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인 수준의 흡수 역량의 각 역량이 개인 수준의 제품 혁신과 프로세스 혁신에 끼치는 영향에 중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 개인의 단계별 역량을 획득, 동화, 변환, 활용으로 구분하여 혁신 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혁신을 위한 개인 역량 강화에 방점을 어디에 두어야 하는지에 대한 단초를 제공한다. 특히 변환 역량이 혁신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파악되어 성과에는 실제 활용역량이 중요한 점과 대별되는 의미가 있다.
  • 본 연구는 흡수 역량을 구성하고 있는 획득, 동화, 변환, 활용에 대해 각 단계를 개인 수준으로 측정하여 종속 변수인 프로세스 혁신과 제품 혁신으로 구분한 혁신 역량과 어떠한 영향관계가 있는지를 탐색하였다. 기존 문헌 연구에서 충분히 다루지 않았던 개인 수준의 흡수 역량이 어떻게 혁신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지, 각 단계별 어떠한 영향력을 가지는지를 파악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 본 연구는 흡수 역량의 네 가지 단계를 개인 역량으로 정의하여 실무에 반영되고 있는 혁신 역량, 즉, 프로세스 혁신과 제품 혁신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가를 파악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 본 연구에서는 조직 구성원인 개인 수준에서의 지식에 대한 흡수 역량이 기업의 혁신 성과로 이어지는 연결고리를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개인의 흡수 역량을 획득(Acquisition), 동화(Assimilation), 변환(Transformation), 활용(Exploitation) 의 네 역량으로 나누어 이들 역량이 실제 업무로 반영되는 혁신 역량, 즉 프로세스 혁신과 제품 혁신에 직접적인 효과(direct effect)를 가지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Liao et al.
  • 셋째, 본 연구 결과는 흡수 역량의 어떠한 단계를 집중 육성하는 것이 혁신 역량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 방향을 제시하였다. 지식 획득의 경우 동화, 변환, 활용과 같은 단계를 거쳐 혁신 역량에 활용될 수 있는 형태로 발전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재확인 하였다(손하늬 et al.
  • 첫째, 개인 수준의 흡수 역량의 네 가지 단계 중 어떤 역량이 개인 수준의 프로세스 혁신에 대해 영향관계를 가지는지를 연구한다.
  • 본 연구에서는 조직 구성원인 개인 수준에서의 지식에 대한 흡수 역량이 기업의 혁신 성과로 이어지는 연결고리를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개인의 흡수 역량을 획득(Acquisition), 동화(Assimilation), 변환(Transformation), 활용(Exploitation) 의 네 역량으로 나누어 이들 역량이 실제 업무로 반영되는 혁신 역량, 즉 프로세스 혁신과 제품 혁신에 직접적인 효과(direct effect)를 가지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Liao et al. 2010).

가설 설정

  • 가설 1a : 지식획득은 프로세스 혁신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1b : 지식획득은 제품 혁신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a : 지식동화는 프로세스 혁신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2b : 지식동화는 제품 혁신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a : 지식변환은 프로세스 혁신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3b : 지식변환은 제품 혁신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a : 지식활용은 프로세스 혁신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4b : 지식활용은 제품 혁신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5: 지식획득은 지식동화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6: 지식동화는 지식변환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 7: 지식변환은 지식활용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개인의 흡수 역량을 어떻게 나누어 프로세스 혁신과 제품 혁신에 직접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는가? 본 연구에서는 조직 구성원인 개인 수준에서의 지식에 대한 흡수 역량이 기업의 혁신 성과로 이어지는 연결고리를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개인의 흡수 역량을 획득(Acquisition), 동화(Assimilation), 변환(Transformation), 활용(Exploitation) 의 네 역량으 로 나누어 이들 역량이 실제 업무로 반영되는 혁신 역량, 즉 프로세스 혁신과 제품 혁신에 직접적인 효과 (direct effect)를 가지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Liao et al. 2010).
외부지식을 받아들이고 체화함으로서 기업의 가치 창출을 이끌어내는 역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어떠한 개념이 도입되었는가? 이를 지식 경영 측면에서 살펴보면, 외부지식을 받아들이고 체화해 기업의 가치 창출을 이끌어내는 역량이 필수적이게 된 것이다. 이러한 역량을 측정하기 위해 도입된 개념이 흡수 역량(Absorptive capacity)이다. Cohen and Levinthal(1990)이 제시한 이래 흡수 역량은 단순히 새로운 지식을 흡수하는 것을 넘어 이를 활용해 새로운 경쟁력을 기업에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다.
흡수 역량은 어떠한 점에서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는가? 이러한 역량을 측정하기 위해 도입된 개념이 흡수 역량(Absorptive capacity)이다. Cohen and Levinthal(1990)이 제시한 이래 흡수 역량은 단순히 새로운 지식을 흡수하는 것을 넘어 이를 활용해 새로운 경쟁력을 기업에 제공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어 왔다. 특히 지식의 흡수와 활용 측면에서, 흡수 역량에 대한 지식 경영적 접근도 다양하게 이루어졌다 (김병수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9)

  1. 김구. (2011). 지방정부의 지식흡수역량과 혁신역량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기초자치단체의 조직문화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 20(1), 185-224 

  2. 김병수, 허용석, 한인구 & 이희석. (2010). 지식 경영 활동의 혁신 역량으로의 연계: IT 서비스 산업 중심으로. 지식경영연구, 11(1), 97-113. 

  3. 서현주. (2014). 실행 공동체 구성원의 흡수능력과 공동체 성과간의 관계. 지식경영연구, 15(1), 1-19. 

  4. 손하늬, 한세희, 허동철, 민진영 & 이희석. (2013). 지식획득과 변환을 통한 사회적 자본의 업무 성과에의 영향에 대한 실증 연구. 지식경영연구, 14(2), 117-135. 

  5. 이건창, 서영욱, & 한민희. (2009). 유비쿼터스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이 개인의 흡수역량을 통하여 업무성과, 직무몰입, 그리고 의사결정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경영학연구, 38(5), 1307-1328. 

  6. 최혁라, 유일, & 김선명. (2011). 기업간 전자상거래에서 중소기업의 정보기술 집단효능감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지식경영연구, 12(1), 91-110. 

  7. 허명숙, & 천면중. (2015). 구성원의 민첩성과 업무성과 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연구: 민첩성의 영향요인과 지식지향 리더십을 중심으로. 지식경영연구, 16(2), 139-172. 

  8. Anderson, N., Poto?nik, K., & Zhou, J. (2014). Innovation and creativity in organizations a state-of-the-science review, prospective commentary, and guiding framework. Journal of Management, 40(5), 1297-1333. 

  9. Anderson, Neil, Carsten KW De Dreu, & Bernard A. Nijstad. (2004). The routinization of innovation research: A constructively critical review of the state-of-the-science.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5(2), 147-173. 

  10. Ashrafi, N., P. Xu, J.P. Kuilboer & W.Koehler (2006), "Boosting Enterprise Agility via IT Knowledge Management Capabilities," In System Sciences, HICSS'06, Proceedings of the 39th Annual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EEE , 2, 46a-46a. 

  11. Bandura, A. & R. Wood(1989), "Effect of perceived controllability and performance standards on self-regulation of complex decision mak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1, 586-589. 

  12. Bandura, A.(1982), "Self-efficacy mech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37, 122-147. 

  13. Betz, F. (1987). Managing technology: competing through new ventures, innovation, and corporate research. Prentice Hall. 

  14. Cepeda­Carrion, G. Cegarra­Navarro, J. G. & Jimenez­Jimenez, D. (2012). The effect of absorptive capacity on innovativeness: Context and information systems capability as catalysts. British Journal of Management, 23(1), 110-129. 

  15. Chandy, R. K., & Tellis, G. J. (1998). Organizing for radical product innovation: The overlooked role of willingness to cannibaliz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5(4), 474-487. 

  16. Chen, Y.-S., Lin, M.-J. J., & Chang, C.-H. (2009). The positive effects of relationship learning and absorptive capacity on innovation performance and competitive advantage in industrial markets.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38(2), 152-158. 

  17. Chesbrough, H. W. (2003). Open innovation: The new imperat ive for creat ing a nd profiting from technology: Harvard Business Press. 

  18. Chin, W. W. (1998). The partial least squares approach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odern methods for business research, 295(2), 295-336. 

  19. Chin, W. W., Marcolin, B. L., & Newsted, P. R. (2003). A partial least squares latent variable modeling approach for measuring interaction effects: Results from a Monte Carlo simulation study and an electronic-mail emotion/adoption study.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14(2), 189-217. 

  20. Cohen, W. M., & Levinthal, D. A. (1990). Absorptive capacity: a new perspective on learning and innov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35(1), 128-152. 

  21. Darroch, J., & McNaughton, R. (2002). Examining the link between knowledge management practices and types of innovation. Journal of intellectual capital, 3(3), 210-222. 

  22. Delgado-Verde, M., Martin-de Castro, G., & Emilio Navas-Lopez, J. (2011). Organizational knowledge assets and innovation capability: Evidence from Spanish manufacturing firms. Journal of intellectual capital, 12(1), 5-19. 

  23. Deng, X., Doll, W. J., & Cao, M. (2008). Exploring the absor ptive capacity to innovation/productivity link for individual engineers engaged in IT enabled work. Information & management, 45(2), 75-87. 

  24. Earley, P.C. & T.R. Lituchy(1991), "Delineating goals and efficacy effects: A test of three model," Journal of the Applied Psychology, 76, 81-98. 

  25. Ettlie, J. E., & Reza, E. M. (1992). Organizational integration and process innova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5(4), 795-827. 

  26. Flatten, T. C., Engelen, A., Zahra, S. A., & Brettel, M. (2011). A measure of absorptive capacity: Scale development and validation. European Management Journal, 29(2), 98-116. 

  27. Flatten, T. C., Greve, G. I., & Brettel, M. (2011). Absorptive capacity and firm performance in SMEs: The mediating influence of strategic alliances. European Management Review, 8(3), 137-152. 

  28. Gefen, D., & Straub, D. (2005). A practical guide to factoria l va lidit y using PLS-Graph: Tutorial and annotated example. Communications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16(1), 5. 

  29. Gold, A.H., A. Malhotra & A.H. Segars (2001), "Knowledge Management: An Organizational Capabilities Perspective,"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18, 185-214. 

  30. Gopalakrishnan, S., & Damanpour, F. (1997). A review of innovation research in economics, sociology and technology management. Omega, 25(1), 15-28. 

  31. Jansen, J. J., Van Den Bosch, F. A ., & Volberda, H. W. (2005). Managing potential and realized absorptive capacity: how do organizational antecedents matter?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8(6), 999-1015. 

  32. Lane, P. J., & Lubatkin, M. (1998). Relative absorptive capacity and interorganizational learning.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19(5), 461-477. 

  33. Lane, P. J., Koka, B. R., & Pathak, S. (2006). The reification of absorptive capacity: A critical review and rejuvenation of the construc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1(4), 833-863. 

  34. Laursen, K., & Salter, A. (2006). Open for innovation: the role of openness in explaining innovation performance among UK manufacturing firms.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27(2), 131-150. 

  35. Lee, C. & P. Bobko(1994), "Self-efficacy beliefs: Comparison of five measures," Journal of the Applied Psychology, 79, 364-369. 

  36. Lee, H.J(2001), "Willingness and capacity: the determinants of prosocial organizational behavior among nurses in the UK,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12(6), 1029-1048. 

  37. Lemon, M., & Sahota, P. S. (2004). Organizational culture as a knowledge repository for increased innovative capacity. Technovation, 24(6), 483-498. 

  38. Liang, H., Saraf, N., Hu, Q., & Xue, Y. (2007). Assimilation of enterprise systems: the effect of institutional pressures and the mediating role of top management. MIS quarterly, 31(1), 59-87. 

  39. Liao, S.-H., Fei, W.-C., & Chen, C.-C. (2007). Knowledge sharing, absorptive capacity, and innovation capability: an empirical study of Taiwan's knowledge-intensive industries.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33(3), 340-359. 

  40. Liao, S.-h., Wu, C.-c., Hu, D.-c., & Tsui, K.-a. (2010). Relationships between knowledge acquisition, absorptive capacity and innovation capability: an empirical study on Taiwan's financial and manufacturing industries.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36(1), 19-35. 

  41. Lichtent ha ler, U. (2009). Absor ptive capacity, environmental turbulence, and the complementarity of organizational learning process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52(4), 822-846. 

  42. Lut ha ns, F. & C .M. Youssef(2007), "Emerging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Journal of Management , 33, 321-349. 

  43. Minbaeva, D., Pedersen, T., Bjorkman, I., Fey, C. F., & Park, H. J. (2003). MNC knowledge transfer, subsidiary absorptive capacity, and HRM.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34(6), 586-599. 

  44. Nieto, M., & Quevedo, P. (2005). Absorptive capacity, technological opportunity, knowledge spillovers, and innovative effort. Technovation, 25(10), 1141-1157. 

  45. Nunnally, J. & Bernstein, I. 1994. The assessment of reliability. In: Nunnally, J. (ed.) Psychometric theory (3rd ed.). New York, NY McGraw-Hill, 

  46. Park, J.-H., Suh, H.-J., & Yang, H.-D. (2007). Perceived absorptive capacity of individual users in performance of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usage: The case for Korean firms. Information & management, 44(3), 300-312. 

  47. Pavlou, P. A., & El Sawy, O. A. (2006). From IT leveraging competence to competitive advantage in turbulent environments: The case of new product development.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17(3), 198-227. 

  48. Podsakoff, P. M., MacKenzie, S. B., Lee, J.-Y., & Podsakoff, N. P. (2003). Common method biases in behavioral research: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recommended remedi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8(5), 879. 

  49. Roberts, N., Galluch, P. S., Dinger, M., & Grover, V. (2012). Absorptive Capacity and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Review, Synthesi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MIS quarterly, 36(2), 625-648. 

  50. Romijn, H., & A lba ladejo, M. (2002). Determinants of innovation capability in small electronics and software firms in southeast England. Research Policy, 31(7), 1053-1067. 

  51. Rusly, F.H., J.L. Corner & P. Sun (2012), "Positioning Change Readiness in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Journal of Knowledge Management , 16, 329-355. 

  52. Sanchez, R. & J.T. Mahoney (1996), "Modularity, Flexibility, and Knowledge Management in Product and Organization Design,"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17, 63-76. 

  53. Seo, Y. W., Chae, S. W., & Lee, K . C. (2015). The impact of absorptive capacity,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on individual creativity: Moderating effect of subjective well-being. Computers in Human Behavior, 42, 68-82. 

  54. Todorova, G., & Durisin, B. (2007). Absorptive capacity: valuing a reconceptualizat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32(3), 774-786. 

  55. Tsai, W. (2001). Knowledge transfer in intraorganizational networks: Effects of network position and absorptive capacity on business unit innovation and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4(5), 996-1004. 

  56. West, M. A., & Anderson, N. R. (1996). Innovation in top management team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1(6), 680. 

  57. Xu, Q., & Ma, Q. (2008). Determinants of ERP implementation knowledge transfer. Information & management, 45(8), 528-539. 

  58. Zahra, S. A., & George, G. (2002). Absorptive capacity: A review, reconceptualization, and extens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7(2), 185-203. 

  59. Zhao, Z.J. & J. Anand (2009), "A Multilevel Perspective on Knowledge Transfer: Evidence From the Chinese Automotive Industry,"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30, 959-98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