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중재사례를 통한 주요 건설 클레임 예측 방안
Forecasting the Effects of the Claims in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7 no.5, 2016년, pp.35 - 44  

김지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디자인.건축공학부) ,  임혜경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디자인.건축공학부) ,  최재현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설 프로젝트의 특성 상, 예측하기 어려운 리스크 인자에 노출되기 쉽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동일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분쟁이 주요 리스크 인자로 인식된다. 다양한 분쟁은 주로 클레임 제기, 조정, 중재, 그리고 소송으로 나타나며 막대한 비용과 시간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국내 건설기업의 건설 프로젝트 수행과정에서 발생하는 클레임, 분쟁의 유형과 원인을 도출하고, 각 원인의 영향도 분석을 통해 클레임, 분쟁관리에 대한 적극적인 대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 건설프로젝트에서 발생한 클레임, 분쟁 판례를 수집하여 유형과 원인에 따른 빈도와 영향도를 정량화 하고, 중요도 분석을 통해 주요 클레임 원인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주요 클레임 원인은 공사변경, 상대방의 부당한 행위, 공사 지연에 관한 클레임으로 해당 클레임 원인이 발생할 경우 클레임 비용에 대한 예측을 회귀 모형화 하였다. 주요 클레임 원인별 영향도 예측 결과 공사변경의 경우 전체공사비의 16.1%, 상대방의 부당한 행위는 전체공사비의 5.7%, 공사 지연은 전체공사비의 2.7%로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국내 건설산업의 주요 클레임 요인을 도출하고, 클레임 비용을 예측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인 클레임 대비에 활용 될 수 있도록 하였고, 더 나아가 국내 건설기업의 프로젝트 관리 역량 평가 및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arious risk factors are known to be the nature of construction project execution process. These factors lead to potential claims, dispute mediation, arbitration, and litigation which can result in huge loss of money and 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construction companies in Korea to impro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국내 건설프로젝트에서 발생한 클레임, 분쟁사례를 기반으로 클레임의 유형과 원인별로 분류하고, 각 클레임 원인별 빈도와 영향도를 통해 중요도를 분석하여 주요 클레임 원인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주요 클레임 원인별 영향도 예측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 클레임 원인별 영향도 분석은 전체공사비 대비 클레임비용(판정금액)을 백분율 하여 수치화한 값으로 정의하여 전체공사비에 클레임비용이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 하고자 하였다. 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다.
  • 일원배치 분산분석은 독립변수가 세 개 이상의 집단 평균을 비교하는 통계 검정방법으로 서로 다른 세 집단 간의 차이를 비교분석하는 통계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 클레임 요인인 공사변경, 상대방의 부당한 행위, 공사 지연에 의한 클레임에 따라 영향도에 대한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주요 클레임원인을 독립변수로 설정하고 종속변수를 클레임 원인별 영향도로 설정하였다.

가설 설정

  • 귀무가설은 클레임 원인에 따라 영향도의 차이가 없다.
  • 대립가설은 클레임 원인에 따라 영향도의 차이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설공사에서 분쟁의 발생이 필연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건설공사는 제조업 및 타업종과 달리 공사를 진행하는 시공기간이 길고, 다양한 업종의 다수의 시공자에 의한 복합적인 공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건설공사에서 분쟁의 발생은 필연적으로 발생한다5). 건설업의 규모는 우리나라 국민 총생산의 15%에서 17%를 차지하고, 취업인구의 10% 이상을 표용하고 있는 거대 산업이다.
국내 건설 산업의 규모 축소와 장기간 침체로 인해 국내 건설기업의 해외 건설시장 진출이 가속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건설기업의 수익성은 악화되는 원인은 무엇인가? 국내 건설 산업의 규모 축소와 장기간 침체로 인해 국내 건설기업의 해외 건설시장 진출이 가속화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건설기업의 수익성은 악화되는 어려움이 지속되고있다1). 수익성 악화의 원인은 저가수주 뿐만 아니라 경제, 정치, 사회 문화 측면에서 다양한 리스크에 직면함에 따라 리스크 관리역량의 미흡으로 건설 사업 성패와 기업의 수익성에 악영향을 미친다2). 건설 프로젝트의 특성상 예측하기 어려운 많은 리스크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갈등과 대립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갈등과 대립을 원만하게 해결하지 못하면 조정, 중재, 그리고 소송으로 진행하게 되어 막대한 비용과 시간의 손실로 이어져 수익성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클레임 유형 중 추가공사비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클레임 유형별 5가지 분류에 대한 정의는 다음과 같다. 추가공사비(Additional cost)는 건설공사의 특성상 계약상의 공사범위를 넘어서 추가로 공사를 시행하는 경우 공종은 동일하지만 양적으로 공사범위를 넓히는 경우와 공종이 달라지는 경우, 공사범위와는 상관없이 자재, 물품이 변경되는 경우에 대한 클레임을 의미한다. 손해배상(Compensation for damages)은 신청인의 귀책사유가 아닌 사유로 피해가 발생한 경우와 상대방이 일방적으로 계약을 해지하거나 일방적인 판단으로 공사비를 제외한 금액을 내는 등 이에 대한 클레임을 뜻하며, 지연배상금 청구는 손해배상 유형 속에 포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onstruction Association of Korea (2015). The main building statistics in the first half, 

  2. Cho, D. (2010). "The relationships between liability of handicaps, market entry costs, activities preparing for globaliz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s of venture firms : Comparison of Korean and Taiwanese Firms."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32(2), pp. 65-102. 

  3. Choi, J., Son, J., and Kim, J., (2015). "Developing a Project and Program Management Capability Assessment System for the Korean Construction Management Firm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6(1), pp. 3-13. 

  4. Doo S. (2003). Analysis of construction claims and future prospects in arbitral practice, Construction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5. Hyundai Economy Inofrmation Reseaerch Institute, (July 04, 2016). 

  6. KB Financial group Inc. (2013). "Overseas inspection of domestic construction companies" 13(128). 

  7. Kim, H. (2014). "A study on plans for improving the construction dispute resolution through case law study" MS thesis, Hanyang Univ. 

  8. Kim J. H. (2015). "Methodology for Identifying Critical Factors and Predicting their Effects of Claims in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MS thesis, Koreatech Univ. pp. 11-101. 

  9. Kim W. T, and Lee Y. H (2012). "Verseas construction contracts and claims management practices and countermeasures." Construction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p. 9. 

  10. Korean Commercial Arbitration Board (2014). Guide to disputing resolution through arbitration, (Dec. 15, 2005). 

  11. Korean Commercial Arbitration Board (2014). Claims Statistics in 2013, (Dec. 15, 2005). 

  12. Korean Commercial Arbitration Board (2009-2014). Construction arbitration judgement casebook, (Dec. 15, 2005). 

  13. Korea Development Bank (2015). "Diagnosis and implications of the competitiveness levels of domestic construction companies involving overseas construction." pp. 117-139. 

  14. Nam J. (2003). "Construction claims and dispute practices" 3rd ed, Gimundang. 

  15. Seo J. H., Kim Y. S., and Chin, S. Y. (2010). "Eliciting Management Factors of Claims types for Coping with The Construction Claim." Proceedings of KICEM Annual Conference, KICEM, 10, pp. 287-288. 

  16. Seo U. (2013)0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21" Free Academy. 

  17. Yun J. (2011). "The Construction Disputes Relations Act." 3rd ed, PAKYOUNG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