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프로젝트 관리자로서의 발주자 사업수행평가 프레임워크 개발
Developing an Owner's Project Evaluation Framework for Construction Management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7 no.5, 2016년, pp.130 - 137  

김종훈 (한미글로벌(주)) ,  이현수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박문서 (서울대학교 건축학과) ,  박상혁 ,  이인범 (한미글로벌(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설프로젝트의 성공은 프로젝트 관리자로서의 발주자의 참여가 중요하다. 그 이유는 일반적으로 프로젝트의 성공을 공기단축, 비용절감 등으로 측정하지만, 기존 성공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발주자의 역할을 고려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프로젝트 관리자로서 발주자를 위한 사업수행평가서를 개발하기 위해 통해 총 9개의 프로젝트 CSF와 27개의 sub-CSF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CSFs의 중요도를 평가하기 위해 AHP 기법을 활용하였으며, 기존 존재하던 PDRI 방법을 활용한 사업수행평가서를 개발하였다. 사업수행평가서를 활용하면 각 CSFs에 대한 초기 목표값을 설정하고 프로젝트 완료 후 평가 결과의 비교를 통해 프로젝트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평가할 수 있다. 평가결과를 실무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솔루션 맵을 제시하고 활용 가능한 솔루션 툴을 제안한다. 추후 연구에는 실질적인 검증을 위해 다양한 프로젝트 사례를 추가할 뿐만 아니라 평가를 통해 현장에 적용 가능한 솔루션 툴을 지속적으로 개발해야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wner's participation on a construction project can alter the success of a construction project. In general, success of a construction project is measured by project schedule and cost decrease without considering the role an owner has in a project. As a result, this research developed a framework 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프로젝트의 성공에 있어서 절대적인 수치에 의해 판단은 이루어지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는 건설프로젝트를 성공시키기 위한 요인을 도출하고 성공요인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도구를 제시하고자 한다. 프로젝트 관리자로서 발주자는 측정된 결과를 가지고 유사 프로젝트와의 비교평가를 통해 중점 관리해야 할 항목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발주자의 다양한 입장에 따라 프로젝트에서 요구하는 사항이 다른 점을 고려하여 프로젝트관리자로서 실무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사업수행평가모델의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것이다. 발주자가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평가도구를 제시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프로젝트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최적의 솔루션(solution)을 선택할 수 있는 맵(map)을 제안함으로써 건설 프로젝트 성공을 위한 합리적인 의사결정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 발주자의 프로젝트가 성공할 수 있는 지식적 기반을 제공하는 맵과 솔루션 툴이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솔루션 맵에 의한 툴의 개발 프레임워크(Framework)도 제안하고자 한다. 제공하는 솔루션 맵과 툴의 프레임워크는 실제 프로젝트가 수행될수록 수행된 결과가 반영된 솔루션을 개발을 통해 최종 모델을 개발하는 기반이 될 수 있다.
  • 본 눈문에서는 건설프로젝트의 특성에 맞춰 프로젝트관리자가 프로젝트관리 항목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평가서를 개발했는데 이를 활용하면 건설프로젝트 참여주체의 책임과 권한에 대한 명확한 이해도 가능하다. 또한 개발된 사업수행평가서는 발주자를 지원하는 건설사업관리자가 활용하면 성공적인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정확한 판단과 해결책을 제시하는 도구로 활용될 것이다.
  • 본 연구는 프로젝트 관리자로서 발주자가 성공적인 건설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사업수행평가서를 개발하고 평가결과에 따라 활용해야 할 솔루션 툴을 제공하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PDRI는 공기, 공사비와의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이미 미국에서 검증된 평가방식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활용하여 사전 프로젝트 계획단계에서 과업범위설정의 수준을 측정 및 평가하고, 계량화함으로써 과업범위관리에 유용한 도구인 사업수행평가서를 개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관리자로서의 발주자를 위해서 건설프로젝트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9개의 성공핵심요인을 선정하였고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사업수행평가서를 개발하였다. 도출된 성공핵심요인의 평가를 통해 프로젝트의 현황 파악은 할 수 있지만 이를 실무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실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 툴을 제공해야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발주자의 다양한 입장에 따라 프로젝트에서 요구하는 사항이 다른 점을 고려하여 프로젝트관리자로서 실무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사업수행평가모델의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것이다. 발주자가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평가도구를 제시하고 평가 결과에 따라 프로젝트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최적의 솔루션(solution)을 선택할 수 있는 맵(map)을 제안함으로써 건설 프로젝트 성공을 위한 합리적인 의사결정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프로젝트 핵심성공요인이란? 프로젝트 핵심성공요인(Critical Success Factors: CSFs)은 프로젝트 관리자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핵심 업무 분야이자 프로젝트 수행에 있어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팀 작업 수행을 위해 반드시 관리되어야 할 항목이다(Rockart, 1982; Han et al., 2012; Jeon and Kim, 2003) 프로젝트 핵심성공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프로젝트 단계에 따른 업무프로세스, 핵심성공요인, 핵심성공요인 관리방안의 관계를 Iyer and Jha (2006)와 Park and Kim (2003)의 연구를 바탕으로 프로젝트 단계, CSFs 유형, 프로젝트 특성의 세 축으로 구성된 핵심성공요인 매트릭스로 도식화하였다.
발주자의 관점에서 사업수행평가서를 개발하여 얻을 수 있는 기대효과는 무엇인가? 사업수행평가서를 개발하여 얻을 수 있는 기대효과는 프로젝트 계획 수립 단계에서는 상세 체크리스트로 활용이 가능 하고 표준화된 업무 범위 정의를 위한 용어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리스트 평가 및 관리가 촉진되고 사전 프로젝트 계획 진도에 대한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발주자 입장에서는 프로젝트 참여자 간의 요구사항이 충분히 이해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조정하는 도구로서 활용할 수 있다.
영국의 정부건설공사 조달지침에 따르면 발주자라 불리는 주체를 기능과 책임에 따라 어떻게 구분하는가? 그런데 발주자는 건설프로젝트 수행에서 다양한 입장을 가지고 있다. 국내의 경우는 발주 자(Project Owner)라는 하나의 용어로 통칭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반해 영국의 정부건설공사 조달지침 (Government Construction Procurement Guidance)을 보면, 발주자라 불리는 주체를 기능과 책임에 따라 투자의사결 정자(Investment Decision Maker), 프로젝트 오너(Project Owner), 프로젝트 스폰서(Project Sponsor), 그리고 프로젝트 관리자(Project Manager)로 구분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shley, D.B., Lurie, C.S. and Jaselskis, E.J. (1987). "Determinants of construction project success." Project Management Journal, 12(2), pp. 69-79. 

  2. Baker, B. N., Murphy, D. C., and Fisher, D. (1988). Factor affecting success. In: Cleland, D. L. & King, W. R. (Eds), Project Management Handbook, pp. 902-909.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3.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 (1997). "Benchmarking and Metrics Report for 1996."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 Austin, TX, pp. 145-147. 

  4. De Wit, A. (1988). Measurement of project success. International Journal of Project Management, 6(3), pp. 164-170. 

  5. Han, S.H., Yusof, A.M., Ismail, S., and Aun N.C. (2012) . "Reviewing the Notions of Construction Project Success." International Journal of Business and Management, 7(1), pp. 90-101. 

  6. Iyer, K., amd Jha, K. (2006). "Critical factors affecting schedule performance: Evidence from Indian construction project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32(8), pp. 871-881. 

  7. Jeon, S.J., and Kim, Y.S. (2003). "A Study on the Analysis of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Turn-key Construction Project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19(6), pp. 141-149. 

  8. Ko, C.H., and Cheng, M.Y. (2007). "Dynamic Prediction of Project Success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ASCE, 133(4), pp 316-324. 

  9. Lee, C.J, et. al., (2007). "The Deduction of the Success Factor in Construction Projects by Design Build Method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8(5), pp. 182-190. 

  10. Park, C.S., Kim, J.W. (2003). "A Study on the Success Factors Impacting on the Small Construction Project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4(3), pp. 67-75. 

  11. Park, J.W., et. al., (2011). "A Study of Deriving Critical Success Factors in Construction Projects."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Journal of Civil Engineers, pp. 381-384. 

  12. Pryke, S., and Smyth, H. (2006). The management of complex projects: a relationship approach. UK: Blackwell Publishing. 

  13. Rockart, J. F. (1982). "The changing role of the information system executive: a critical success factor perspective." MIT Sloan Management Review, 23(3), pp. 3-13. 

  14. Sanvido et al. (1992). "Critical Success Factors for Construction Project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18(1), pp. 94-1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