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 the Korean fashion industry to become more competitive, not only does it need to develop a higher value-added fashion products, but also needs to raise creative and professional talented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ways to develop new curriculum for education in the fashion d...
For the Korean fashion industry to become more competitive, not only does it need to develop a higher value-added fashion products, but also needs to raise creative and professional talented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ways to develop new curriculum for education in the fashion design field by analyzing the degree of recognition about the importance of curriculum in fashion design. Based on the curriculums of fashion design field of universities,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to measure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the degree of application for the curriculum of fashion design field. The study gathered data from 235 students from 6 universities in Seoul. Major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eferred career courses after graduation were fashion designer for woman's or menswear, patterner. Second, clothing construction field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subject in the present, while material planning field is considered to become the most important in the future. The fashion design field was evaluated as an important field in the present and the future. Third, fashion design, accessory design, fashion design CAD, fashion illustration were evaluated as important subjects and highly available for career. Fourth, fashion design CAD, fashion illustration, and textile design were evaluated as the courses that needed more emphasis. Flat sketch, spec sheet, on-the-job training were needed to be included. Fashion designer, and patterner were preferred for career courses. Clothing construction, material planning, and fashion design were evaluated as important fields. Accessory design, fashion design CAD, and fashion illustration were evaluated as important and highly available subjects for career. For the new curriculum in the fashion design field, more courses on fashion design CAD, fashion illustration, textile design and on-the-job training are needed.
For the Korean fashion industry to become more competitive, not only does it need to develop a higher value-added fashion products, but also needs to raise creative and professional talented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ways to develop new curriculum for education in the fashion design field by analyzing the degree of recognition about the importance of curriculum in fashion design. Based on the curriculums of fashion design field of universities,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to measure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the degree of application for the curriculum of fashion design field. The study gathered data from 235 students from 6 universities in Seoul. Major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eferred career courses after graduation were fashion designer for woman's or menswear, patterner. Second, clothing construction field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subject in the present, while material planning field is considered to become the most important in the future. The fashion design field was evaluated as an important field in the present and the future. Third, fashion design, accessory design, fashion design CAD, fashion illustration were evaluated as important subjects and highly available for career. Fourth, fashion design CAD, fashion illustration, and textile design were evaluated as the courses that needed more emphasis. Flat sketch, spec sheet, on-the-job training were needed to be included. Fashion designer, and patterner were preferred for career courses. Clothing construction, material planning, and fashion design were evaluated as important fields. Accessory design, fashion design CAD, and fashion illustration were evaluated as important and highly available subjects for career. For the new curriculum in the fashion design field, more courses on fashion design CAD, fashion illustration, textile design and on-the-job training are needed.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패션디자인분야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도를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보다 발전적인 교육방향의 모색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며, 나아가 패션디자인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창의적인 전문 인력 양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학의 패션디자인분야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도 분석을 통해 새로운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발전적인 교육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제안 방법
Ku, Kim, Park, Park, & Choo(1999)는 국내대학의 교과과정을 4개국과 교과과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기존의 교과과정 연구와 다르게 교과목을 패션산업의 생산과 유통과정에 따라 분류하여 치중, 취약한 교과목 분야를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를 종합하면, 패션 산업 환경이 급속히 변화하게 됨에 따라 전문성을 갖춘 인재양성을 위하여 교육과정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의류학 전반과 전문분야별로 교과과정 분석과 교육방향에 대한 제언, 교과과정에 대한 중요도 분석 등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패션산업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패션디자인분야에 대한 교과과정 분석과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도 분석이 미비한 실정이다.
연구대상을 3, 4학년 학생으로 선정한 이유는 3, 4학년 학생들이 패션관련학과의 교육과정의 대부분을 이수하였고, 졸업 후 진로 준비를 위해 1, 2학년 학생들보다 더 많은 경험과 준비를 하였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의 자료 수집은 패션 디자인분야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도를 파악하기 위해 20문항의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내용은 졸업 후 희망 진로분야, 의류학 전공분야에 대한 중요도, 패션디자인분야에 대한 중요도와 활용도, 심화교육 희망 교과목, 교과목 운영의 방향과 개선사항 등의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희망 진로분야, 전공분야, 교과목 등은 각 대학의 교과과정에 대한 검토와 선행연구, 학생 및 패션업계 실무자 등을 통한 사전 예비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선정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희망 진로분야, 의류학 전반 및 패션디자인분야에 대한 인식도, 교과과정 운영 방향과 개선사항 등을 분석하였다.
희망 진로분야, 전공분야, 교과목 등은 각 대학의 교과과정에 대한 검토와 선행연구, 학생 및 패션업계 실무자 등을 통한 사전 예비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선정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희망 진로분야, 의류학 전반 및 패션디자인분야에 대한 인식도, 교과과정 운영 방향과 개선사항 등을 분석하였다.
희망진로는 복수로 선택할 수 있게 하였으며, 235학생이 총 332회 선택함으로써 많은 학생들이 한 가지 이상의 진로를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 20가지 진로에는 기타 진로항목에 자유롭게 기록한 분야를 포함하였다.
의류학 전공분야를 복식디자인, 서양의복구성(패턴, 드레이핑), 패션마케팅(복식사회심리), 복식사, 한국의복구성, 패션디자인 CAD, 피복과학, 패션소재 기획 등으로 분류하고, 현재와 미래로 나누어 전공분야에 대한 중요도를 살펴보았다.
수업시에 느끼는 애로점으로 실습실 공간의 부족(111명), 과다한 수강 인원(105명)을 가장 큰 애로점으로 평가하였다. 그 다음으로 과제의 분량 과다(66명), 과제실 부족(57명), 패션디자인분야 과목수의 부족과 학생들의 관심 부족, 교과내용의 낙후성(각각 55명), 수업시간 이외 실습실 개방(50명), 교육용 교재 부족(43명) 등으로 나타났다.
대상 데이터
연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하는 6개 4년제 대학의 패션관련학과 3학년과 4학년 학생 총 235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을 3, 4학년 학생으로 선정한 이유는 3, 4학년 학생들이 패션관련학과의 교육과정의 대부분을 이수하였고, 졸업 후 진로 준비를 위해 1, 2학년 학생들보다 더 많은 경험과 준비를 하였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제시한 20가지 진로 중 가장 선호하는 진로는 42명이 선택한 여성복 디자이너였으며, 전체 학생 중 17.87%가 선택하였다. 그 다음으로 선호한 진로는 39명, 16.
87%가 선택하였다. 그 다음으로 선호한 진로는 39명, 16.17%가 선택한 남성복 디자이너, 31명, 13.19%가 선택한 패터너 순으로 선호하였다. 그 다음 순위로 창업 22명(9.
취업시 활용도가 높은 교과목으로는 120명이 패션 디자인이 가장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평가하였고, 액세서리 디자인, 패션디자인 CAD, 텍스타일 디자인이 각각 109명으로 함께 두 번째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평가하였다. 그 다음으로 패션일러스트레이션 108명, 패션디자인 실습 107명, 창작의상 97명 순이었다.
본인이 더 심화하여 공부하고자 하는 교과목 중에서 가장 많은 학생이 선택한 교과목은 71명이 선택한 패션디자인 CAD, 70명이 선택한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이었다. 그 다음으로 액세서리 디자인 65명, 패션디자인과 창작의상이 각각 60명, 텍스타일 디자인과 남성복이 각각 50명 등이다.
서울시 소재 4년제 6개 대학교 재학생 중 3, 4학년 235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패션디자인분야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도를 분석하였다.
성능/효과
(2002)의 연구결과에서 4년제와 2년제 모두 여성복 디자이너를 가장 선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 희망 진로는 4년제는 머천다이저, 2년제는 코디네이터를 희망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 1순위 희망 진로가 여성복 디자이너, 2순위가 남성복 디자이너, 3순위가 패터너로 나타난 것과 비교하면, 가장 선호하는 진로는 일치하였으나, 2순위부터는 시대와 대학 과정에 따라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패션디자인분야는 현재와 미래에 모두 중요하게 평가하였으며, 복식사분야, 한국의복구성분야, 피복과학분야 등의 전공분야는 현재와 미래 모두 중요도가 비교적 낮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피복과학분야는 현재, 한국의복구성분야는 미래에 중요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취업시 활용도가 높은 교과목으로는 120명이 패션 디자인이 가장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평가하였고, 액세서리 디자인, 패션디자인 CAD, 텍스타일 디자인이 각각 109명으로 함께 두 번째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평가하였다. 그 다음으로 패션일러스트레이션 108명, 패션디자인 실습 107명, 창작의상 97명 순이었다.
패션디자인 교과목은 패션디자인분야의 교과목 중에서 중요도와 취업시 활용도가 가장 높은 교과목으로 평가하였으며, 액세서리 디자인과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은 중요도와 취업시 활용도가 높은 교과목으로 평가되었다. 니트웨어 디자인, 무대복식, 패션미학 등의 교과목은 중요도와 취업시 활용도가 대체로 높지 않은 교과목으로 평가되었다.
패션디자인 교과목은 패션디자인분야의 교과목 중에서 중요도와 취업시 활용도가 가장 높은 교과목으로 평가하였으며, 액세서리 디자인과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은 중요도와 취업시 활용도가 높은 교과목으로 평가되었다. 니트웨어 디자인, 무대복식, 패션미학 등의 교과목은 중요도와 취업시 활용도가 대체로 높지 않은 교과목으로 평가되었다.
설강 비중을 높여서 강화되기를 바라는 교과목으로 패션디자인 CAD가 105명,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이 103명으로 가장 높게 평가되었고, 텍스타일 디자인이 95명, 패션디자인이 70명, 액세서리 디자인이 68명, 창작의상이 67명, 패션디자인 실습이 66명의 순으로 이어졌다.
또한 두 번째로 강의내용에 포함되기를 바라는 내용이 웨딩드레스인 것과 [Table 2]의 희망진로에서 웨딩드레스 디자이너가 비교적 높은 순위인 5위를 나타내었던 것은 희망진로와 강의내용에 포함되어 배우기를 바라는 내용이 관련이 있음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세 번째로 강의내용에 포함되기를 바라는 패션소재개발은 [Table 3]의 중요도에서 패션소재기획이 미래에 가장 중요한 분야로 평가된 것과[Table 4]의 취업 시 활용도에서 텍스타일 디자인분야가 취업시 활용도가 두 번째로 높을 것으로 평가한 것과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인이 더 심화하여 공부하고자 하는 교과목 중에서 가장 많은 학생이 선택한 교과목은 71명이 선택한 패션디자인 CAD, 70명이 선택한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이었다. 그 다음으로 액세서리 디자인 65명, 패션디자인과 창작의상이 각각 60명, 텍스타일 디자인과 남성복이 각각 50명 등이다.
설문지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학생들은 희망진로 분야와 취업 시에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교과목에 관련성을 두어 미래에 중요한 교과목을 평가하고, 패션산업의 패션디자인 실무에 필요한 내용이 강의내용에 포함되어 학습하기를 원하며 산업현장과 연계하여 실무를 경험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1. 졸업 후에 가장 선호하는 진로분야는 디자이너로 주로 여성복과 남성복 디자이너를 선호하였다. 그 다음으로 패터너를 선호하였다.
3. 패션디자인분야의 교과목에 대해서는 패션디자인을 가장 중요한 과목으로 평가하였으며, 액세서리 디자인과 패션디자인 CAD,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은 중요한 과목으로 취업 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하였다.
4. 설강비중을 높여야할 과목은 패션디자인 CAD,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텍스타일 디자인 등으로 파악되었으며, 도식화 그리기, 작업지시서 작성 등이 강의내용에 포함되기를 원하였다. 더 심화하여 학습하고 싶은 교과목은 패션디자인 CAD과목이었다.
2. 의류학 전공분야의 중요도는 현재는 서양의복구성을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였으나, 미래에는 패션소재기획, 패션디자인 등이 중요할 것이라고 평가하였다.
후속연구
향후 패션디자인분야의 교육과정 개발시 강화해야할 교과목으로 패션디자인 CAD,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등과 함께 취업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되는 액세서리 디자인, 미래에 중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패션소재기획 등의 교과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과내용에 도식화, 작업지시서 작성을 강화하고 현장실습을 확대하여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교육내용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향후 패션디자인분야의 교육과정 개발시 강화해야할 교과목으로 패션디자인 CAD, 패션 일러스트레이션 등과 함께 취업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되는 액세서리 디자인, 미래에 중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패션소재기획 등의 교과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과내용에 도식화, 작업지시서 작성을 강화하고 현장실습을 확대하여 산업현장에서 필요한 교육내용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도를 4년제 대학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분석하였으므로 추후 4년제 대학 이외의 교육기관의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인식도를 비교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보다 패션산업에서 필요로 하는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하여 패션산업현장 실무자를 대상으로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도를 분석하는 후속연구를 제안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패션디자인분야를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패션디자인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창의적인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현재 대학에서 시행하고 있는 교과과정을 검토하고,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 수요자의 필요와 욕구를 파악함으로써 새로운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보다 발전적인 교육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교육과정은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적인 요소이며, 학생들이 졸업 후에 진출할 진로와도 연계성이 높으므로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이 요구된다.
패션산업의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로 무엇이 있는가?
패션전문분야의 교육과정에 관련된 연구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교과과정의 분석, 교육방향에 대한 제언, 교육과정에 대한 중요도 인식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패션산업의 경쟁력을 위한 필요한 것은?
패션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고부가가치 패션상품 개발뿐 아니라 패션산업의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현직 패션디자이너의 재교육도 필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창의적이고 전문적인 인재 육성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참고문헌 (16)
Choi, K. (2013). A comparative study on the curricurum of Korean and USA fashion design postgraduate schools to develop Korean professional human resourse in fashion design. Journal of Bsaic Design & Art, 14(4), pp. 517-529.
Do, G., Choi, K., Lee, J. & Cho, C. (1994). A study on the fashion spcialized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fashion indus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23, pp. 225-248.
Hwang, K. & Hyun, M. (2014). Analysis of the curricurum and practical business case of fashion stylists.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43, pp. 321-332.
Jang, N. (2015). Fashion design in higher education using industry-university capstone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5(1), pp. 1-14.
Kan, M. (1997).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Korean fashion industry, its distribution and education in the department of fashion design. Journal of the Honam University, 18(4), pp. 993-1004.
Kim, H. (1999). A study on curricurum and teaching method for the dept. of fashion design in colle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46, pp. 91-107.
Kim, H. (2000). A study on the students perception of curricurum in clothing and textil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0(2), pp. 81-95.
Kim, K., Seo, M. & Choi, H. (2002).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about the curriculum of clothing construction between university and junior college. Visions of the Textile and Fashion Industry, p. 401.
Kim, S. B. (2000). Recognition and preference for fashion specialist. Journal of Fashion Business, 4(4), pp. 18-28.
Kim, S. (2000). Fashion design education for a changing world. The Journal of Design, 9, pp. 1-19.
Kim, S. (2011). A study on knit design education for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knit industry. Journal of Bsaic Design & Art, 12(3), pp. 75-85.
Ku, Y. S., Kim, J., Park, K., Park, K. & Choo, T. G. (1999). Analysis of fashion curriculum in 4-year college: Cross-national comparison of Korea, USA, UK, Japan, & Honkong.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7(11), pp. 19-32.
Lee, E. (2003). The comparison of fashion designer's work in domestic women's apparel bran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Lee, Y. & Lee, M. (2007). A comparison between the fashion marketing field in university curriculum and in reseach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7(5), pp. 123-139.
Park, J. & Moon, H. (2010). Design of a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fashion designers in fashion enterpri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0(7), pp. 31-46.
Rha, S., Kwon, H. & Lee, J. (2008). Analysis of the major curriculum of fashion related course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2(5), pp. 54-66.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