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패션디자인분야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도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about the Curriculum of Fashion Design Field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6 no.6, 2016년, pp.149 - 157  

최해주 (한성대학교 예술대학 패션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e Korean fashion industry to become more competitive, not only does it need to develop a higher value-added fashion products, but also needs to raise creative and professional talented peop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ways to develop new curriculum for education in the fashion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학의 패션디자인분야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도 분석을 통해 새로운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발전적인 교육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의 패션디자인분야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도를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보다 발전적인 교육방향의 모색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며, 나아가 패션디자인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창의적인 전문 인력 양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패션디자인분야를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패션디자인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갖춘 창의적인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현재 대학에서 시행하고 있는 교과과정을 검토하고,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 수요자의 필요와 욕구를 파악함으로써 새로운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보다 발전적인 교육방향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교육과정은 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필요한 핵심적인 요소이며, 학생들이 졸업 후에 진출할 진로와도 연계성이 높으므로 다양한 측면에서 분석이 요구된다.
패션산업의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로 무엇이 있는가? 패션전문분야의 교육과정에 관련된 연구에 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교과과정의 분석, 교육방향에 대한 제언, 교육과정에 대한 중요도 인식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패션산업의 경쟁력을 위한 필요한 것은? 패션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고부가가치 패션상품 개발뿐 아니라 패션산업의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현직 패션디자이너의 재교육도 필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창의적이고 전문적인 인재 육성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Choi, K. (2013). A comparative study on the curricurum of Korean and USA fashion design postgraduate schools to develop Korean professional human resourse in fashion design. Journal of Bsaic Design & Art, 14(4), pp. 517-529. 

  2. Do, G., Choi, K., Lee, J. & Cho, C. (1994). A study on the fashion spcialized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fashion indus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23, pp. 225-248. 

  3. Hwang, K. & Hyun, M. (2014). Analysis of the curricurum and practical business case of fashion stylists. Journal of Korea Design Forum, 43, pp. 321-332. 

  4. Jang, N. (2015). Fashion design in higher education using industry-university capstone desig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5(1), pp. 1-14. 

  5. Kan, M. (1997). A study on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Korean fashion industry, its distribution and education in the department of fashion design. Journal of the Honam University, 18(4), pp. 993-1004. 

  6. Kim, H. (1999). A study on curricurum and teaching method for the dept. of fashion design in colle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46, pp. 91-107. 

  7. Kim, H. (2000). A study on the students perception of curricurum in clothing and textil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0(2), pp. 81-95. 

  8. Kim, K., Seo, M. & Choi, H. (2002).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about the curriculum of clothing construction between university and junior college. Visions of the Textile and Fashion Industry, p. 401. 

  9. Kim, S. B. (2000). Recognition and preference for fashion specialist. Journal of Fashion Business, 4(4), pp. 18-28. 

  10. Kim, S. (2000). Fashion design education for a changing world. The Journal of Design, 9, pp. 1-19. 

  11. Kim, S. (2011). A study on knit design education for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knit industry. Journal of Bsaic Design & Art, 12(3), pp. 75-85. 

  12. Ku, Y. S., Kim, J., Park, K., Park, K. & Choo, T. G. (1999). Analysis of fashion curriculum in 4-year college: Cross-national comparison of Korea, USA, UK, Japan, & Honkong.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7(11), pp. 19-32. 

  13. Lee, E. (2003). The comparison of fashion designer's work in domestic women's apparel bran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14. Lee, Y. & Lee, M. (2007). A comparison between the fashion marketing field in university curriculum and in reseach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7(5), pp. 123-139. 

  15. Park, J. & Moon, H. (2010). Design of a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 for fashion designers in fashion enterpri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0(7), pp. 31-46. 

  16. Rha, S., Kwon, H. & Lee, J. (2008). Analysis of the major curriculum of fashion related course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2(5), pp. 54-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