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제음주수준이 음주의 간접폐해에 미치는 영향: 음주에 대한 기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s between drinking problems and alcohol's harm to other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alcohol expectancie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3 no.3, 2016년, pp.49 - 60  

제갈정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  김광기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  이지현 (서울시 건강증진사업지원단) ,  곽경화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drinking problems and alcohol's harm to others with the moderating effects of alcohol expectancies on these relationships after controlling fo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Methods: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1,859 men and wo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연구에서 문제음주수준이나 음주에 대한 기대, 음주로 인한 간접폐해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다고 입증되고 있기 때문에(Karriker-Jaffe & Greenfield, 2014), 이를 국내 연구를 통해 경험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음주의 간접폐해 분포 및 문제음주수준과 음주에 대한 기대가 음주의 간접폐해에 미치는 영향, 음주에 대한 기대가 문제음주수준과 음주의 간접폐해와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성인 남녀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기존의 연구에서 문제음주수준이나 음주에 대한 기대, 음주로 인한 간접폐해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다고 입증되고 있기 때문에(Karriker-Jaffe & Greenfield, 2014), 이를 국내 연구를 통해 경험적으로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성인이 경험한 음주 간접폐해 정도를 기술하고, 문제음주수준과 음주에 대한 기대가 음주의 간접폐해에 미치는 영향과 음주에 대한 기대가 문제음주수준과 음주의 간접폐해와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성인 남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음주문화연구센터에서 2010년도에 실시한 「한국인의 음주실태 조사」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총 2,105명의 자료 중, 최소 지난 12개월 동안 술을 마신 적이 있다고 보고한 1,859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한국음주문화연구센터에서 2010년도에 실시한 「한국인의 음주실태 조사」자료를 활용한 2차자료분석으로 설계하였다. 한국인의 음주실태 조사는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대도시, 중소도시, 읍면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만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통계청의 인구 총조사에 따라 지역별 다단계층화무작위표집법을 이용하여 진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음주의 간접폐해에 대한 기술과 문제음주수준과 음주에 대한 기대가 음주의 간접폐해에 미치는 영향, 음주에 대한 기대가 문제음주수준과 음주의 간접폐해와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성인 남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 이는 음주에 대한 기대가 긍정적일 때는 음주행위 자체를 긍정적으로 바라보기 때문에 음주로 초래되는 간접폐해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반면, 음주에 대해 부정적 기대를 가지고 있으면 음주행위 자체를 문제시하며, 음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폐해상황에 보다 더 민감하게 반응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음주에 대한 기대가 문제음주수준과 음주의 간접폐해의 관계에 조절효과를 가지고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 음주 간접폐해에 대한 개념과 조작적 정의에 대한 국내연구가 더 필요하지만 이에 대한 국내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기존에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는 노력도 음주 간접폐해에 대한 학문적 및 정책적 관심을 제고하려는 측면에서는 의미가 있다고 여겨진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음주의 간접폐해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 중에서 문제음주수준이 음주 간접폐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사용된 음주의 간접폐해에 대한 척도가 포괄적이지 않다는 것이다. 간접 음주폐해의 개념에는 음주운전으로 인한 것을 포함해서 신체적 위협이나 상해, 성희롱이나 성적 학대, 재산상의 손실과 재정적 손해, 사회적 관계망 손실, 정서적 위협, 안전망에 대한 의구심 등, 보다 다양한 종류의 내용이 포함되는 것이다(Room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음주폐해는 어떤 손실을 야기하는가? , 2015). 음주폐해는 음주를 한 당사자뿐만 아니라 가족이나 친구, 직장동료, 때로는 전혀 낯선 타인에게까지 신체적 혹은 정신적 폐해, 또는 재산상의 손실을 줄 수 있으며, 공공장소나 지역사회의 안전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공공 건강정책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Hope, 2014; Karriker-Jaffe & Greenfield, 2014; Laslett et al., 2010; Room et al.
건강수명 연장에 장애가 되는 요인은 무엇인가? 제3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의 목표인 건강수명 연장에 장애가 되는 요인은 건강하지 못한 식습관과 해로운 음주 및 흡연의 순이다(Institute for Health Metrics and Evaluation, 2013). 이 중 음주가 우리 국민의 건강과 사회에 미치는 폐해는 크고 다양하지만 분명 개선될 수 있는 것이다(Kim, 2015).
성별에 따른 음주의 간접폐해 영향요인에서 성차를 입증한 연구결과는 어떠한가? 성별에 따른 음주의 간접폐해 영향요인에서 성차를 입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성의 경우, 문제음주수준과 부정적 음주기대 간의 상호작용이 음주의 간접폐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정적 음주기대가 문제음주수준과 음주의 간접폐해 간의 조절효과를 입증하는 결과이다. 부정적 음주기대가 높은 남성일수록 자신의 문제음주를 심각하게 인식하고, 음주를 통제하지 못하는 스스로에 대한 실망이나 좌절감이 부정적 음주결과의 하나인 음주의 간접폐해를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한다(Shin & Min, 2014). 또한, 이러한 결과는 남성이 여성에 비해 문제음주수준, 부정적 음주기대, 음주의 간접폐해가 더 높을 뿐만 아니라 음주가 사교의 일환으로, 사회나 직장 생활의 결속을 위해 꼭 참여해야 한다는 압박감이 더 높기 때문이다(Kim & Lee, 2015). 반면, 여성은 문제음주수준과 음주에 대한 기대 간의 상호작용이 음주의 간접폐해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Model 3에서는 Model 2에서 유의했던 긍정적 음주기대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긍정적 음주기대가 부정적 음주기대에 비해 음주의 간접폐해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이 더 낮으며, 여성의 긍정적 음주기대가 남성에 비해 낮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Aiken, L. S., & West, S. G. (1991).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Newbury Park, CA: Sage. 

  2. Bellis, M. A., Quigg, Z., Hughes, K., Ashton, K., Ferris, J., & Winstock, A. (2015). Harms from other people's drinking: An international survey of their occurrence, impacts on feeling safe and legislation relating to their control. British Medical Journal Open, 5(12), 1-11. doi:10.1136/bmjopen-2015-010112 

  3. Casswell, S., You, R. Q., & Huckle, T. (2011). Alcohol’s harm to others: Reduced well-being and health status for those with heavy drinkers in their lives. Addiction, 106, 1087-1094. 

  4. Chun, S. (2002). Analysis of college student binge drinking and alcohol-related problems. Journal of Korean Alcohol Science, 3(2), 221-233. 

  5. Chun, S., Sohn, A., Reid, E. A., Inot, R., Kim, M. K., Percoheles, G., Lee, S. S., & Wechsler, H. (2009). A comparison of alcohol secondhand effects among Korean and U.S.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6(5), 115-127. 

  6. Cohen, J., Cohen, P., West, S. G., & Aiken, L. S. (2003). Applied Multiple Regression/Correlation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Mahwah, New Jersey: Lawrence Erlbaum. 

  7. Diep, P. B., Knibbe, R. A., Giang, K. B., & de Vries, N. (2015). Secondhand effects of alcohol use among students in Vietnam. Global Health Action, 8, 1-7. doi: 10.3402/gha.v8.25848 

  8. Dussaillant, F., & Fernandez, M. (2015). Alcohol’s harm to others’s well-being and health: A comparison between Chile and Australia. Alcohol and Alcoholism, 50(3), 346-351. 

  9. Ferris, J. A., Kaskett, A., Livingston, M., Room, R., & Wilkinson, C. (2011). The impacts of others' drinking on mental health. Medical Journal of Australia, 195(3), S22-S26. 

  10. Greenfield, T. K., Karriker-Jaffe, K. J., Kaplan, L. M., Kerr, W. C., & Wilsnack, S. C. (2015). Trends in alcohol's harms to others (AHTO) and co-occurrence of family-related AHTO: The four US National Alcohol Surveys, 2000-2015. Substance Abuse: Research and Treatment, Supplement 2, 23-31. 

  11. Greenfield, T. K., Ye, Y., Kerr, W., Bond, J., Rehm, J., & Giesbrecht, N. (2009). Externalities from alcohol consumption in the 2005 US National Alcohol Survey: Implications for policy.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6, 3205-3224. 

  12. Han, S., Lee, M., & Shin, H. (2005). Gender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risk factors on drinking problems in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17(4), 1003-1019. 

  13. Hope, A. (2014). Alcohol's harm to others in Ireland. Dublin: Health Service Executive. Retrieved from http://www.drugs.ie/resourcesfiles/ResearchDocs/Ireland/2014/ah2oreport.pdf 

  14. Institute for Health Metrics and Evaluation, (2013). GBD Country profile: South Korea. Retrieved from http://www.healthmetricsan devaluation.org 

  15. Jiang, H., Callinan, S., Laslett, A. M., & Room, R. (2015). Correlates of caring for the drinkers and others among those harmed by another’s drinking. Drug and Alcohol Review, 34, 162-169. 

  16. Karriker-Jaffe, K. J., & Greenfield, T. K. (2014). Gender differences in associations of neighborhood disadvantage with alcohol’s harms to others: A cross-sectional study from the USA. Drug and Alcohol Review, 33, 296-303. 

  17. Kim, D., & Lee, J. (2015). A study of impact factors of drinking culture at workplace.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8(3), 877-901. 

  18. Kim, K. K. (2015). Effective policy alternatives to reduce harms caused by alcohol use in Korea, Health and Welfare Forum 67-78 

  19. Kim, K. K., Kim, W. Y., & JeKarl, J. (2006). A review study on development of effective policies to reduce alcohol related harms in Korea, A research report to National Mental Hospital by Inje University Center for Alcohol Studies. 

  20. Kim, K. K., Lee, S. W., Kim, M. S., JeKarl, J., Kim, S. S., Lim, J. H. (2007). National Alcohol Survey. Seoul,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Inje Institute of Advanced Studies/Inje University Center for Alcohol Studies. 

  21. Kim, N. R., & Lee, J. (2015). The influence of internalized shame on the drinking problems among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6(3), 253-270. 

  22. Laslett, A. M., Catalano, P., Chikritzhs, Y., Dale, C., Doran, C., Ferris, J., . . . & Wilkinson, C. (2010). The range and magnitude of alcohol's harm to others. Fitzroy, Victoria: AER Centre for Alcohol Policy Research, Turning Point Alcohol and Drug Centre, Eastern Health. 

  23. Laslett, A. M., Room, R., Ferris, J., Wilkinson, C., Livingston, M., & Mugavin, J. (2011). Surveying the range and magnitude of alcohol’s harm to others in Australia. Addition, 106, 1603-1611. 

  24. Lee, J. H. (2010). Drinking patterns and alcohol problems. Gyeonggido, Korea: Korean Alcohol Research Foundation. 

  25. Lee, J. H., & Choi, H. I. (2010). The effects of alcohol expectancies on alcohol-related problems among college students: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and binge drinking as a mediating factor. Studies on Korean Youth, 21(4), 229-246. 

  26. Lee, J. H., JeKarl, J., & Kim, D. H. (2010). National survey on drinking behavior among college students. Gyeonggido, Korea: Korean Alcohol Research Foundation 

  27. Newton, N. C., Barrett, E. B., Swaffield, L., & Teesson, M. (2014). Risky cognitions associated with adolescent alcohol misuse: Moral disengagement, alcohol expectancies and perceived self-regulatory efficacy. Addictive Behaviors, 39(1), 165-172. 

  28. Preacher, K. J., Curran, P. J., & Bauer, D. J. (2006). Computational Tools for Probing Interaction Effects in Multiple Linear Regression, Multilevel Modeling, and Latent Curve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and Behavioral Statistics, 31, 437-448. 

  29. Room, R., Babor, T., & Rehm, J. (2005). Alcohol and public health. Lancet, 365, 519-530. 

  30. Room, R., Ferris, J., Laslett, A. M., Livingston, M., Mugavin, J., & Wilkinson, C. (2010). The drinker’s effect on the social environment: A conceptual framework for studying alcohol’s harm to others.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7, 1855-1871. 

  31. Rossow, I. (2015). How well do survey studies capture alcohol's harm to others?. Substance Abuse: Research and Treatment, Supplement 2, 99-106. 

  32. Seid, A. K., Grittner, U., Greenfield, T. K., & Bloomfield, K. (2015). To cause harm and to be harmed by others: New perspectives on alcohol’s harms to others. Substance Abuse: Research and Treatment, Supplement 2, 13-22. 

  33. Shin, S., & Min, Y. (2014). Subgroups of drinking goal conflict and drinking behavior control-related characteristics in male drinker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6(3), 1541-1555. 

  34. Studer, J., Baggio, S., Deline, S., N’Goran, A. A., Henchoz, Y., Mohler-Kuo, M., . . . Gmel, G. (2015). Drinking locations and alcohol-related harm: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associations in a sample of young Swiss men. International Journal of Drug Policy, 26, 653-661. 

  35. Studer, J., Baggio, S., Dupuis, M., Mohler-Kuo, M., Daeppen, J.-B., & Gmel, G. (2016). Drinking motives as mediators of the associations between reinforcement sensitivity and alcohol misuse and problems. Frontiers in Psychology, 7, 718. 

  36.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Department of Mental Health and Substance Dependence (2001). The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Guidelines for use in primary care (2nd ed.). WHO: Thoma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