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음주실태, 음주거부 자기효능감과 정신건강: 정상음주군과 문제음주군 비교
A Comparison of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and Mental Health between Two Groups of Korea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17 no.1, 2011년, pp.110 - 119  

박형숙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  조묘헌 (마산대학 간호과) ,  조규영 (영산대학교 간호학과) ,  김동희 (부산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nsumption of alcohol as well as to compare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and mental health between an average drinking group and a problem drinking group of Korean nursing students. Methods: A questionnaire using the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앞서 우리나라 대학생의 음주율과 이로 인한 문제점이 지적되었듯이 20대 여성이 주된 구성원인 간호대학생에서도 음주문제가 심각할 것으로 예상되나 최근 간호대학생의 음주형태에 대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며 스트레스를 제외하고는 문제음주 관련요인을 다룬 연구가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음주실태, 음주거부 자기효능감과 정신건강이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하고, 문제음주 관련요인을 규명하여 바람직한 음주습관을 유도하고 올바른 음주문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음주실태, 음주거부 자기효능감과 정신 건강 정도를 파악하고 문제음주 관련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즉, 연령 별 특성을 고려한 개별화된 중재 프로그램 개발, 절주 교육프로그램과 금연 교육의 동시 수행 및 첫 음주 나이를 감안하여 음주의 위험성을 강조한 초ㆍ중학생 눈높이용 프로그램 개발 등이 필요하며 개발된 중재프로그램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정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음주정도에 따라 정상음주군과 문제음주군으로 나누어 결과를 분석하였다. 음주실태가 성별에 따라 다르다는 선행연구가 있으나 본 연구에 참여한 간호대학생의 대부분이 여학생으로 성별과 음주정도를 함께 고려한 음주실태를 비교하기가 어려웠으므로 추후 이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음주실태, 음주거부 자기효능감과 정신건강 정도를 파악하고 문제음주 관련요인을 알아보기 위함이며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목표는 다음과 같다.
  • 간호대학생은 앞으로 간호사로서 국민의 건강을 책임질 사람들로 이들의 음주실태와 위험요인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음주율과 음주문제가 증가함에 따라 간호대학생의 음주문제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현 시점에서 간호대학생의 음주실태, 음주거부 자기효능감 및 정신건강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신건강이란? 정신건강은 환경에서 요구하는 과업과 기대를 적절히 수행하는 생활기능과 이에 대한 적절한 만족과 자기긍정으로 현실적인 불안과 우울, 불만족을 관리하며 정신적으로 편안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김정진, 2009)으로, 본 연구에서는 보건복지부(2008)에서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위해 개발한 건강 설문조사 항목 중 정신건강실태조사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정신건강실태조사지는 총 9문항으로 평상 시 스트레스 인지는 어느 정도 하는지, 지난 1년 동안 연속적으로 2주 이상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정도로 슬프거나 절망감을 느낀 적이 있는지, 지난 1년 동안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는지와 실제 자살을 시도해 보았는지, 지난 1년간 정신적인 문제로 상담을 받은 적이 있는지, 평소 짜증나고 물건을 부수고 싶거나 긴장되고 초조한 적이 있는지, 내 생활이 더 좋아지도록 할 수 없으므로 포기하고 싶은지 그리고 자신의 미래를 불확실하게 생각하는지를 포함한다.
간호대학생의 음주실태, 음주거부 자기효능감과 정신건강 정도를 파악하고 문제음주 관련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목표는?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음주관련 특성 및 음주실태를 파악하고, 대상자를 음주정도에 따라 정상음주군과 문제음주군으로 구분하여 일반적 특성과 음주관련 특성의 차이를 비교한다. 둘째, 대상자의 음주거부 자기효능감과 정신건강 정도를 파악하고, 대상자를 음주정도에 따라 정상음주군과 문제음주군으로 구분하여 음주거부 자기효능감과 정신건강의 차이를 비교한다. 셋째, 문제음주 관련요인을 파악한다.
음주거부 자기효능감이란? 음주거부 자기효능감은 특정한 상황에서 원하는 결과를 이끌어낼 수 있는 개인의 능력에 대한 신념인 자기효능감을 음주상황에 적용한 것으로 잠재적으로 음주라는 취약한 상황에서 음주를 거부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신념을 의미한다(Oei, Hasking, & Young, 2005). 음주거부 자기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Oei 등(2005)이 개발한 개정판 음주거부 자기효능감 질문지(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Questionnare Revised)를 고유미 등(2009)이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고유미, 현명호, 박지선 (2009). 대학생의 음주억제와 음주행동의 관계에서 음주거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4), 891-909. 

  2. 김명, 김혜경, 이은희, 권은주 (2007). 대학생 절주실천행위 변화단계 분포 및 관련요인. 한국알코올과학회지, 8, 1-16. 

  3. 김정진 (2009). 대학생의 자살생각 관련 요인연구.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2, 413-436. 

  4. 박경민, 이민규 (2005). 대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및 음주동기가 음주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0(3), 277-293. 

  5. 박종순 (2000). 대학생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한보건협회학술지, 26(4), 393-413. 

  6. 보건복지부 (2008). 2007 국민건강통계. Retrieved January 23, 2011, from 국민건강영양조사 Web site: http://knhanes.cdc.go.kr/ 

  7. 양수, 박호란, 송경애, 김남초, 조선진, 문정순 (2003). 고등학생의 음주실태. 정신간호학회지, 12(3), 313-328. 

  8. 양승희, 한금선 (2003). 여대생의 음주형태, 음주관련 문제, 스트레스 지각, 대처 유형, 스트레스 증상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3(7), 1057-1064. 

  9. 이민규 (1993). 음주행동과 관련된 심리사회적요인. 한국심리학회지, 12(1), 165-179. 

  10. 이영선 (2008). 대학생 대상의 절주프로그램. 한국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 학술대회, 서울. 

  11. 이은희, 김혜경, 권은주, 김명, 조미자, 최은희 (2007, 11월). 대학생을 위한 절주교육프로그램 개발. 제32회 보건학종합학술대회, 서울 

  12. 이원재 (2003). 대학생의 음주양태. 보건과 사회과학, 10, 79-95. 

  13. 전병한, 노현, 김찬웅, 김성은, 이상진, 이동훈 (2010). 수련의 및 전공의의 음주 행태가 문제 음주 환자의 선별 검사, 중재 및 치료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가?. 대한응급의학회지, 21(4), 495-497. 

  14. 조유향, 김명순, 장홍천혜 (2004). 한일 간호대학생의 음주가 생활습관과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간호학회지, 18(2), 286-298. 

  15. 현명선, 남경아, 김명아 (2008). 부모의 문제음주 행위와 청소년 자녀의 정신건강. 정신간호학회지, 17(4), 392-402. 

  16. Babor, T. F., Higgins-Biddle, J. C., Saunders, J. B., & Monteiro, M. G. (2001). The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guidelines for use in primary care (2nd ed.),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17. Bewick, B. M., Mulhern, B., Barkham, M., Trusler, K., Hilll, A. J., & Stiles, W. B. (2008). Changes in undergraduate student alcohol consumption as they progress through university. BMC Public Health, 8, 163. 

  18. Bradizza, C. M., Reifman, A., & Barnes, G. M. (1999). Social and coping reasons for drinking: predicting alcohol misuse in adolescents.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60, 491-499. 

  19. Hasking, P. A., & Oei, T. P. S. (2002). The differential role of alcohol expectancies,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and coping resources in predicting alcohol consumption in community and clinical samples. Addiction Research and Theory, 10, 465-494. 

  20. Moyer, A., Finney, J. W., Swearingen, C. E., & Vergun, P. (2002). Brief interventions for alcohol problems: a meta-analytic review of controlled investigations in treatment-seeking and non-treatment-seeking populations. Addiction, 97, 279-292. 

  21. Nutt, D. J., King, L. A., & Phillips, L. D. (2010). Drug harms in the UK: a multicriteria decision analysis. The Lancet, 376(9752), 1558-1565. 

  22. Oei, T. P. S., Hasking, P. A., & Young, RMcD. (2005). Drinking refusal self-efficacy questionnaire-revised(DRSEQR): A new factor structure wit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rug and Alcohol Dependence, 78, 297-307. 

  23. Standridge, J. B., Zylstra, R. G., & Adams, S. M. (2004). Alcohol consumption: an overview of benefits and risks. Southern Medical Journal, 97(7), 664-672. 

  24. Stein, K. D., Goldman, M. S., & Del Boca, F. K. (2000). The influence of alcohol expectancy priming and mood manipulation on subsequent alcohol consumpt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9, 106-115. 

  25. Sung, K., & Kim, M. (2009). A comparison of alcohol-related problems between men and women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6(5), 85-95. 

  26. The Council on Communications and Media (2010). Children, adolescents, substance abuse and the media. Pediatrics, 126(4), 791-799. 

  27.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9). A global assessment of public-health problems caused by harmful use of alcohol, and global health risks: mortality and burden of disease attributable to selected major risk factors.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8.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0). A global strategy to reduce the harmful use of alcohol.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