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연 네트워크에서 중심성과 승률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Centrality and Winning Percentage in Competition Network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6 no.9, 2016년, pp.127 - 135  

서일정 (광운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  백의영 (광운대학교 대학원 경영정보학과) ,  조재희 (광운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이전에 연구된 적이 없는 경연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경연 네트워크의 개념을 정의하고, 경연자의 중심성과 승률의 관계를 탐색적으로 분석하였다. TV 음악 경연 프로그램인 '불후의 명곡'을 대상으로, 총 386명의 경연자가 펼친 1,307회의 경연 결과를 수집하여 경연 네트워크를 구성하였다. 경연자의 중심성과 승률을 산출하여 그들의 관계를 상관분석, 회귀분석, 시각화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연 네트워크는 멱함수 법칙을 따르는 척도 없는 네트워크이다. 둘째, 경연수와 다른 경연자들과의 친밀도 사이에는 로그함수 관계가 존재한다. 셋째, 경연수가 20회 이상인 경연자의 승률은 대략 60%로 수렴한다. 마지막으로, 경연수가 20회 미만인 경연자의 승률은 대진 운에 23% 정도의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는 경연 네트워크를 최초로 정의하고 탐색함으로써 소셜 네트워크 연구의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였다는 점이며, 실행적 의의는 중심성과 승률의 관계에 대한 실증적 패턴을 발견하여 경연 네트워크에서 사회적 관계를 개선하고 승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dentified a competition network which has never been studied before and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entrality of participants in singing competition and their winning percentage within the competition network. We collected competition data from 'Immortal Songs: Singing the Legend', w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경연 네트워크는 사람들이 경연이라는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적 관계를 맺는 소셜 네트워크임에 분명하지만, 지금까지 학문적으로 연구된 적이 없다. 본 연구는 경연 네트워크의 개념과 구성을 정의하고 탐색적으로 분석함으로써 경연 네트워크에 대한 학문적 연구의 초석을 마련하였다. 경연 네트워크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여러 분야에 걸쳐 경합, 시합, 경기, 경쟁 등의 형태로 어렵지 않게 관찰할 수 있는 소셜 네트워크이기 때문에 본 연구를 기점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경연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된다면 인간의 사회적 관계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이전에 연구된 적이 없는 경연 네트워크를 대상으로 하여 경연자의 중심성과 승률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음악 경연 프로그램인 「불후의 명곡 -전설을 노래하다」(이하 불후의 명곡)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경연 데이터를 수집하고 네트워크를 구성하였다.
  • 경연에서 경연자의 단기적 성과는 개별 경연의 승리이지만 장기적 성과는 전체 경연의 승률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연 네트워크에서 경연자의 중심성과 승률의 관계를 탐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 이상의 연구를 통해 다양한 네트워크에서 중심성이 개인의 성과 또는 행태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경연 네트워크에서 노드의 중심성이 경연 성과인 승률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가설 설정

  • 마지막으로, 경연수가 적은 경연자는 강자상대도와 승률 사이에 음의 선형관계가 존재한다. 다시 말해서, 대진 운이 승률에 영향을 미친다. 불후의 명곡에서는 경연수가 20회 미만인 경연자는 대진 운이 승률에 23% 정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연 네트워크에서, 단기적인 승률의 증가를 위해 경연 경험이 적은 경연상대를 전략적으로 선택하는 것이 승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를 바탕으로 친밀도를 특정 수준 이상으로 올리기 위한 시간과 비용을 가늠해볼 수 있다. 그리고 승률은 장기적으로는 보편적인 수준으로 수렴하지만 단기적으로는 경연상대의 선택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단기적인 승률의 증가를 기대하는 상황에서 경연 경험이 적은 경연상대를 전략적으로 선택하는 것은 승률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경연이란 무엇인가? ‘경연’은 개인이나 단체가 모여 예술, 기능 따위의 실력을 겨루는 것을 일컫는다[1]. 경연에 참가한 사람들은 경연을 통해 상호작용을 하면서 사회적 관계를 맺고 경연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실증 연구에서 지배적으로 사용되는 중심성 지표는 무엇인가? 실증 연구에서 지배적으로 사용되는 중심성 지표는 연결 중심성, 근접 중심성, 매개 중심성, 위세 중심성이 다[8]. 연결 중심성은 노드에 연결된 링크의 수로 노드의 노출을 나타내는 지수이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http://dic.naver.com 

  2. S. P. Borgatti, M. G. Everett, and J. C. Johnson, Analyzing Social Networks, London: SAGE Publications Limited, 2013. 

  3. M. K. Ahuja, D. F. Galletta, and K. M. Carley, "Individual centrality and performance in virtual R&D groups: an empirical study," Management Science, Vol.49, No.1, pp.21-39, 2003. 

  4. R. Cross and J. N. Cumming, "Tie and network correlations of individual performance in knowledge intensive work,"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7, No.6, pp.928-937, 2004. 

  5. R. T. Sparrowe, R. C. Linden, S. J. Wayne, and M. L. Kraimer, "Social networks and the performance of individuals and group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4, No.2, pp.316-325, 2001. 

  6. 문주영, "친구관계 네트워크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S대학 비서학전공 전문대학생들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11호, pp.616-625, 2015. 

  7. 옥경영, 홍재원, "청소년의 사회적 네트워크에서의 지위(social standing)가 온라인 사회적 활동(social activity)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pp.370-379, 2012. 

  8. M. G. Everett and S. P. Borgatti, "Extending centrality," Models and Methods in Social Netwokr Analysis, Vol.35, pp.57-76, 2005. 

  9. L. C. Freeman,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conceptual clarification," Social Networks, Vol.1, No.3, pp.215-239, 1978. 

  10. P. Bonacich, "Factoring and weighting approaches to status cores and clique identification," Journal of Mathematical Sociology, Vol.2, No.1, pp.113-120, 1972. 

  11. P. Bonacich, "Some unique properties of eigenvector centrality," Social Networks, Vol.29, No.4, pp.555-564, 2007. 

  12. http://www.kbs.co.kr/2tv/enter/satfreedom/view/vod/index.html 

  13. A. L. Barabasi and R. Albert, "Emergence of scaling in random networks," Science, Vol.286, No.5439, pp.509-512,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