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수-학습 활동 데이터기반 학습자 활동 모델링
Learner Activity Modeling Based on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Data 원문보기

정보처리학회논문지.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5 no.9, 2016년, pp.411 - 418  

김경록 (호서대학교 전자디스플레이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교수-학습 지원 시스템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참여 활동 데이터를 활용하여 성공적으로 과정을 이수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학습 분석이 활용되고 있다. 즉, 학습 분석은 학습자의 학습활동을 이해하기 위한 방법이다. 교수-학습 활동 데이터를 보다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모델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 중심의 학습양식과 학습객체 데이터모델(LSLODM)을 제안한다. 이는 사용자, 학습양식, 학습객체, 학습활동을 결합하여 표현한 것이다. LSLODM은 이를 기반으로 교수-학습 데이터를 수집하고, 교수-학습 활동 요소의 속성들을 최근성, 빈도성, 지속성을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단위 과목에서 학습자의 교수-학습 활동을 분석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earning analytic has been utilized to helps us to successfully complete the course by using the interaction of the teacher and the learner data generated from the teaching and learning support system. In other words, Learning analytic is a method in order to understand the activities of learners.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학습 분석은 기관 관계자, 교수자, 학습자 등에 의해 활용되어 학습자의 학습 활동 개선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나아가 학습활동에 적합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지원 수준을 결정하고 다양한 개인화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 본 연구를 바탕으로 온라인중심수업, 오프라인보조수업, 온-오프라인결합수업 등 다양한 교수-학습 활동에서 일어나는 차이점을 파악하고, 학습 분석의 목적과 범위를 확장 할 수 있도록 데이터 모델을 고도화 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강의 중심, 활동 중심, 참여 중심 등 다양한 유형의 학습 요소를 결합하여 제공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으로 교수-학습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법도 연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학습양식을 바탕으로 학습자 개인의 학습 활동 모델링을 통해 학습자 중심 모델을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학습자 모델을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를 바탕으로 온라인중심수업, 오프라인보조수업, 온-오프라인결합수업 등 다양한 교수-학습 활동에서 일어나는 차이점을 파악하고, 학습 분석의 목적과 범위를 확장 할 수 있도록 데이터 모델을 고도화 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강의 중심, 활동 중심, 참여 중심 등 다양한 유형의 학습 요소를 결합하여 제공함으로써 보다 적극적으로 교수-학습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법도 연구하고자 한다.
  • 여러 데이터 모델이 존재하지만,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하여 표현한 모델은 없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데이터 모델은, 학습자 특성과 교수학습 활동 데이터를 결합하여 학습 활동 성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모델이다.
  • 본 연구에서는 학습양식을 바탕으로 학습자 개인의 학습 활동 모델링을 통해 학습자 중심 모델을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학습자 모델을 확인하고자 한다.
  • 다음으로, 학습 등록 파라데이터(Learning Registry Paradata) 모델이다. 이 모델은 활동 흐름 모델을 확장한 것으로, 자원에 대한 통합 활용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이 모델의 핵심요소는 Actor, Verb, Object이다.
  • 나아가 적절한 피드백을 주기도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수-학습 활동에서 나타나는 학습자의 특성과 교수-학습 활동의 특성을 모두 표현하기 위한 데이터 모델로 LSLODM을 제안하였다. 이는 단위 과목에서 학습자의 교수-학습 활동을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NMF기법을 바탕으로 학습양식, 사용자, 학습객체, 학습활동을 결합하여 표현한 것이다.
  • 학습 분석은 기관, 과정, 교과목 단위에서 활용될 수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과목 단위 활용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즉, 교수-학습 활동의 여러 요소를 바탕으로 과목 단위 학습 분석을 위한 데이터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교수자와 학습자에게 적절한 피드백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습 분석은 어떤 방법인가? 교수-학습 지원 시스템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참여 활동 데이터를 활용하여 성공적으로 과정을 이수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학습 분석이 활용되고 있다. 즉, 학습 분석은 학습자의 학습활동을 이해하기 위한 방법이다. 교수-학습 활동 데이터를 보다 유용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모델이 필요하다.
학습 분석 영역은 어떻게 나눌 수 있나? 학습 분석 영역은, 크게 기본 분야와 응용 분야로 나눌 수 있다. 기본 분야는 예측(Prediction), 집단화(Clustering), 관계도출(Relationship mining), 데이터 분류(Distillation of data), 모델 탐색(Discovery with models)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6-7].
학습 분석이 교수자와 대학 의사결정권자 등에게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이유는? 교수자와 대학 의사결정권자 등에게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이는 교수(Teaching)과 학습(Learning)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때문이다. 즉 학습과정에서 패턴을 찾고, 학습 활동을 파악하고, 부진한 학습자 찾기 등에 활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 Del Blanco et al., "E-Learning standards and learning analytics. Can data collection be improved by using standard data models?" Global Engineering Education Conference (EDUCON), 2013 IEEE, pp.1255-1261. 2013. 

  2. Tanya Elias, "Learning Analytics: The Definitions, the Processes, and the Potential," pp.1-22, 2011. 

  3. Dietz-Uhler, Beth and Janet E. Hurn, "Using learning analytics to predict (and improve) student success: A faculty perspective," Journal of Interactive Online Learning, Vol.12, No.1 pp.17-26, 2013. 

  4. Mohamed Amine Chatti, "The LaaN Theory," Personal learning environments, networks, and knowledge, 2013 [Internet], www.elearn.rwth-aachen.de/dl1151Mohamed_Chatti_LaaN_preprint.pdf. 

  5. Van Barneveld, Angela, Kimberly E. Arnold, and John P. Campbell, "Analytics in higher education: Establishing a common language," EDUCAUSE Learning Initiative, pp.1-11, 2012. 

  6. Siemens, George, "Learning Analytics The Emergence of a Discipline,"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Vol.57, No.10, pp.1380-1400, 2013. 

  7. Baker, Ryan S. J. D, and Kalina Yacef, "The state of educational data mining in 2009: A review and future visions," Journal of Educational Data Mining, Vol.1, No.1, pp.3-17, 2009. 

  8. U.S. Department of Education, "Enhancing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Educational Data Mining and Learning Analytics: An Issue Brief," 2012. 

  9. Al-Azawei Ahmed and Atta Badii, "State of The Art of Learning Styles-Based Adaptive Educational Hypermedia Systems (LS-BAEHSs),"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and Information Technology, Vol.6, No.3, pp.1-19, 2014. 

  10. Verbert Katrien et al., "Dataset-driven research to support learning and knowledge analytics,"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 Society, Vol.15, No.3, pp.133-148, 2012. 

  11. Jin-Hee Park,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Difference and Science Academic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Ph.D. dissert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Gyeongnam, Korea, pp.19-31, 2010. 

  12. P. Q. Dung and A. M. Florea, "An approach for detecting learning styles in learning management systems based on learners' behaviours," in Proceedings of the 2012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ducation and Management Innovation, Kuala Lumpur, Malaysia, Vol.30, pp.171-177, 5-6 May, 2012. 

  13. Kyungrog Kim et al., "Teaching-Learning Activity Modeling Based on Data Analysis," Symmetry, Vol.7, No.1, pp.206-219, 2015. 

  14. Alice Y. Kolb and David A. Kolb, "Learning styles and learning spaces: Enhancing experiential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Academy of Management Learning & Education, Vol.4, No.2, pp.193-212, 2005. 

  15. Fabiano A. Dorca et al., "A new approach to discover students learning styles in adaptive educational systems," Revista Brasileira de Informatica na Educacao, Vol.21, No.1, pp.76-90, 2013. 

  16. Niemann, Katja, Maren Scheffel, and Martin Wolpers, "An overview of usage data formats for recommendations in TEL," Proceedings of the 2nd Workshop on Recommender Systems for Technology Enhanced Learning (RecSys TEL-2012), Vol.896, pp.95-100, 2012. 

  17. Vlatko Lukarov et al., "Data Models in Learning Analytics," Proceedings of DeLFI Workshops 2014, 15-17 September 2014 Freiburg Seiten_Artikel-Nr. pp.88-95, 2014. 

  18. IMS Global, "Learning Measurement for Analytics Whitepaper," 2013 IMS Global Learning Consortium, Inc. pp 1-12. 

  19. Kyung-Rog Kim and N. M. Moon, "Content modeling based on social network community activity,"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Vol.10, No.2, pp.271-282, 2014. 

  20. Cristobal Romero and Sebastian Ventura, "Data mining in education," Wiley Interdisciplinary Reviews: Data Mining and Knowledge Discovery, Vol.3, No.1, pp.12-27,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