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융복합 시대의 12시간 공복저항운동이 대사효율성 및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12 Hours Fasting Resistance Exercise on Metabolic Efficiency and Fatigue in Convergence Age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4 no.9, 2016년, pp.471 - 478  

백순기 (중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8주간 12시간의 공복을 유지한 후 저항운동을 통해 대사효율성과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50대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사전 동질성 검정을 통해 운동군(EX)과 대조군(CON) 두 집단으로 구분 선정하였다. 운동군(EX)은 8주간 주 4회 12시간 공복 유지 후 60분간의 저항운동을 실시하였으며, 대조군(CON)은 운동군(EX)의 비교군으로 일반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운동군(EX)에 적용된 저항운동은 상체와 하체를 중심으로 하는 프리웨이트와 고정식 기구를 사용하여 대근육 중심의 운동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운동강도는 1RM을 기준으로 4주까지는 70%, 5-8주는 80%로 설정하여 처치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8주간의 공복저항운동 전과 후의 안정 시에 혈액채취 결과를 바탕으로 기술통계와 두 집단의 비교를 위한 변량분석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12시간 공복저항운동은 대사효율성 변인인 혈압(SBP, DBP), 지방, 공복혈당, 공복인슐린에서 처치프로그램에 대한 의미 있는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p<.01). 둘째, 12시간 공복저항운동은 피로물질 변인인 젖산, 요산에서 처치프로그램에 대한 의미 있는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p<.01).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8주간의 12시간 공복저항운동은 대사효율성 및 피로물질 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examine the effect of 12 hours fasting resistance exercise on metabolic efficiency and fatigue of middle-aged female for 8 weeks. 50 middle-aged female target group pre-test exercise group(EX) and the control over the homogeneity in the control group(CON) were selected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혈액의 채취는 연구 대상자가 최소 12시간 공복 상태를 유지하여 간호사에 의하여 채취하도록 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자의 사전 병력에 대한 문진을 실시하여 본 프로그램 진행 가능 여부를 체크하였다. 혈액채취 당일 채혈장소의 온도와 습도, 기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노력하였으며, 채혈 후 원심분리 후 N 의료 기관에 분석을 의뢰하였다.
  • 이러한 측면을 고려해 볼 때 전언에서 밝힌 공복시간의 긍정적 대사과정과 저항운동을 통한 근육 운동을 통해 대사효율성과 피로물질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중년여성의 생리적 특성을 고려해 공복유지와 저항운동의 효과를 검증하고 대사기능과 피로물질의 인과관계 단초를 제공해 줄 것으로 사료돼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 본 연구는 12시간 공복유지 후 저항운동이 대사효율성 및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50대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사전 동질성 검정을 통해 운동군과 대조군으로 구분하여 운동군에는 8주간 주 4회 12시간 공복 후 상체와 하체중심의 고정식 기구와 프리웨이트를 병행하여 60분간의 저항운동을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은 운동군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일상생활을 그대로 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본 연구는 50대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일정시간(12시간) 공복시간을 유지한 후 저항성운동을 통해 대사효율성 및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서울시의 S 구의 거주하는 50대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 선정 시 동질성 확보를 위한 조건은 체격(체중, 몸무게, 체지방)과 혈액 성분 등을 고려해 운동군(EX)과 대조군(CON)을 구분하였다.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12시간의 공복저항운동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운동군과 대조군을 두었다. 본 처치를 위한 사전, 사후의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및 처치 결과 전반에 대해 기술통계를 제시하였으며, 운동군과 대조군의 처치효과에 대한 상호작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변량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8주간 12시간 공복 유지 후 저항운동이 대사효율성 및 피로물질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스포츠의학회(ACSM)의 가이드라인을 참고하여 운동 빈도 및 시간을 설정하였으며, 운동참여 기간 동안에는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하였다.
  • 뿐만 아니라 [21]은 근육운동을 통한 근육량 증가는 체지방 감소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신체구성 전반에 영향을 준다고 보고하였으며, [22] 은 저항운동의 강도를 1RM 기준 50-80%의 강도 설정을 통해 유의한 체지방 감소를 나타냈다고 하여 본 연구의 결과와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선행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일정기간의 공복시간 유지를 통해 탄수화물 대사를 제한하고 지방 대사가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효과적인 체지방 감소에 도움을 준 것으로 사료된다.
  • 이를 바탕으로 선행연구 및 관련 이론등과 연계해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항운동의 효과는? 또한 지질 대사의 장애 등을 유발할 수 있어 위험성이 높으며[1], 이는 과도한 체지방량 동원 등으로 인슐린의 신호 전달 체계의 부정적 영향을 주어 인슐린 저항성을 악화 시키거나 일으킬 수 있는 요인이 되며, 단순한 비만보다는 근육과 간의 지방축적이 더큰 요인이될 수 있다[2,3].이러한 측면에서 저항운동은 많은 훈련단위의 근육 동원을 유도함으로서 근세포의 성장 및 근력의 발달을촉진시키며, 특히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유발함으로써 글루코스와 아미노산의 이용을 감소시키고 지방산의 이용을 증가시킴은 물론, 세포막을 통한 아미노산의 수송을 촉진하고 핵내 전자작용에 영향을 주어 RNA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서 단백질 합성을 촉진시킨다고 보고되고 있다[4].
중년여성의 특성을 고려하여 가장 효과적인 체중조절 방법은? 이는 중년여성의 특성을 고려하여야 하며, 중년여성의 신체 모든 기관의 기능이 감퇴, 노화, 호르몬 변화, 기억력 등의 인지 능력의 감소 현상 등이 나타난다고 하였으며,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대사증후군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다[12]. 이러한 측면에서 비만과 관련하여 체중조절에 있어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칼로리 섭취의 제한과 더불어 운동과 같은 신체활동을 증가시키고 식사를 개선하고 운동을 증가시키는 행동변화가 효과적이라고 보고되고 있으며[13], 비만을 예방하게 되며 더불어 대사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으며, 신체구성에 영향을 주어 체력 및 호르몬 변화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보고하였다[14].
중, 고강도 운동 시 어떤 대사가 일어나는가? 중, 고강도 운동 시에는 탄수화물대사가 주로 이용되며, 이때 체내 속근의 동원율이 높아지고 속근 내에는 해당과정 효소가 풍부하기 때문에 탄수화물대사의 활성화를 불러오며, 혈중 에피네프린의 분비도 증가하여 당원분해 및 젖산생성을 촉진시켜 지방대사 이용률을 감소시키게 된다고 보고하고 있다[6]. 하지만 운동시작 후 일정 시간이 지속될 경우 혈당이 에너지로 사용되는 경우는 줄어들고 인슐린 분비량도 줄어들어 체내 지방을 동원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yrne, C. D., Wild, S. H, "Increased risk of glucose intolerance and type 2 diabetes with statins," BMJ, Vol. 343, 2011. 

  2. C. S. Choi, "Pathogenesis of insulin resistance," The Korean Journal of Medicine, Vol. 77, No. 2, pp. 171-177, 2009. 

  3. S. Y. Kim, "Effect of health exercise program on insulin resistant and blood lipid of elderly women through convergenc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4, No. 4, pp. 487-494, 2016. 

  4. Fry, A. C., Kramer, W. J., Stone, B. J., Warren, S. J., Fleck, J. T., Keamey, S. E., & Gordon, "Endocrine response to overreaching before and after year of weigh lifting Can," Journal Apply Physiology, Vol. 19, pp. 400-410, 1994. 

  5. Clayton, D. J., Barutcu, A., Machin, C., Stensel, D. J., & James, L. J, "Effect of breakfast omission on energy intake and evening exercise performance,"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and Exercise, pp. 211-220, 2015. 

  6. Powers, S., & Howley, E, "Bioenergetics. Exercise Physiology theory and application to fitness and performance, 7th. McGraw-Hill Companies," NewYork, pp. 45-48, 2006. 

  7. Evavs W. I, "Exercise training guidelines for the elderly," Medicine Science Sports Exercise, Vol. 31, pp. 12-17, 1999. 

  8. B. H. Park,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ss and climacteric symptoms of middle-aged women,"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0. 

  9. J. H. Kim, D. J. Kim, S. H. Park,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nger recognition level and obesity variable of elderly women,"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 54, No. 6, pp. 475-483, 2015. 

  10. C. H. Kim, M. S. Song, S. I. Cho, H. K. Seo, J. H. Choi, B. M. Shin, "Research on the effects of fasting on the body,"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Vol. 164, pp. 1128-1140, 1994. 

  11. Derave, W., Mertens, A., Muls, E., Pardaens, K., & Hespel, P, "Effects of post absorptive and postprandial exercise on glucose gulation in metabolic syndrome," Obesity, Vol. 15, No. 3, pp. 704-711, 2007. 

  12. Y. H. Choi, "The effects of acute exercise with different fasting time on lipid metabolism and HOMA-IR," The Graduate School Sejong University Master's Thesis. 2016. 

  13. Y. J. Jin, "Effect of continuous-partial aerobic exercise on blood glucose, serum lipid and body composition among middle-aged obese women," Graduate School of Kook-min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7. 

  14. S. H. Choi, "Effects of the aerobic exercise on blood lipid of obese females in twenties," Korea Sports Research, Vol. 16, No. 3, pp. 161-171, 2005. 

  15. E. T. Choi, Y. Y. Ko, "The response on serum lipids of the sedentary middle-aged elderly women the middle-aged elderly women articipated in swimming,"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 34, No. 2. pp. 2357-2365, 1995. 

  16. Y. M. Kim, "Effect of combined taurine and fructose supplementation on both exercise capacity and energy metabolism,"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Doctor's Thesis, 2012. 

  17. Burchfiel C. M., Shetterly S. M., Baxter J., Hamman R. F, "The roles of insulin, obesity, and fat distribution in the elevation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impaired glucose tolerance," American Journal Epidemiology, Vol. 136, No. 9, pp. 1101-1109, 1992. 

  18. Lakatta, E. G, "Diminished beta-adrenergic modulation of cardiovascular function with aging," European Heart Journal, Vol. 11, pp. 22-29, 1986. 

  19. Mallion, J. M., Baguet, J. P., Siche, J. P., Tremel, F., Gaudemaris, R. D, "Clinical value of ambulatory blood pressure monitoring," Journal Hypertens, Vol. 17, No. 5, pp. 585-595, 1999. 

  20. K. J. Ko, "The influence of the order of training on the fat mass and muscle," Graduate School of Myonggi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3. 

  21. M. S. Choi, "A study on effect of muscular strength by weight training,". Graduate School of Chung-Ang University, Master's Thesis, 1994. 

  22. H. Y. Lee, "Effect of 6 week step-wise weight training program on body composition," Exercise Science, Vol. 12, No. 1, pp. 71-81, 2003. 

  23. DeFronzo, R. A., Bonadonna, R. C., & Ferrannini, E, "Pathogenesis of NIDDM. A balanced overview," Diabetes Care, Vol. 15, No. 3, pp. 318-368, 1992. 

  24. C. S. Choi, "Pathogenesis of insulin resistance,"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Vol. 77, No. 2, pp. 171-177, 2009. 

  25. C. K. Jung, J. H. Youm, "The effect of 12-weeks combined training and policosanol supplimentation inflammatory and maker and leptin in obese wome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3, No. 4, pp. 387-393, 2015. 

  26. Yamauchi, T., Kamon, J., Waki, H., Terouchi, Y., Kubota, N., & Hara, K, "The fat-derived hormone adiponectin reverses insulin resistance associated with both lipoatrophy and obesity," Nat Medicin, Vol. 7, No. 8, pp. 941-946, 2001. 

  27. Katja, B., Laatikainen, T., Salomaa, V., & Jousilahti, P, "Associations of leisure times physical activity, self-rated physical fitness and estimated aerobic fitness with serum C-reactive protein among 3,803 adults," Atherosclerosis, Vol. 185, No. 2, pp. 381-387, 2006. 

  28. M. S. Yoon, "Effect of the aerobic exercise on serum lipids and hormone in hypertensive patients," Graduate School Dong-A University. Master's Thesis, 2000. 

  29. Fitts, R. H. & J. O. Holloszy, "Lactate & contractile force in frog muscle during development of fatigue & recovery," American Journal Physiology, Vol. 231, No. 2, pp. 430-433, 1976. 

  30. J. S. Lee. Change of lactic acid and ammonia during extended exercise carried out by the carbohydrate intake. Graduate School of Yonsei University Master's Thesis, 1994. 

  31. K. J. Kim, "Relationship between buffering capacity of acidosis and inhibitory capacity of exercise,"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Vol. 37, No. 4, pp. 307-320, 1998. 

  32. Sui X, Church T. S., Meriwether R. A., Lobelo F., Blair S. N, "Uric acid and the development of metabolic syndrome in women and men," Metabolism, Vol. 57, No. 6, pp. 845-852, 2008. 

  33. H. K. Choi, Ford E. S,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individuals with peruricemia," American Journal Medicine, Vol. 120, No. 5, pp. 442-447, 2007. 

  34. Wheeler J. G., Juzwishin K. D., Eiriksdottir G., Gudnason V., Danesh J, "Serum uric acid and coronary heart disease in 9,458 incident cases and 155,084 controls: prospective study and meta-analysis," PloS Medicine, Vol. 2, No. 3, pp. 236-243, 2005. 

  35. Solymoss B. H., Bourassa M. G., Campeau L., Sniderman A., Marcil M., Lesperance J, "Effect of increasing metabolic syndrome score on atherosclerotic risk profile and coronary artery disease angiographic severity," American Journal Cardiovascular, Vol. 93, pp. 159-164,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