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속압착방식으로 착즙한 파인애플 및 키위 주스의 저온저장 조건에 따른 단백질분해효소 및 항산화 활성
Effect of Low Temperature Storage on Proteolyt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resh Pineapple and Kiwi Juices Extracted by Slow-Speed Masticating Household Juic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5 no.9, 2016년, pp.1316 - 1323  

박신영 (인제대학교 식품생명과학부) ,  김민주 ((주)휴롬 바이오식품연구소) ,  박지인 (인제대학교 식품생명과학부) ,  김정인 (인제대학교 식품생명과학부) ,  김묘정 (인제대학교 식품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저속압착방식의 주서기를 이용하여 착즙한 파인애플 주스와 키위 주스를 냉장($4^{\circ}C$) 및 냉동온도($-20^{\circ}C$)에서 30일 동안 저장하면서 저장조건이 주스의 항산화 활성단백질 분해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비타민 C 함량 및 총폴리페놀 함량은 파인애플 주스, 키위 주스 모두 냉동저장에서는 30일까지 90% 이상이 유지되었으나 냉장저장에서 비타민 C 함량은 각각 56.8% 및 32.9%, 총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31.9% 및 22.4%가 감소하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도 냉동조건보다는 냉장조건에서 활성 감소율이 크게 나타나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활성 감소율은 초기 비타민 C의 함량이 파인애플 주스보다 1.7배 더 높은 키위주스에서 낮게 나타났다. 파인애플 주스와 키위 주스의 단백질분해효소 활성은 냉동저장 30일까지 모두 초기 활성의 90% 이상으로 높게 유지되었으며 냉장저장 30일 후 파인애플 주스는 초기 활성의 88.4%를 유지하였지만 키위 주스는 초기 효소 활성의 34.5%만이 남아있어 서로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단백질분해효소 활성을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기 위해 진행한 닭 가슴살 단백질분해 활성 측정 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천연 연육제 또는 소화보조제로 널리 이용되는 파인애플 및 키위주스의 보관 시 냉장저장보다는 냉동저장이 항산화 활성 및 단백질분해효소 활성의 유지 측면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proteolyt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fresh pineapple and kiwi juices extracted using a slow-speed masticating household juicer during low temperature storage. While over 90% of vitamin C and total polyphenols in both juices were retained after storage for 3...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일반적으로 생과일로부터 착즙한 파인애플 및 키위 주스는 바로 또는 짧은 기간의 저장 후 연육제로 사용하지만, 이들을 장기간 냉장 또는 냉동 저장할 경우 단백질분해효소 및 항산화 활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18). 따라서 본 실험은 비타민 C를 비롯한 항산화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면서 천연 연육제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과일인 파인애플 및 키위로부터 저속압착방식의 착즙기를 사용하여 얻은 주스의 저장온도와 저장기간에 따른 단백질분해효소 활성 및 항산화 성분의 함량 변화를 측정한 결과를 바탕으로 적절한 저장 조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을 생각하는 측면에서 과일의 이점은? 최근 건강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으며, 마시는 음료에 대해서도 탄산음료보다 건강에 좋은 기능성 성분이 다량 함유된 과일주스류가 각광을 받고 있다(1). 과일에는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하여 식생활에서 주식의 영양적 결핍을 보충할 수 있으며 당, 유기산 및 안토시아닌 등 다양한 색소성분이 기호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2). 특히 과일에는 폴리페놀(polyphenol)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폴리페놀의 일종인 플라보노이드(flavonoids)는 항산화, 세포노화 억제, 심혈관계 질환 개선 등 다양한 생리활성들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4). 이와 같은 생리활성 성분들은 조리과정 중 열에 의한 파괴가 쉬운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가정에서 사용하는 믹서기와 같이 칼날이 고속으로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도 영양소가 파괴될 수 있다(5-7).
저속압착방식의 착즙기의 특징은? 이러한 이유로 최근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고속파쇄방식의 주서기보다 저속압착방식을 사용한 착즙기(low-speed masticating juicer)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저속압착방식의 착즙기는 금속칼날을 이용한 분쇄방식이 아닌 80 rpm으로 저속 회전하는 스크류로 과일을 압착하여 즙을 짜내기 때문에 발열을 최소화하고 수율도 높은 편이다(8).
저속압착방식을 사용한 착즙기가 등장하게 된 배경은? 과일에는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하여 식생활에서 주식의 영양적 결핍을 보충할 수 있으며 당, 유기산 및 안토시아닌 등 다양한 색소성분이 기호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2). 특히 과일에는 폴리페놀(polyphenol) 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으며, 대표적인 폴리페놀의 일종인 플라보노이드(flavonoids)는 항산화, 세포노화 억제, 심혈관계 질환 개선 등 다양한 생리활성들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4). 이와 같은 생리활성 성분들은 조리과정 중 열에 의한 파괴가 쉬운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가정에서 사용하는 믹서기와 같이 칼날이 고속으로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도 영양소가 파괴될 수 있다(5-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ee HR, Jung BR, Park JY, Hwang IW, Kim SK, Choi JU, Lee SH, Chung SK. 2008.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ntents of grape juice products in the Korean market. Korean J Food Preserv 15: 445-449. 

  2. Jeong SM, Son MH, Lee SC. 2003. A survey on contents of phenolic compounds of market fruit and vegetables juices. J Basic Sci 18: 117-123. 

  3. Lee MH, Kim MS, Shin HG, Sohn HY. 2011.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antithrombin activity of domestic fruit and vegetable juice.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9: 146-152. 

  4. Klimczak I, Malecka M, Szlachta M, Gliszczynska-Swiglo A. 2007. Effect of storage on the content of polyphenols, vitamin C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orange juices. J Food Compos Anal 20: 313-322. 

  5. Hinman WF, Brush MK, Halliday EG. 1944. The nutritive value of canned foods: VI. effect of large-scale preparation for serving on the ascorbic acid, thiamin, and riboflavin content of commercially-canned vegetables. J Am Diet Assoc 20: 752-756. 

  6. Park S, Kim S, Yoo Y. 1995. Effect of blanching time, blanching water and power settings on minerals retention in microwave blanched vegetables. Korean J Soc Food Sci 11: 98-103. 

  7. Yeom HW, Streaker CB, Zhang QH, Min DB. 2000. Effects of pulsed electric fields on the quality of orange juice and comparison with heat pasteurization. J Agric Food Chem 48: 4597-4605. 

  8. Kim MJ, Kim JI, Kang MJ, Kwon B, Jun JG, Choi JH, Kim MJ. 2015. Quality evaluation of fresh tomato juices prepared using high-speed centrifugal and low-speed masticating household juicers. Food Sci Biotechnol 24: 61-66. 

  9. Bae YH, Lee JS, Lee KA, Yoon JD, Kang DH, Lee JS. 2002. The effect of Sarcodon aspratus fruitbody on the cooking quality of beef steak. J East Asian Soc Diet Life 12: 326-333. 

  10. Ketnawa S, Chaiwut P, Rawdkuen S. 2012. Pineapple wastes: A potential source for bromelain extraction. Food Bioprod Process 90: 385-391. 

  11. Rao MB, Tanksale AM, Ghatge MS, Deshpande VV. 1998. Molecular and biotechnological aspects of microbial proteases. Microbiol Mol Biol Rev 62: 597-635. 

  12. Gaspani L, Limiroli E, Ferrario P, Bianchi M. 2002. In vivo and in vitro effects of bromelain on $PGE_2$ and SP concentrations in the inflammatory exudate in rats. Pharmacology 65: 83-86. 

  13. Engwerda CR, Andrew D, Ladhams A, Mynott TL. 2001. Bromelain modulates T cell and B cell immune responses in vitro and in vivo. Cell Immunol 210: 66-75. 

  14. Manhart N, Akomeah R, Bergmeister H, Spittler A, Ploner M, Roth E. 2002. Administration of proteolytic enzymes bromelain and trypsin diminish the number of CD4+ cells and the interferon- ${\gamma}$ response in Peyer's patches and spleen in endotoxemic balb/c mice. Cell Immunol 215: 113-119. 

  15. Kelly GS. 1996. Bromelain: a literature review and discussion of its therapeutic applications. Alt Med Rev 1: 243-257. 

  16. Kaur L, Rutherfurd SM, Moughan PJ, Drummond L, Boland MJ. 2010. Actinidin enhances protein digestion in the small intestine as assessed using an in vitro digestion model. J Agric Food Chem 58: 5074-5080. 

  17. Kaur L, Rutherfurd SM, Moughan PJ, Drummond L, Boland MJ. 2010. Actinidin enhances gastric protein digestion as assessed using an in vitro gastric digestion model. J Agric Food Chem 58: 5068-5073. 

  18. Soda I, Kaneko M, Sato T, Nakagawa H, Ogura N. 1987. Studies on utilization of kiwifruit protease-Studies on utilization of kiwifruit Part II.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34: 36-41. 

  19. Furusawa N. 2001. Rapi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identification/quantification of total vitamin C in fruit drinks. Food Control 12: 27-29. 

  20. Wolfe K, Wu X, Liu RH. 2003. Antioxidant activity of apple peels. J Agric Food Chem 51: 609-614. 

  21.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2. Kunitz M. 1947. Crystalline soybean trypsin inhibitor: II. general properties. J Gen Physiol 30: 291-310. 

  23. Gabriel AA, Usero JMCL, Rodriguez KJ, Diaz AR, Tiangson-Bayaga CLP. 2015. Estimation of ascorbic acid reduction in heated simulated fruit juice systems using predictive model equations. LWT-Food Sci Technol 64: 1163-1170. 

  24. Valente A, Albuquerque TG, Sanches-Silva A, Costa HS. 2011. Ascorbic acid content in exotic fruits: A contribution to produce quality data for food composition databases. Food Res Int 44: 2237-2242. 

  25. Lee HE, Lim CI, Do KR. 2007. Changes of characteristics in red pepper by various freezing and thawing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14: 227-232. 

  26. Park WB, Kim DS. 1995. Changes of contents of ${\beta}$ -carotene and vitamin C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juice of Angelica keiskei Koidz stored at different condi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375-379. 

  27. Minoggio M, Bramati L, Simonetti P, Gardana C, Iemoli L, Santangelo E, Mauri PL, Spigno P, Soressi GP, Pietta PG. 2003. Polyphenol pattern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ifferent tomato lines and cultivars. Ann Nutr Metab 47: 64-69. 

  28. Patthamakanokporn O, Puwastien P, Nitithamyong A, Sirichakwal PP. 2008. Changes of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 compounds during storage of selected fruits. J Food Compos Anal 21: 241-248. 

  29. Matsukawa R, Dubinsky Z, Kishimoto E, Masaki K, Masuda Y, Takeuchi T, Chihara M, Yamamoto Y, Niki E, Karube I. 1997. A comparison of screening methods for antioxidant activity in seaweeds. J Appl Phycol 9: 29-35. 

  30. Chaurasiya RS, Hebbar HU. 2013. Extraction of bromelain from pineapple core and purification by RME and precipitation methods. Sep Purif Technol 111: 90-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