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질환자 대상 맞춤형 투약상담 중재 프로그램 시범사업에 대한 평가
Participants' Evaluation on the Payer-driven Medication Counseling Intervention for Individuals with Chronic Disease 원문보기

한국임상약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v.26 no.3, 2016년, pp.245 - 253  

손현순 (차의과학대학교 약학대학) ,  장선미 (가천대학교 약학대학) ,  이주연 (한양대학교 약학대학) ,  한은아 (연세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payer-driven medication adherence intervention program from the patient's and counselor's perspectives. Methods: Target patients for intervention were selected by retrospective adherence measures based on national health insurance claims data for hyp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사업은 환자 개개인의 실제 의약품 사용 현황을 기반으로 복약이행도 개선을 위한 환자맞춤형 상담중재를 실시하여 환자 스스로 약물치료관리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궁극적으로 복약을 충실히 이행함으로써 만성질환 관리를 최적화하는 목표를 달성하고자 수행된 것이며, 그렇게 수행된 복약관리 상담중재 시범사업 과정이 얼마나 적절하고 성과가 있었는지를 평가하여 사업의 효과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중재대상환자나 상담수행자가 사업에 대해 어떻게 느끼고 어떻게 개선하는 것이 필요한지를 면접방법으로 조사함으로써 예측하지 못한 문제점이나 해결방안을 찾고자 하였으며, 이는 사업의 성공이 사업대상자들의 인식에서 출발하기 때문이다.
  • 또한 면접방식은 모든 사람에게 똑같이 적용되는 기준이나 현상이 없듯이 피면접자가 갖고 있는 상담중재프로그램에 대한 결과를 찾아내는 과정으로서, 만성질환자의 약물관리를 위한 중재방식을 이해하고 개선점을 찾는 데 있어서 상당히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개개 환자에서의 투약이행도를 향상시켜 치료지속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적 중재의 하나로서, 국민건강보험이 주도하여 실시한 만성질환자의 적정투약을 위한 상담중재프로그램의 시범사업에 참여한 상담자와 피상담자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성과를 평가해 보고자 실시되었다.
  • 8) 그러나, 이러한 프로그램이 전국 단위로 본격적으로 실시되기 위해서는, 시범사업에서 수행된 중재 과정이 얼마나 적절하고 성과가 있었는지를 평가하여 타당성이 입증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범사업에 참여한 대상자들의 면접을 통해 정성적인 평가를 수행하였다. 면접은 프로그램 대상자의 상황을 이해하고 중재가 이루어진 과정과 결과를 복합적인 맥락으로 이해할 수 있는 비구조적 방식으로 실시되는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로서,9) 비통제적인 실제 조건에서 중재프로그램 제공자와 수령자 같은 주체들이 해당 프로그램을 어떻게 이해하고 경험했는지를 다루는 특징이 있다.
  • 본 사업은 환자 개개인의 실제 의약품 사용 현황을 기반으로 복약이행도 개선을 위한 환자맞춤형 상담중재를 실시하여 환자 스스로 약물치료관리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궁극적으로 복약을 충실히 이행함으로써 만성질환 관리를 최적화하는 목표를 달성하고자 수행된 것이며, 그렇게 수행된 복약관리 상담중재 시범사업 과정이 얼마나 적절하고 성과가 있었는지를 평가하여 사업의 효과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중재대상환자나 상담수행자가 사업에 대해 어떻게 느끼고 어떻게 개선하는 것이 필요한지를 면접방법으로 조사함으로써 예측하지 못한 문제점이나 해결방안을 찾고자 하였으며, 이는 사업의 성공이 사업대상자들의 인식에서 출발하기 때문이다.1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심뇌혈관질환의 주 위험요인은 무엇인가? 심뇌혈관질환의 주 위험요인인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등은 우리나라 국민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는 만성질환이고 암 다음으로 주요한 사망원인이다.1) 우리 정부는 이러한 심뇌혈관질환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하여 정부차원의 심뇌혈관질환 종합대책(2011-2015)을 수립하여 이러한 질환의 예방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심뇌혈관질환 종합대책이 제시하고 있는 부분은 무엇인가? 1) 우리 정부는 이러한 심뇌혈관질환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하여 정부차원의 심뇌혈관질환 종합대책(2011-2015)을 수립하여 이러한 질환의 예방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일반 국민들이 일상생활에서 스스로 질병을 올바로 알고 예방 관리할 수 있도록 9대 생활수칙 등을 제시하고 있다.2) 또한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고지혈증)은 꾸준한 치료가 필요하다는 것과 약물치료는 반드시 의사 처방에 따르고 약물의 변경이나 중단 등은 임의로 결정하지 말라는 권장사항도 포함되어 있다.2) 적절한 약물치료는 심뇌혈관계 질환을 예방하여 건강수명을 증가시키고 건강보험재정의 안정화를 가져오지만, 평생 복용이 필요한 만성질환 약물요법에서는 항상 투약순응도의 문제가 중요하게 거론되곤 한다.
심뇌혈관질환의 위협에 대응하기위해 정부에서 하고있는 노력은 무엇인가? 심뇌혈관질환의 주 위험요인인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등은 우리나라 국민에게 가장 많이 발생하는 만성질환이고 암 다음으로 주요한 사망원인이다.1) 우리 정부는 이러한 심뇌혈관질환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하여 정부차원의 심뇌혈관질환 종합대책(2011-2015)을 수립하여 이러한 질환의 예방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일반 국민들이 일상생활에서 스스로 질병을 올바로 알고 예방 관리할 수 있도록 9대 생활수칙 등을 제시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Ministry of Health Welfare. Newsletter dated May 16, 2014. Subject:Strengthening of preventive management of cerebrovascular diseases. Available from http://www.m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CONT_SEQ300682&page1. Accessed March 20, 2015. 

  2.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Public relation material: Booklet on 9 daily life tips for preventive management of cerebrovascular diseases. 2009. Available from http://www.cdc.go.kr/CDC/notice/CdcKrIntro0504.jsp?menuIdsHOME001-MNU1154-MNU0004-MNU0110&cid11063. Accessed March 20, 2015. 

  3. Hong JS, Kang HC. Oral Antihyperglycemic Medication Adherence and Its Associated Factors among Ambulatory Care with Adult Type 2 Diabetes Patients in Korea. Korean J of Health Policy & Administration 2010;20(2):128-43. 

  4. Jang SM, Song HJ, Shin SY, et al.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ex of Antihypertensives. Hea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Report. Seoul; 2008. 

  5. Shin SY, Song HJ, Jang SM, Sung YN. Development of A Evaluation Index of Lipid Lowering Agents. Hea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Report. Seoul; 2009. 

  6. Wu JY, Leung WY, Chang S, et al. Effectiveness of telephone counselling by a pharmacist in reducing mortality in patients receiving polypharmacy:randomised controlled trial. BMJ 2006;333(7567):522. 

  7. Ryan R, Santesso N, Lowe D, et al. Interventions to improve safe and effective medicines use by consumers: an overview of systematic review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4;4:CD007768. 

  8. Jang SM, Han E, Park TJ, et al. Development of appropriate medication management program to support rational healthcare utilization. Hea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Report. Seoul; 2012. 

  9. Sofaer S. Qualitative methods: What are they and why use them? Health Service Research 1999;34:5(5 Pt2):1101-18. 

  10. Chung JJ, Cho JJ. Use of Qualitative Research in the Field of Health. J Korean Acad Fam Med 2008;29:553-62. 

  11. Benner JS, Glynn RJ, Mogun H, et al. Long-term persistence in use of statin therapy in elderly patients. JAMA. 2002;288(4):455-61. 

  12. Johnell K, Rastam L, Lithman T, et al. Low adherence with antihypertensives in actual practice: the association with social participation-a multilevel analysis. BMC Public Health. 2005;5:17. 

  13. Zhang NJ, Terry A, McHorney CA. Impact of health literacy on medication adherenc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nn Pharmacother 2014;48(6):741-51. 

  14. Britten N. Qualitative interviews in medical research. BMJ 1995;311(6999):251-3. 

  15. Doggrell SA. Adherence to medicines in the older-aged with chronic conditions: does intervention by an allied health professional help? Drugs Aging 2010;27(3):239-54. 

  16. Viswanathan M, Golin CE, Jones CD, et al. Interventions to improve adherence to self-administered medications for chronic diseases in the United States: a systematic review. Ann Intern Med 2012;157(11):785-95. 

  17. Friedman RH, Kazis LE, Jette A, et al. A telecommunications system for monitoring and counseling patients with hypertension. Impact on medication adherence and blood pressure control. Am J Hypertens 1996;9(4 Pt 1):285-92. 

  18. Jones C. Medication adherence study looks at types of interventions. Manag Care 2014;23(9):38-4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