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완화의료병동 암환자들의 섬망 치료를 위해 사용된 항정신병 약물의 효과 및 안전성 비교
Efficacy and Safety of Antipsychotics for Delirium Treatment in Cancer Patients Receiving Palliative Care 원문보기

한국임상약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harmacy, v.30 no.2, 2020년, pp.92 - 101  

오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약무국) ,  금민정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약무국) ,  김재송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약무국) ,  손은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약무국) ,  유윤미 (연세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Delirium is a neuropsychiatric disorder characterized by sudden impairments in consciousness, attention, and perception. The evidence of successful 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delirium is limited, and medication recommendations for managing delirium are not standardized. This stud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9 NCCN 지침과 2018 ESMO 지침에서 섬망 치료 약물로 제시하고 있는 aripiprazole, haloperidol, olanzapine, quetiapine, risperidone, 그리고 benzodiazepine이 한 단일 상급종합병원에서 완화의료병동 암환자의 섬망 치료에 사용된 현황을 파악한 후, 약제들 간의 섬망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비교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완화의료병동 암환자를 대상으로 섬망 치료에 사용되는 항정신병 약물의 사용 현황을 조사하고, 약물들의 효과와 안전성을 비교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상급종합병원 완화의료병동의 경우, 섬망 치료를 위한 약물로 quetiapine과 haloperidol을 95% 이상의 환자에서 사용하였고, 주요 국제 지침에서 제시하는 나머지 aripiprazole, olanzapine, diazepam을 사용한 경우는 없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섬망이란 무엇인가? 섬망은 의식, 주의력 및 인지의 장애로 특징지어지는 신경정신계 장애이며, 일부 환자에서는 감정이나 수면, 정신운동 활동에 영향을 주기도 한다.1) 섬망은 입원 환자에서 15-30%, 암환자에서 25-85%로 높은 발생률을 보이며, 고령의 입원 환자나 말기 암환자에서 더욱 흔하게 발생한다.
암환자에게 발생하는 섬망의 직접적인 발생 요인은? 1) 섬망은 입원 환자에서 15-30%, 암환자에서 25-85%로 높은 발생률을 보이며, 고령의 입원 환자나 말기 암환자에서 더욱 흔하게 발생한다.2,3) 섬망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암환자에게 발생하는 섬망의 경우에는 원발성 중추신경계 종양이나 뇌 전이 등이 직접적인 발생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전해질 불균형, 감염, 마약성 진통제 사용, 섬망 유발 약물 복용 등도 섬망 증상 발생에 간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암환자들의 섬망 치료에 사용된 항정신병 약물의 분석 결과는 어떠하였는가? 완화의료병동 암환자들의 섬망 치료에 사용된 항정신병 약물의 분석 결과, quetiapine과 haloperidol이 빈번히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quetiapine을 투여하는 것이 섬망 증상 조절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약물 간 약물이상반응 발생률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완화의료병동 암환자들의 섬망 치료에 quetiapine을 1차 약제로 고려해볼 수 있으나, 이 연구를 보완하여 추후 대규모 환자 및 다양한 약물을 대상으로 하는 추가적인 연구와 전향적 연구를 통한 확증이 필요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Grover S, Kumar V, Chakrabarti S. Comparative efficacy study of haloperidol, olanzapine and risperidone in delirium. J Psychosom Res 2011; 71(4): 277-81. 

  2. Yoon HJ, Park KM, Choi WJ, et al. Efficacy and safety of haloperidol versus atypical antipsychotic medications in the treatment of delirium. BMC Psychiatry 2013; 13: 240. 

  3. Breitbart W, Tremblay A, Gibson C. An open trial of olanzapine for the treatment of delirium in hospitalized cancer patients. Psychosomatics 2002; 43(3): 175-82. 

  4. Bush SH, Lawlor PG, Ryan K, et al. Delirium in adult cancer patients: ESMO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Ann Oncol 2018; 29(Suppl 4): iv143-iv65. 

  5. Lawlor PG, Gagnon B, Mancini IL, et al. Occurrence, causes, and outcome of delirium in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a prospective study. Arch Intern Med 2000; 160(6): 786-94. 

  6. Thomason JW, Shintani A, Peterson JF, Pun BT, Jackson JC, Ely EW. Intensive care unit delirium is an independent predictor of longer hospital stay: a prospective analysis of 261 non-ventilated patients. Crit Care 2005; 9(4): R375-81. 

  7. Agar MR, Lawlor PG, Quinn S, et al. Efficacy of oral risperidone, haloperidol, or placebo for symptoms of delirium among patients in palliative care: a randomized clinical trial. JAMA Intern Med 2017; 177(1): 34-42. 

  8. National Comprehensive Cancer Network. Palliative Care. Available from https://www.nccn.org/professionals/physician_gls/pdf/palliative.pdf. Accessed August 30, 2019. 

  9. Gaertner J, Eychmueller S, Leyhe T, Bueche D, Savaskan E, Schlogl, M. Benzodiazepines and/or neuroleptics for the treatment of delirium in palliative care?-a critical appraisal of recent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nn Palliat Med 2019; 8(4): 504-15. 

  10. Sundararajan V, Henderson T, Perry C, Muggivan A, Quan H, Ghali WA. New ICD-10 version of the Charlson comorbidity index predicted in-hospital mortality. J Clin Epidemiol 2004; 57(12): 1288-94. 

  11. Faculty of Pain Medicine. Opioid calculator. Available from http://www.opioidcalculator.com.au/opioidsource.html. Accessed October 15, 2019. 

  12. Lawlor PG, Bush SH. Delirium in patients with cancer: assessment, impact, mechanisms and management. Nat Rev Clin Oncol 2015; 12(2): 77-92. 

  13. Maldonado JR. Neuropathogenesis of delirium: review of current etiologic theories and common pathways. Am J Geriatr Psychiatry 2013; 21(12): 1190-222. 

  14. Seo MS, Lee YJ. Delirium management: diagnosis, assessment, and treatment in palliative care.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6; 19(3): 201-10. 

  15. Bush SH, Tierney S, Lawlor PG. Clinical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delirium in the palliative care setting. Drugs 2017; 77(15): 1623-43. 

  16. Pariwatcharakul P, Chantarat W, Singhakant S, et al. Antipsychotic prescribing pattern for geriatric patients with delirium in Thailand. Clinical Psychopharmacology and Neuroscience 2010; 8(3): 144-8. 

  17. Hui D, Frisbee-Hume S, Wilson A, et al. Effect of lorazepam with haloperidol vs haloperidol alone on agitated delirium in patients with advanced cancer receiving palliative care: a randomized clinical trial. JAMA 2017; 318(11): 1047-56. 

  18. Grover S, Mahajan S, Chakrabarti S, Avasthi A.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quetiapine and haloperidol in delirium: A single blind randomized controlled study. World J Psychiatry 2016; 6(3): 365-71. 

  19. Micromedex(R) (electronic version). IBM watson Health. Alprazolam. Adverse Effects. Available from https://www.micromedexsolutions.com/micromedex2/librarian/CS/4120A2/ND_PR/evidencexpert/ND_P/evidencexpert/DUPLICATIONSHIELDSYNC/1359CE/ND_PG/evidencexpert/ND_B/evidencexpert/ND_AppProduct/evidencexpert/ND_T/evidencexpert/PFActionId/evidencexpert.DoIntegratedSearch?SearchTermalprazolam&UserSearchTermalprazolam&SearchFilterfilterNone&navitemsearchALL#. Accessed February 3, 2020. 

  20. Verbalis JG. Brain volume regulation in response to changes in osmolality. Neuroscience 2010; 168(4): 862-70. 

  21. Adrogue HJ, Madias NE. Hyponatremia. N Engl J Med 2000;342(21): 1581-9. 

  22. Zieschang T, Wolf M, Vellappallil T, Uhlmann L, Oster P, Kopf D. The association of hyponatremia, risk of confusional state, and mortality. Dtsch Arztebl Int 2016; 113(50): 855-62. 

  23. Lee YJ, Jung HY, Lee SI, Kim SG, Park JH. Comparison on the efficacy of quetiapine versus haloperidol in the treatment of delirium: prospective, randomized trial. Korean J Biol Psychiatry 2009; 16(1): 15. 

  24. Maneeton B, Maneeton N, Srisurapanont M, Chittawatanarat K. Quetiapine versus haloperidol in the treatment of delirium: a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Drug Des Devel Ther 2013; 7: 657-67. 

  25. Choi HG, Park BS, Lee HJ, Choi JS, Jho KH, Shin YM. A prospective and open-label trial of quetiapine and haloperidol in the treatment of delirium. Korean J Psychosom Med 2005; 13(2): 85-94. 

  26. Ryan K, Leonard M, Guerin S, Donnelly S, Conroy M, Meagher D. Validation of the confusion assessment method in the palliative care setting. Palliat Med 2009; 23(1): 40-5. 

  27. Weaver CB, Kane-Gill SL, Gunn SR, Kirisci L, Smithburger PL.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antipsychotics in the treatment of ICU delirium. J Crit Care 2017; 41: 234-9. 

  28. Boettger S, Jenewein J, Breitbart W. Haloperidol, risperidone, olanzapine and aripiprazole in the management of delirium: A comparison of efficacy, safety, and side effects. Palliat Support Care 2015; 13(4): 1079-85. 

  29. Hale GM, Kane-Gill SL, Groetzinger L, Smithburger PL. An evaluation of adverse drug reactions associated with antipsychotic use for the treatment of delirium in the intensive care unit. J Pharm Pract 2016; 29(4): 355-60. 

  30. Faul F, Erdfelder E, Lang AG, Buchner A. G* 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 Res Methods 2007; 39(2): 175-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