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설과 공간계획을 중심으로 한 농촌지역 재난안전마을 구축방안 연구
Study on Plans to Establish Disaster Safety Villages in Rural Areas by Focusing on Facilities and Spatial Projects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2 no.3 = no.33, 2016년, pp.261 - 272  

O, Hyeji (Department of Construction Engeneering,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Semyung University) ,  Lee, Taegoo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eneering, Semyung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 세계가 지구 온난화 현상에 의한 기상이변을 겪으면서 태풍이나 집중호우, 지진, 가뭄 등의 급증하는 자연재해로 인해 많은 피해를 입고 있다. 우리나라는 특히 대륙성 기후와 해양성 기후가 교차하는 국가로 국지성 집중호우 및 태풍의 강도가 심화되어 피해가 빈번하고 산사태, 폭풍, 홍수를 동반하여 피해 규모는 증가한다. 이에 본 연구는 태풍과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가 특히 심하고 그에 따른 대책이나 기반시설이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은 농촌마을로 한정하여 피해사례와 원인을 분석하였고, 외국의 자연재해 방지 대책 사례를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시설과 건축물, 공간계획 위주로 국내 농촌지역에 적용가능한 계획요소를 도출함으로써 재난안전마을을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whole world has been damaged by dramatic increase of natural disasters such as localized torrential downpour, earthquake and drought, while suffering from climate changes caused by global warming. In Korea where the continental climate and oceanic one are crossed, the frequency and the size of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산사태를 방지하기 위한 대표적인 시설은 사방댐으로 경사가 급하고 골짜기를 형성하고 있는 산세에 설치하고, 절토비탈면 및 성토비탈면에는 방지시설(비닐, 천막 등 사면보호 자재)을 설치한다. 가리산리 마을 지도를 보면 (Fig. 6 ①부분) 여러 개의 골짜기와 계곡 산비탈에는 통나무 흙막이, 돌망태 골막이 등을 설치하고, 골짜기와 계곡이 만나는 지점부터 시작하여 SLIT사방댐, Buttress사방댐, 콘크리트사방댐을 설치하여 산사태로 인해 발생되는 유목과 토석류가 하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Fig.
  • 농촌지역에서는 배수의 토양침식 방지에 대한 향상된 토지 관리 방법을 적용하거나 투수성·다공성 표면과 연못 등으로 구성된 지속가능한 배수시스템을 개발하여 폭우에 대응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수해로 인한 피해가 큰 국내 강원도 인제군 수해에 의한 피해 사례를 조사하여 피해가 발생한 원인을 분석하였다. 둘째, 국외의 수해에 대비한 시설과 공간계획 사례를 조사하고, 국내에서 과거 수해로 인해 피해를 입은 마을을 대상으로 수해 후 구축된 방지 시설을 조사하였다.
  • 수해로 인해 2006년 큰 피해를 입었던 강원도 가리산리 마을은 우리나라 농촌지역의 대표적인 재난 복구 마을로써 앞으로 국내 농촌지역에 재난 안전마을을 구축하는데 좋은 사례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수해 이후 복구된 가리산리 마을의 공간 및 시설 계획을 중심으로 국내에 적용 가능한 국외 선진사례를 통해 농촌지역 재난 안전마을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먼저 가정용 주택에서는 홍수나 갑작스러운 폭우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피해를 막기 위해 주택의 위치, 높이 및 주요 시설물의 위치를 전반적으로 높게 설계하고 기존 집안의 벽면 아래쪽에 위치한 콘센트는 물에 잠겨 감전이나 2차적인 피해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벽면 위쪽에 계획한다. 또한 물이 쉽게 빠질 수 있도록 투과 가능한 물질과 배수로를 이용하여 집중호우로 인해 불어나는 물을 배수하는데 도움을 주도록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수해로 인한 국내 피해 사례를 조사하여 피해 원인을 분석하고, 해외의 자연재해에 대비한 시설과 건축물, 그리고 공간계획 사례를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농촌지역에 적용 가능한 계획요소를 찾아 재난안전마을을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 했다.
  •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재난안전마을 구축 방안은 태풍과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가 특히 심하고 그에 따른 대책이나 기반시설이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은 농촌지역으로 한정하여 농촌마을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위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수해로 인한 국내 피해 사례를 조사하여 피해 원인을 분석하고, 해외의 자연재해에 대비한 시설과 건축물, 그리고 공간계획 사례를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농촌지역에 적용 가능한 계획요소를 찾아 재난안전마을을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 했다.
  • 둘째, 국외의 수해에 대비한 시설과 공간계획 사례를 조사하고, 국내에서 과거 수해로 인해 피해를 입은 마을을 대상으로 수해 후 구축된 방지 시설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마지막으로 국내에 재난안전마을을 구축하기 위한 적절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특히 강원도의 피해 중 인명피해가 인제군이 강원도 전체 피해의 약 69%, 평창군에서 약 23%를 나타낸 것으로 보아 인제군의 피해가 심각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표 사례로써 강원도 인제군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 2002년 태풍 “루사”, 2003년 태풍 “매미” 피해 이후에 풍수해에 대한 경각심은 높아졌지만, 아직도 그에 대한 대책이 마련되지 않은 지역이 무수히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태풍과 집중호우로 인한 수해로부터 안전한 마을을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 세계적으로 자연 재해 발생으로 인한 피해 사례에는 무엇이 있는가? 예고 없는 이러한 자연재해로 인해 지난 1900년 이후 목숨을 잃은 사람이 800만명에 달하며 자연재해로 인한 손실을 따져보면 총 7조 달러 (약 8000조원)1)에 이른다. 가장 최근 우루과이에서는 홍수로 인한 피해가 발생했으며, 칠레는 폭우로 인한 산사태가 잇따르고 강물이 범람하며 다수의 인명피해를 낳았다. 미국 텍사스에서도 최대 500mm가 넘는 폭우가 쏟아져 4명이 사망하고 도시 기능이 마비돼 긴급 재난 사태가 선포되었다. 우리나라 역시 그동안 하절기 집중호우와 태풍 등에 의한 극심한 재산피해와 인명피해를 입었고, 올해는 특히 급격히 발달한 저기압의 영향으로 인해 발생한 강풍으로 인해 지속적인 피해가 속출했다. 이렇듯 전 세계적으로 자연 재해 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이러한 상황에서 재난을 예측하고 대응하는 것이 갈수록 힘든 일이 되었다.
우리나라의 자연재해 특징은 무엇인가? 전 세계가 지구 온난화 현상에 의한 기상이변을 겪으면서 태풍이나 집중호우, 지진, 가뭄 등의 급증하는 자연재해로 인해 많은 피해를 입고 있다. 우리나라는 특히 대륙성 기후와 해양성 기후가 교차하는 국가로 국지성 집중호우 및 태풍의 강도가 심화되어 피해가 빈번하고 산사태, 폭풍, 홍수를 동반하여 피해 규모는 증가한다. 이에 본 연구는 태풍과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가 특히 심하고 그에 따른 대책이나 기반시설이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은 농촌마을로 한정하여 피해사례와 원인을 분석하였고, 외국의 자연재해 방지 대책 사례를 조사하였다.
자연재해로 인한 사망자와 손실은 어느 정도 인가? 전 세계는 산업화·도시화로 인한 지구 온난화 현상에 의해 기상이변을 겪으면서 태풍이나 집중호우, 지진, 가뭄 등의 급증 하는 자연재해로 인해 많은 피해를 입고 있다. 예고 없는 이러한 자연재해로 인해 지난 1900년 이후 목숨을 잃은 사람이 800만명에 달하며 자연재해로 인한 손실을 따져보면 총 7조 달러 (약 8000조원)1)에 이른다. 가장 최근 우루과이에서는 홍수로 인한 피해가 발생했으며, 칠레는 폭우로 인한 산사태가 잇따르고 강물이 범람하며 다수의 인명피해를 낳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Jang, H, Kim, S, Jung, S. (2013). Natural Disaster&Urban Restoration. Buyonsa, Seoul. 

  2. EDWARD A.KELLER, ROBERT H.BLODGETT (2007). Natural Hazards. Sigmapress, Seoul. 

  3. Kim, J. (2012). A Study on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the Mitigation Measures against the Gale Disaster - Focused on the Strong Wind Loss by the Typhoon 'KOMPASU'(2010) in Chungcheongnam-Do.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Seoul. 

  4. Myung, S, Lee, D, Shin, S, Joe, K, Lee, H. (2009). Assessing Vulnerability to Climate Change of the Physical Infrastructure and Developing Adaptation Measures in Korea. Korea Environment Institute, 978-89-8464-416-8, Seoul. 

  5. Kwon, K. (2009). A Study on Disaster Prevention Model Village Focusing. National Crisis&Emergency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Vol.3 No.1, p1-25. 

  6. Lee, C, Park, H, Shin, S. (2011). Development of a Manual for Flood Prevention in Urban Planning.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11-1660080-000087-01, Ulsan. 

  7. Kim, K. (2006).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Flood Disaster Recovery Model for Farming and Mountain Villages. Research Institute For Gangwon, Gangwon. 

  8. Jung, J, Lee, S, Sa, K. (2007). A Study on hazard mitigation policy through land use planning. Korea Environment Institute, RE-20, Seoul. 

  9. Kim, J, Jang, D, Choi, S. (2013). Technical Development Strategy for the Best Management of the Rainwater Storage and Infiltration Facilities in Urban Areas.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11-1312184-000035-01, Uls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