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지역 재난안전마을 만들기 활성화를 위한 컨텐츠 마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Contents for Promoting the Establishment of a Disaster Safety Village in Rural Areas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4 no.4 = no.42, 2018년, pp.387 - 398  

구원회 (Department of Disaster Prevention,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Disaster Preven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백민호 (Department of Fire & Disaster Preven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 한국과 일본의 재난안전마을 관련 운영 컨텐츠 사례를 조사 및 분석하여 농촌지역 특성에 맞는 재난안전마을 구축사업 시 적용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한국과 일본의 재난안전마을 관련 사업 컨텐츠 현황을 주민참여, 구조적, 법 제도 환경적으로 분류하여 조사 및 분석을 통해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농촌지역 특성에 맞는 재난안전마을 컨텐츠(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 주민참여 컨텐츠는 유관기관과 연계한 기초안전교육, 심폐소생술 교육, 대피소 생활 체험 훈련, 대피 훈련, 농촌활동과 재난활동 병행 훈련, 마을 안전지도 만들기 등이 있으며 법 제도 환경적 컨텐츠는 재난안전마을 구축을 위한 법, 조례 제정, 전문가 파견제도, 풍수해보험 제도, 마을만들기 기금조성을 위한 펀드 제도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구조적인 컨텐츠는 자립형 대피소, 무선 대피 안내 방송시스템, 하천재해 방재시스템, 재난안전 안내 표지판, 마을안전지도 표지판 제작, 방재공원 구축 등을 제시하였다. 결론 : 법 제도 환경적 컨텐츠는 법/제도 마련을 위한 기반 구축이고 구조적 컨텐츠는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과 더불어 농촌지역 환경을 고려한 친환경 공법을 활용하여 설치해야 한다. 또한 주민참여는 농촌마을의 주민의 연령, 특성, 환경 등 다양한 항목을 고려하여 컨텐츠를 활용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disaster safety village establishment project that fits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areas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operation cases of contents with regard to disaster safety villages in Korea and Japan. Method: The contents of project r...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마지막으로 안전마을의 구조적 컨텐츠는 재난안전(풍수해, 가뭄 등)과 생활안전분야(범죄, 교통안전 등)로 구분하여 시설을 설치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있으며 재난으로부터 안전성을 확보하고 위험요인을 정비하기 위하여 실시한다. 이 사업의 재난분야의 구조적 주요 컨텐츠를 살펴보면 크게 풍수해분야, 붕괴분야, 가뭄, 설해, 폭염 등의 기타분야로 나누어지며 지역의 특성에 맞게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의 재난안전마을 구축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한국과 일본의 재난안전마을 관련 사업 컨텐츠를조사 및 분석하여 농촌지역 특성에 맞는 재난안전마을 컨텐츠를 시하였으며 세부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의 마을단위(면단위) 대책인 재난안전마을 구축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첫째, 국내외 재난안전마을 관련 사업 컨텐츠 현황을 조사하였다. 둘째, 이를 국내외로 나누어 항목별 분석하여 특성을 살펴보았다.
  • 일본 세타가야구 방재 및 생활환경정비사업은 지진 등으로 인한 화재로부터 마을을 지키는 것을 목적으로 건물의 불연화․안전화의 추진, 구획도로의 정비, 공원정비와 공지확보(방재공원 조성), 방화수조 등 방재시설 정비, 방재에 배려한 물과 녹지의 마을만들기 추진, 라이프라인의 확보와 위험요인 제거 등을 실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전마을 만들기 사업의 목적은 무엇인가? 안전마을 만들기 사업은 안심마을과 방재우수마을 사업을 통합한 사업으로 재난안전분야 및 생활안전분야에 대해 주민공동체주도 위험지역 예찰, 안전교육 훈련 등의 활동 전개 및 재난안전과 생활안전이 확보되도록 위험요인을 정비하는 것으로 특히, 주민공동체, 지방자치단체, 행정기관이 참여하는 마을단위 협업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도 마을주민 중심의 주민공동체가 주도로 마을의 안전도를 높이기 위해 자율활동을 실시하며 이를 안전활동이라 하고 이 중 주민참여에 대한 활동은 주민 안전교육, 위험지역 예찰 및 출입제한 조치, 마을배수로 정비 및 청소, 마을안길 제설작업, 대피훈련, 빗물받이 청소, 방재물자비축, 옹벽 석축 배면 빗물유입 방지, 마을주민 책임담당자 지정, 취수원 보호, 마을안길제설 관리 담당구역 설정 등이 있다.
안심마을 만들기 사업 중 주민참여에 대한 컨텐츠로 무엇이 있는가? 먼저, 안심마을 만들기 사업은 2013년€안전행정부(현 행정안전부)가€범정부적€안전문화€활성화를 위한 민․관 협력네트워크 구축과 병행하여 지역안전문화 정착·확산의 거점으로 안심마을 조성 시범사업을 추진하였다. 이 사업은 크게 주민참여 및 협력네트워크 활동인 ‘안심네트워크 사업’과 지역안전문화 정착·확산의 공간환경으로써 ‘안전인프라사업’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 주민참여에 대한 컨텐츠는 어린이 안전교육, 찾아가는 심장 사랑학교, 차 없는 거리 시민행사, 5분대기 안전활동 조직 및 운영, 재난대비 물 길 찾기, 핫라인 신고, 119행복나눔 Festival, 13-13안전 프로젝트, 노들 안전문화, 행복 나눔 확산, 100%주민 안전교육, 마을 안전 가이드 디자인 맵 제작, 안전지킴이 봉사단 운영, 노인 스쿨존 안전지킴이운영, 건강한 마을 만들기, 지역 안전리더 육성, 독립 가옥 경보시설 설치, 재난구조 봉사 및 취약지역 복지서비스 제공, 재난대비 안심차량 운영, 취약세대 소화기 보급, 안전지도 제작, 안전문화 운동추진, 안전 자원봉사 운영 등을 운영하고 있다.
풍수해보험제도란 무엇인가? 풍수해보험제도는 국민이 예기치 못한 자연재해(태풍, 홍수, 호우, 해일, 강풍, 풍랑, 대설, 지진)로 인해 피해를 입었을경우 국가가 일부를 보조하고 다시금 조기에 일상생활로 복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선진국형 보험으로 최대 86%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이처럼 국내 재난안전마을 관련 사업 법․제도 환경적 컨텐츠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은 Table 3과 같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Koo, W.H, Choi, Y.J, Baek, M.H(2016), A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Residents' Demands for Establishing a Safe Community against a Disaster in a Rural Area, J. Korean Soc. Hazard Mitig., Vol. 16, No. 5 (Oct. 2016), pp. 55-61 

  2. Back, M.H, Lee, J.H(2010) Study on the Plan for Disaster Prevention Town Develop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0 No. 3, pp. 53-59. 

  3. Kim, D.H, Seong, J.I, Kim, Y.D(2014.12), Rural housing policies and village promotion cases in Japan,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4. Moon C, Yoon, H.C, Cho, P.G(2003.10) , A Study on the Urban Disaster Prevention,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5.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e(2016), 2016 Guideline for regional safety improvement project,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 

  6. Ministry of Public Safety and Security(2015.02), Safe community building project promotion plan in 2015 

  7. Kim, E.H(2015.9.30), Safety infrastructure operation guideline for safe community demonstration project, Architecture & Urban Research Institute(Auri) Brief 

  8. Kangwon National University(2016), Development of residents-participatory disaster safety community establishment model in Rural Are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9. Lee, B.J, Direction for the promotion of residents-driven safe community building project, Political Issues 04 

  10. Kim, E.H, Promotion status and tasks of residents-driven safe community building demonstration project, Political Issues 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