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사와 융합인재교육의 적용 실태와 과학사를 활용한 설계 기반의 융합인재교육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Analysis on the Utilization of History of Science and STEAM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bout Design-based STEAM Instruction Applying the History of Science in Science Class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40 no.2, 2016년, pp.166 - 188  

박상우 (경북대학교) ,  정원우 (경북대학교) ,  박영관 (경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과학 수업에서 과학사와 융합인재교육의 활용 실태와 과학사를 활용한 설계 기반의 융합인재교육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과학사와 융합인재교육의 활용 실태와 과학사를 활용한 설계 기반의 융합인재교육 수업에 대한 교육적 가치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지는 Shin & Han(2011)과 Lee & Shin(2014)의 연구와 Park et al.(2010)의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문제에 맞게 수정하여 총 20문항의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설문지는 D시와 G시 지역에 재직하고 있는 201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초등교사들은 과학 수업에서 과학사를 적극적으로 다루지 않으며, 주로 학생들에게 간단히 소개하면서 스스로 읽어보게 하였다. 초등교사들은 '충분하지 않은 시간'을 이유로 융합인재교육을 적극적으로 다루고 있지 않으며, '창의적 문제해결력' 에 지도 중점을 두고 있지만 이 단계를 매우 지도하기 어려워하고 있었다. 또한 초등교사은 과학사를 활용한 설계 기반의 융합인재교육수업의 교육적 가치에 대해서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과학적 원리와 과거 과학자의 문제해결의 사례를 통해 학생들에게 창의적 설계와 문제해결의 아이디어와 실마리를 제공해 줄 수 있다고 인식하였다. 결론적으로 융합인재교육이 초등학교 현장에서 성공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초등교사들의 과학사와 융합인재교육의 활용실태에 대한 인식과 과학사를 활용한 설계 기반의 융합인재교육 수업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향후 보다 구체적인 과학사를 활용한 설계 기반의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학교 현장에 보급할 필요가 있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utilization of history of science and STEAM and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about design-based STEAM instruction applying the history of science in science class. To research the utilization of the history of science and STEAM in elementa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수업에서 과학사와 융합인재교육 수업의 활용 실태를 분석하고 과학사를 활용한 설계 기반의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과학사와 융합인재교육의 활용 실태를 알아보고 과학사를 활용한 설계 기반의 융합인재교육 수업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을 각각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설문지는 Shin & Han(2011)과 Lee & Shin(2014)의 연구와 Park et al.
  • 이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에 기초하여 과학 수업에서 과학사와 융합인재교육의 활용 실태를 알아보고, 과학사를 활용한 설계 기반의 융합인재교육 수업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학교 현장의 성공적인 과학사와 융합인재교육 수업의 정착을 위한 방향과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이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수업에서 과학사와 융합 인재교육의 수업 활용 실태와 과학사를 활용한 설계 기반의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 문항을 개발하여 분석하였다. 설문 문항을 개발하기 위하여 융합인재교육 수업에 대한 인식과 관련한 선행연구에 대하여 문헌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활용 실태에 대한 인식과 관련한 설문지는 초등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인식 연구(Shin & Han, 2011)와 융합인재교육(STEAM) 수업에서 초등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분석 연구(Lee & Shin, 2014)를 바탕으로 하여 수정 및 개발하였다.
  • 이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에 기초하여 과학 수업에서 과학사와 융합인재교육의 활용 실태를 알아보고, 과학사를 활용한 설계 기반의 융합인재교육 수업의 교육적 가치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학교 현장의 성공적인 과학사와 융합인재교육 수업의 정착을 위한 방향과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개발된 설문지는 사전에 초등교사 10명에게 예비 투입(pilot test)하였으며, 예비 투입 후 응답자가 이해하기 어려운 문항과 개념(과학사, 융합인재교육, 과학사를 활용한 설계 기반의 융합인재교육 수업 등)이 예견되어 설문지 앞에 용어에 대한 개념 설명을 추가하였다. 특히 과학사의 개념과 과학사를 활용한 설계 기반의 융합인재교육 수업의 방법에서의 과학사 활용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안내하고 수업방법에 대한 사진과 동영상을 제시하여 이해를 높이고 연구의 타당도를 높이려고 노력했다. 예비 투입과정에서 하위 문항의 진술이 불분명하다고 판단되어진 문항도 발견되어 명확하게 수정한 후에 설문지를 최종적으로 완성하였다(부록).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국과학진흥협회는 변화하는 현대사회에 맞춰 무엇을 주장하는가? 과학교육에서는 빠르게 변화하는 현대사회와 과학 기술 기반의 미래 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현재 우리 사회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며 삶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는 교육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미국과학진흥협회는 앞으로 21세기 과학교육을 모든 시민들의 ‘과학적 소양(Scientific Literacy)’을 기르기 위한 기본교육으로 삼았으며(AAAS, 1989), 현대 과학은 과학기술 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사람에게 반드시 요구되는 기초적 소양을 길러야 한다는 주장이 강조되고 있다(Leite, 2002; MEST, 2010).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부응하여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도 과학 개념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과학적 소양에 목표를 두고, 소수의 전문적인 과학자나 기술자를 양성하는 것이 아닌 다수의 미래 일반시민이 갖추어야 할 자질을 지향하고 있다(MEST, 2009).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은 변화하는 시대흐름에 어떤 점을 지향하는가? 이에 미국과학진흥협회는 앞으로 21세기 과학교육을 모든 시민들의 ‘과학적 소양(Scientific Literacy)’을 기르기 위한 기본교육으로 삼았으며(AAAS, 1989), 현대 과학은 과학기술 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사람에게 반드시 요구되는 기초적 소양을 길러야 한다는 주장이 강조되고 있다(Leite, 2002; MEST, 2010).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부응하여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도 과학 개념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과학적 소양에 목표를 두고, 소수의 전문적인 과학자나 기술자를 양성하는 것이 아닌 다수의 미래 일반시민이 갖추어야 할 자질을 지향하고 있다(MEST, 2009).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을 기르기 위해서는 과학 지식의 잠정적이며 가변적인 특성과 과학-기술-사회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포함하는 ‘과학의 본성(Nature of Science)’에 대한 이해가 이루어져야 하며(NRC, 1996), 이러한 과학의 본성을 올바르게 이해함으로써 과학적 소양을 함양할 수 있다고 밝혔다(Meichtry, 1992; NSTA, 1971).
과학사 활용과 융합인재교육 수업에 대한 활용 실태 결과를 뒷받침해주는 근거는 무엇인가? 그리고 초등교사들은 융합인재교육 수업을 적극적으로 다루지 않고 있으며, 그 이유로 ‘충분하지 않은 시간’과 ‘융합인재교육에 대한 지식과 전문성의 부족’을 주된 이유로 들고 있었다. 이러한 설문 결과는 Lim, Kim & Lee(2014)의 융합인재교육의 현장적용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에서 융합인재교육 활동이 실제 수업에의 적용이 어렵다는 주된 이유로 융합인재교육 활동에 대한 정보의 부족, 준비의 어려움, 시간의 부족을 이유로 들고 있는 것과 비슷한 결과를 보인다. 초등교사들은 초등학교 단계부터 융합인재교육을 시작하는 것이 적절하며 특히 초등학교 5-6학년에서 가장 적합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 (1989). Science for all Americans. Washington, D.C.: Author. 

  2. Bae, S., & Guem, Y. (2010). The recognition and needs of chemical industry teachers about STEM education of chemical industry area in industrial technical high school.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ion, 35(1), 44-67. 

  3. Bae, S., & Guem, Y. (2012). The recognition and need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bout STEAM education.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ducation, 37(2), 57-75. 

  4. Baek, Y., Park, H., Kim, Y., No, S., Park, J., Lee, J., Jung, J., Choi, Y., & Han, H. (2011). STEAM education in Korea.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1(4), 149-171. 

  5. Butterfield, H. (1957). The Origins of Modern Science (rev. ed.). New York, NY: Free Press. 

  6. Bybee, R. W. (2010). Advancing STEM Education: A 2020 Vision. Technology and Engineering Teacher, 70(1), 30-35. 

  7. Bybee, R. W. (2013). The case for STEAM education. Arlington, VA: NSTA press. 

  8. Cho, H. (1994). Science-Technology-Society science education. Seoul, Korea: Kyoyookbook. 

  9. Choi, J., Nam, J., KO, M., & Ko, M. (2009). Development middle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through history of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9(2), 221-239. 

  10. Choi, K. (1996).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STS. Seoul, Korea: Kyohaksa. 

  11. Conant, J. B. (1953). On understanding science: An historical approach. New Haven, CT: Yale University Press. 

  12. Han, H., & Lee, H. (2012). A study on the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of STEAM educa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2(3), 573-603. 

  13. Jenkins, E. (1991). The history of science in british school: Retrospect and prospect, history, philosophy, and science teaching. New York, NY: Teachers College Press. 

  14. Jung, M. (2003).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 and teacher's conceptions about the combustion in the view of history of science (Master's thesis).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Buk, Korea. 

  15. Kang, S., Kim, Y., & Noh, T. (2004). The influence of small group discussion using the history of science upon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the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4(5), 996-1007. 

  16. Kang, Y., & Shin, Y. (2011). The effects of various instructional activities using the history of science on science learning motiv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0(3), 330-339. 

  17. Kim, J. S. (2012). STEAM education. Gyeonggi, Korea: Yangseowon. 

  18. Kim, K., Kwon, B., Kim, C., & Choi, S. (2011). Beliefs about gifted education and classroom practices of the science teachers at science academy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5(4), 514-525. 

  19. Kwon, H., & Park, K. (2009). Engineering design: A facilitator for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STEM) educatio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3(2), 207-219. 

  20. Lee, H. (2004). The effect of instruction utilizing science history on the science achievement and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chapter of 'Water cycle and weather change' (Master's thesis). Ewha Woman University, Seoul, Korea. 

  21. Lee, H., Oh, Y., Kwon, H., Park, K., Han, I., Jung, H., Lee, S., Oh, H., Nam, J., Son, D., Seo, B., & An, H. (2011).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integrated education and integrative STEM education.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7(4), 117-139. 

  22. Lee, H., & Yoo, J. (2004). Effect of instruction utilizing history of science on the science achievement and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chapter of ‘Water cycle and weather chang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5(7), 565-575. 

  23. Lee, J., Park, H., & Kim, J. (2013). Primary teachers’ perception analysis 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TEAM education program.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2(1), 47-59. 

  24. Lee, J., & Shin, Y. (2014).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fficulties in the STEAM clas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3(3), 588-596. 

  25. Lee, M., Oh, S., & Lee, K. (2005).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concepts in evolution based on science history.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4(2), 145-159. 

  26. Lee, S., & Roh, T. (2011).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STEM integrated approach in technology education. Korean Technology Education Association, 11(3), 1-20. 

  27. Leite, L. (2002). History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hecklist for analysing the historical content of science textbooks. Science and Education, 11(4), 333-359. 

  28. Lewis, T. (2006). Design and inquiry: Bases for an accommodation between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in the curriculu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3(3), 255-281. 

  29. Lim, S., Kim, Y., & Lee, T. (2014).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field application of STEAM educatio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8(1), 133-143. 

  30. Matthews, M. R. (1994). Science teaching: The role of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New York, NY: Teachers College Press. 

  31. Meichtry, Y. J. (1992). Influencing student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Data from a case of curriculum develop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4), 389-407. 

  32. Ministry of Educational and Science Technology [MEST]. (2009). Commentary primary school curriculum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Seoul, Korea: Author. 

  33. Ministry of Educational and Science Technology [MEST]. (2010). 2011 Business report; Window to open the creative talent and the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future of republic of Korea. Seoul, Korea: Author. 

  34.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3). The introduction and policy direction of STEAM education. Seoul, Korea: Author. 

  35.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4). Scienceteacher's guides for elementary school.Seoul, Korea: Author 

  36.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37.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38.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NSTA]. (1971). NSTA position statement on school science education for the 70's, The Science Teacher, 38, 46-51. 

  39. Park, S., Jung, W., & Park, K. (2015). Analysis of the introduced contents and the nature of science on the history of science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according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9(2), 221-238. 

  40. Park, S., Park, Y., Kim, J., & Jung, W. (2010). A study on the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e applying of the history of korean science in elementary science clas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4(2), 383-395. 

  41. Rutherford, F. J. (2001). Fostering the history of science in American science education. Science & Education, 19(6), 569-580. 

  42. Sanders, M. (2009). STEM. STEM education, STEM mania. The Technology Teacher, 68(4), 20-26. 

  43. Sanders, M. (2011). An introduction to integrative STEM education. STEAM international education seminar, 4-25, Ehwa Woman University, Seoul, Korea. 

  44. Sanders, M., Kwon, H., Park, K., & Lee, H. (2011). Integrative STE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education: Contemporary trends and issues. SERI Journal, 59(3), 729-762. 

  45. Shin, Y. & Han, S. (2011). A study of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 in STEA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Mathematics) education.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0(4), 514-523. 

  46. Solomon J., Duveen, J., Scott, L., & McCarthy, S. (1992). Teaching about the nature of science through history: Action research in the classroo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4), 409-421. 

  47. Stenhouse, L. (1976). An introduction to curriculum research and development. London, England: Heinemann. 

  48. Yang, S., Sing, J, Kim, I., Cho, J., & Jung, W. (1996). History of Science and Science Education. Seoul, Korea: Minumsa. 

  49. Williams, J. (2011). STEAM education: Proceed with caution. Design and Technology education, 16(1), 26-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