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멸종위기어류 한강납줄개 Rhodeus pseudosericeus (Pisces: Cyprinidae)의 분포양상 및 멸종위협 평가
Distribution Aspect and Extinction Threat Evaluation of the Endangered Species, Rhodeus pseudosericeus (Pisces: Cyprinidae) in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Ichthyology = 한국어류학회지, v.30 no.2, 2018년, pp.100 - 106  

고명훈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  한미숙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  권선만 (국립생물자원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멸종위기어류 한강납줄개 R. pseudosericeus의 분포양상 및 멸종위협 등급을 평가하기 위해 과거 문헌 기록을 정리하고 2012년부터 2017년까지 분포조사를 실시하였다. 과거에 출현한 지점 수는 26개였으며, 분포조사는 214지점을 조사하여 44개 지점(한강 35개, 삽교천 4개, 대천천 5개 지점)에서 서식을 확인하였다. 한강의 일리천과 삼산천, 반계천, 한포천은 처음으로 서식이 확인되었으나 섬강의 횡성댐 일대와 흑천 하류, 무한천, 대천천 등은 댐건설과 하천공사, 수질오염, 외래종 배스의 확산 등으로 심각한 서식지 및 개체수가 심각하게 감소하고 있었다. 한강납줄개의 주요 서식지는 물이 맑은 하천 중 상류 정수역의 모래와 자갈의 비율이 높고 수생식물이 많은 곳이었다. IUCN 적색목록 기준지침서에 따라 멸종위협 등급을 평가하면, 10년 이내 점유면적 30.2%의 감소와 서식지의 질적 하락, 관상용으로 남획 위험, 외래종 배스의 확산 등으로 멸종위기 등급인 취약(VU A2cde)으로 평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istribution aspect and extinction threat evaluation of the endangered species, Rhodeus pseudosericeus were investigated from 2012 to 2017 in Korea for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number of appearance sites in the past literature of available and identified R. pseudosericeus was 26. During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멸종위기종인 한강납줄개의 과거 출현기록을 분석·정리하여 기존 출현지역을 정리하고, 과거 출현지역 및 출현 예상지역에 대해 정밀 분포조사를 실시하여 분포양상 및 서식지 특징, 감소원인 등을 밝히며, 과거 출현기록과 분포조사 결과를 통해 최종적으로 멸종위협 등급을 평가하고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강납줄개란 무엇인가? 한강납줄개 Rhodeus pseudosericeus는 한국 고유종으로 잉어과(Cyprinidae), 납자루아과(Acheilognathinae)에 속하는 소형어류이며 (Kim and Park, 2007), 2012년 이후부터는 환경부의 멸종위기야생생물 II급으로 지정되어 법적 보호를 받고 있다(ME, 2012). 한강납줄개는 납줄개 R.
한강납줄개의 확인된 서식지는? pseudosericeus의 분포양상 및 멸종위협 등급을 평가하기 위해 과거 문헌 기록을 정리하고 2012년부터 2017년까지 분포조사를 실시하였다. 과거에 출현한 지점 수는 26개였으며, 분포조사는 214지점을 조사하여 44개 지점(한강 35개, 삽교천 4개, 대천천 5개 지점)에서 서식을 확인하였다. 한강의 일리천과 삼산천, 반계천, 한포천은 처음으로 서식이 확인되었으나 섬강의 횡성댐 일대와 흑천 하류, 무한천, 대천천 등은 댐건설과 하천공사, 수질오염, 외래종 배스의 확산 등으로 심각한 서식지 및 개체수가 심각하게 감소하고 있었다. 한강납줄개의 주요 서식지는 물이 맑은 하천 중·상류 정수역의 모래와 자갈의 비율이 높고 수생식물이 많은 곳이었다.
적색목록 평가기준의 평가요인은 무엇인가? 멸종위기종의 지정은 선정기준에 따라 크게 달라져 오랫동안 논란이 되어 왔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보다 객관적인 멸종위기종 선정을 위해 적색목록 평가기준을 제시하였는데, 개체수의 감소와 출현면적, 점유면적, 지소(location) 또는 아개체군 수, 성숙개체수 등을 중요한 평가요인으로 사용하였다(IUCN, 2001). 2011년 한국 어류의 적색자료집과 2005년과 2012년 멸종위기종의 지정 등에는 이들을 평가하는 객관적인 자료가 부족하여 많은 어려움이 있어 왔다(ME, 2005, 2012; NIBR,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rai, R., S.R. Jeon and T. Ueda. 2001. Rhodeus pseudosericeus sp. nov., a new bitterling from South Korea (Cyprinidae, Acheilognathinae). Icthyol. Res., 48: 275-282. 

  2. Byeon, H.K. 1998. Ichthyofauna and fish community in the Seom River. Institute Basic Sci. Sangmyung Univ., 11: 1-10. (in Korean) 

  3. Chae, B.S. and H.J. Yang. 1993. A new distributional record of an Acheilognathine fish, Rhodeus sericeus (Pallas) (Cyprinidae, Pisces) in South Korea. Korean J. Zool., 36: 175-180. 

  4. Choi, J.K., J.S. Choi, H.S. Shin and S.C. Park. 2005. Study on the dynamics of the fish community in the Lake Hoengseong Region. Korean J. Limnol., 38: 188-195. (in Korean) 

  5. Cummins, K.W. 1962. An evolution of some techniques for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benthic samples with special emphasis on lotic waters. Am. Midl. Nat., 67: 477-504. 

  6. IUCN. 2001. IUCN Red List Categories and Criteria: Version 3.1. IUCN Species Survival Comission. IUCN, ii + 30pp. 

  7. Jang, M.H., G.J. Joo and M.C. Lucas. 2006. Diet of introduced largemouth bass in Korean rivers and potential interactions with native fishes. Ecol. Freshwater Fish, 15: 315-320. 

  8. Jeon, H.B. and H.Y. Suk. 2014. Pseudo but actually genuine: Rhodeus pseudosericeus provides insight into the phylogeographic history of the Amur bitterling. Anim. Cells Syst., 18: 275-281. 

  9. Kani, T. 1944. Ecology of Torrent-inhabiting Insects, pp. 171-317. In: Insect I (Furukawa, J., ed.). Kenkyu-sha, Tokyo. (in Japanese) 

  10. Kim, C.H., E.J. Kang and J.H. Kim. 2006. Development of egg and early life history of Korean bitterling, Rhodeus pseudosericeus (Acheilognathinae). Korean J. Ichthyol., 18: 266-272. (in Korean) 

  11. Kim, C.H., J.Y. Park, M.K. Park, E.J. Kang and J.H. Kim. 2008. Minute tubercles on the skin surface of larvae in the Korean endemic bitterling, Rhodeus pseudosericeus (Pisces, Cyprinidae). J. Appl. Ichthyol., 24: 269-275. 

  12. Kim, H.S., J.D. Yun, H. Yang, H.S. Choi and J.H. Lee. 2017. Reproductive characteristics of Rhodeus pseudosericeus (Pisces: Acheilognathinae) in the Heukcheon, Namhangang (River), Korea. Korean J. Ichthyol., 29: 235-243. (in Korean) 

  13. Kim, H.S., S.W. Yun, J.G. Ko and J.Y. Park. 2014. Occurance of a natural hybrid beteen Rhodeus pseudosericeus (Pisces, Cyprinidae) from the Namhangang (river), Korea. Korean J. Ichthyol., 26: 153-158. 

  14. Kim, I.S. and J.Y. Park. 2007. Freshwater Fishes of Korea. Kyohak Publishing, Seoul, 467pp. (in Korean) 

  15. Ko, M.H., I.S. Kim, J.Y. Park and Y.J. Lee. 2007. Growth of a landlocked ayu, Plecoglossus altivelis (Pisces: Osmeridae) and weir obstruction in Lake Okjeong, Korea. Korean J. Ichthyol., 19: 142-153. (in Korean) 

  16. Ko, M.H., J.Y. Park and Y.J. Lee. 2008. Feeding habits of an introduced large 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Perciformes; Centrachidae), and its influence on Ichthyofauna in the Lake Okjeong, Korea. Korean J. Ichthyol., 20: 36-44. 

  17. Ko, M.H., S.J. Moon and I.C. Bang. 2011. Study of the fish Community structure and inhabiting status of endangered species Gobiobotia macrocephala and G. brevibarba in the Seom River, Korea. Korean J. Limnol., 44: 144-154. (in Korean) 

  18. Ko, M.H., S.J. Moon and I.C. Bang. 2013a. Fish community structure and inhabiting status of endangered species in Baebong Stream. Korean J. Ecol. Environ., 46: 192-204. (in Korean) 

  19. Ko, M.H., S.J. Moon, Y.G. Hong and I.C. Bang. 2013b. Distribution status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the endangered species, Lethenteron reissneri (Petromyzontiformes: Petromyzontidae) in Korea. Korean J. Ichthyol., 25: 189-199. (in Korean) 

  20. Ko, M.H., Y.S. Kwan, W.K. Lee and Y.J. Won. 2017. Impact of human activities on changes of ichthyofauna in Dongjin River of Korea in the past 30 years. Anim. Cells Syst., 21: 207-216. 

  21. Lee, W.O., M.H. Ko, J.M. Bak, D.H. Kim, H.J. Jeon and K.H. Kim. 2010. Characteristics of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in Buk Stream of Goseong, Korea. Korean J. Ichthyol., 22: 238-248. (in Korean) 

  22. MAFRA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0. The National Survey of Low Head Dams and Development of Database in Korea, 275pp. (in Korean) 

  23. ME (Ministry of Environment). 1997-2012. National Environment Investigation of Freshwater fish. 

  24. ME (Ministry of Environment). 2005. Enforcement of Wildlife Laws (Law No. 7167). (in Korean) 

  25. ME (Ministry of Environment). 2012. Conservation and Management Laws of Wildlife (Law No. 10977). (in Korean) 

  26. Moyle, P.B. and J.J. Cech. 2000. Fishes: an introduction to ichthyology. 4th ed. Davis: Prentice Hall, 612pp. 

  27. NFRDI. 2008. Study for Protecting Water Quality of Water Conservation Zone and Substrainable Fishing in the Lake Hoengseong (Second year). Kwater, 134pp. 

  28. NFRDI. 2009. Biota Surveys in River of Yellow Sea Coast (Sapgyo Steam & Muhan Stream). In: 2009 Fisheries Research Projects Annual Exam, the Final Evaluation Kits. Inland Fish. Research & Dev. Inst., 632-636. (in Korean) 

  29. NIBR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1. Red Data Book of Endangered Fishes in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Incheon, pp. 59-60. (in Korean) 

  30. Son, Y.M. 1994. Freshwater ecosystem disturbance by foreign fish species. Nature conserv., 88: 30-33. (in Korean) 

  31. Song, H.B., O.K. Kwon and S.H. Jeon. 1995. Fish fauna of the upper Sum River in Hoengsong. Korean J. Limnol., 28: 225-232. (in Korean) 

  32. Song, M.Y., S.Y. Jung, K.H. Kim, J.M. Baek and W.O. Lee. 2013. Characteristics of fish fauna and community structure in Daecheon Stream in Boryeong, Korea. Korean J. Environ. Ecol., 27: 437-448. (in Korean) 

  33. Uchida, K. 1939. The fishes of Tyosen. Part I. Numatognathi, Eventognathi. Bull. Fish Exp. Sta. Gov. Gener. Tyosen, 90-94. (in Japanes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