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 교과서 프로젝트 학습이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th Textbook Project Learning(MtPL) on Affective Domain 원문보기

학교수학 = School Mathematics, v.18 no.3, 2016년, pp.479 - 501  

유기종 (안법고등학교) ,  김창일 (단국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예비 고등학교 3학년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수학 교과서, G+, 수능기출문제를 학습도구로 하여 2015년 12월 24일부터 9주간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한 혼합형 학습 방법인 '수학 교과서 프로젝트 학습(MtPL)'을 개발하여, MtPL이 고등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MtPL은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교과서를 이용한 협력학습교사의 역할은 수학 학습에서 도구적 동기로 작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입시에 성공하기 위해서 더 어려운 수학 문제를 풀어야 한다는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의 수학 학습 방법에 대한 인식이 수정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교과서를 활용한 수능 준비와 수학 학습에서 교과서의 이용은 학생들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learning project for 20 pre-third graders in high school by means of math textbooks, G+, and sample questions from previous CSAT as learning tools for 9 weeks from Dec. 24, 2015.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math textbook project learning(MtPL)', a mixed le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협력학습의 특징은 무엇인가? 협력학습은 구성원의 공동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협동심을 기르는데 공헌하며(박성택, 1998), 학습자의 자아존중감과 협동심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윤현상, 김삼곤, 2001). 협력학습의 가장 큰 효과는 수학 학습의 성공경험을 할 수 있다는 점이며(최승현, 황혜정,2014), 동료와 협력이 이루어진 집단은 학업성취 수준에 관계없이 모든 수준의 학생들에게 학업성취도가 더 효과적으로 향상되었으며, 학습이 부진한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 대한 태도와 자신감의 뚜렷한 개선이 보였다(서종진, 2002; 홍진곤, 조승래, 2003).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정의적 목표는 무엇인가? 1955년 공표된 제1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교육과정까지 수학과 교육과정의 목표 중 정의적 영역은 점차 세분화되고, 시기별로 강조하는 것이 다르게 제시되며 개정되어왔지만 주로 수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 그리고 긍정적 태도를 갖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남진영,2015). 특히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정의적 목표는 이전 수학과 교육과정의 목표에 자신감과 실천능력을 기르는 것을 추가로 명시하였다(교육부,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강명희, 박미순, 정지윤, 박효진(2009).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자 간 상호작용과 학습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5(2), 67-85. 

  2. 강명희, 김세영, 강주현 (2015). 구글플러스 기반 프로젝트 학습의 성취도에 대한 자기조절학습과 교수실재감의 예측력: 인지된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평생학습사회, 11(2), 275-302. 

  3. 교육과학기술부(2012).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 8], 우신기획. 

  4. 교육부 (2016).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8]. 

  5. 구재선 (2009). 행복은 심리적 자원을 형성하는가.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1), 165-179. 

  6. 구재선, 서은국 (2012). 행복은 4년 후 학업성취를 예측한다. 한국심리학회지, 26(2), 35-50. 

  7. 김부미 (2012).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수학적 신념 측정 및 특성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2(2), 229-259. 

  8. 김부미 (2016). 수학 학습 동기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분석. 학교수학, 18(2), 397-423. 

  9. 김경희, 김수진, 김남희, 박선용, 김지영, 박효희, 정송(2008).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TIMSS/PISA)에 나타난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성취 변화의 특성.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8-3-1. 

  10. 김선경 (2005). 수학과 정의적 영역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수진, 동효관, 박지현, 김지영, 진의남, 서지희, 김민정 (2013). TIMSS 2011 결과에 따른 수학?과학 교육 현황 국제비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3-7-2. 

  12. 김수환, 한선관 (2013). 스마트러닝 환경에서의 프로젝트 학습 전략 및 요인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7(3), 243-252. 

  13. 김혜숙, 함은혜 (2014). PISA 2012 수학 교과의 정의적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특성 분석. 교육평가연구, 27(5), 1311-1335. 

  14. 남진영 (2015). 수학과 국가교육과정의 정의적 영역 목표 고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9(2), 159-178. 

  15. 류성림 (1999). 수학교육에서 피아제(Piaget)와 비고츠키(Vygotsky)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역할에 관한 고찰. 과학 수학 교육연구, 22, 109-131. 

  16. 류희찬 (1996). 열린 교육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 소집단 협력 학습을 중심으로. 교원교육, 12(1), 55-62. 

  17. 박성택 (1998). 수학과 소집단 협력학습의 방향 탐색. 수학교육학연구, 8(1), 1-9. 

  18. 박정 (2007). 우리나라 중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변화와 수학 성취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수학교육, 46(1), 19-31. 

  19. 박지현, 김윤민, 최승현 (2014). 수학에 대한 자신감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4(2), 145-164. 

  20. 상경아, 김성숙, 김경희, 김수진, 시기자, 한정아 (2015). 수학 성취 및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교육맥락변인의 영향: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와 PISA 연계 데이터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5-8. 

  21. 서종진 (2002). 수학에서 협동 학습에 관한 기초 연구. 수학교육, 14, 229-250. 

  22. 송미영, 임해미, 최혁준, 박혜영, 손수경 (2013).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2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3-6-1. 

  23. 염시창, 박철영 (2011). 수학 자기효능감과 수학성취도의 관계에서 학습전략의 매개효과-잠재성장모형 분석. 수학교육, 50(1), 103-118. 

  24. 신명희, 박승호, 서은희 (2005). 여자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따른 시간관리 및 지연행동 연구. 교육학연구, 43(3), 211-230. 

  25. 오수창 (2000). 흥미유발 학습자료의 개발?적용이 수학과 학습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3(2), 111-122. 

  26. 유기종 (2015). 좋은 수학 수업 요인에 대한 고등학교 학생과 교사의 인식.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유기종, 김창일, 고상숙 (2016).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고등학교 수학 교사의 선호도 비교. 수학교육, 55(1), 129-145. 

  28. 윤현상, 김삼곤 (2001). 협동학습이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업성취도, 자아존중감 및 협동심에 미치는 영향. 수산해양연구, 13(2), 194-211. 

  29. 이민찬, 길양숙 (1998). 수학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정의 (情意) 적 특성의 학년별 변화 및 성별성취 집단별 차이. 수학교육, 37(2), 147-158. 

  30. 이상수 (2012). 네트워크 사회 도래에 따른 새로운 교육의 방향. 교사교육연구, 51(2), 282-296. 

  31. 이종연 (2002). 고등학교 수학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수행평가 기준 개발. 학교수학, 4(2), 193-204. 

  32. 이종희, 김선희 (2010).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 정의적 성취의 차이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4(4), 759-785. 

  33. 이종희, 김수진 (2010). PISA 2003 결과에서 수학의 정의적 영역에 영향을 주는 변인 분석. 학교수학, 12(2), 219-237. 

  34. 임정훈, 임병노, 최성희, 김세리 (2004). 초, 중등학교에서 교실수업과 웹기반 학습을 연계한 커뮤니티 기반 프로젝트 학습모형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20(3), 103-135. 

  35. 조성현, 허승희 (2008). 시간관리기술 훈련이 아동의 자기주도적 학습력과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학연구, 21, 117-131. 

  36. 조일현 (2010). 대학 프로젝트 수업 환경에서 분업화, 상호작용, 공유정신모형이 팀 수행성과와 개인 학습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26(3), 1-20. 

  37. 조정수 (1999). 브가츠키(Vygotsky)의 사회-문화적 인지발달 이론과 수학적 의견교환. C-초등수학교육, 3(2), 89-101. 

  38. 주영주, 이종희, 김선희 (2011). 수학교과에서 남?녀 집단 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흥미, 외적동기 및 학업성취도의 영향력 차이 검증. 교과교육학연구, 15(4), 1019-1041. 

  39. 최승현, 구자옥, 김주혼, 박상욱, 오은순, 김재우, 백현아 (2013). PISA와 TIMSS 결과에 기반한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특성 함양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3-18. 

  40. 최승현, 황혜정 (2014). 수학 교과에서의 정의적 특성 요인의 의미 및 지도 방안 탐색. 수학교육 논문집, 28(1), 19-44. 

  41. 통계청 (2016). 2015년 초?중?고 사교육비조사 결과(2016년 2월 26일 보도자료). 

  42. 한선영, 이장주 (2015). 수학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프로젝트 활용의 역사와 그 적용의 분석. 한국수학사학회, 28(6), 333-348. 

  43. 홍진곤, 조승래 (2003). 협력학습을 통한 수학 학습부진아 지도. 수학교육, 42(3), 327-335. 

  44. Ames, C. (1992). Classrooms: Goals, Structures, and Student Motiv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4(3), 261-271. 

  45. Driscoll, M. P. (1994). Psychology of learning for instruction. Boston : Allyn and Bacon Erlbaum. 

  46. Goldin, G. A. (2002). Affect, meta-affect, and mathematical belief structures. In Beliefs: A hidden variable in mathematics education? (pp. 59-72). Springer Netherlands. 

  47. Liu, M. & Hsiao, Y.P. (2002). Middle School Students as Multimedia Designers: A Project-Based Learning Approach. Journal of Interactive Learning Research, 13(4), 311-337. 

  48. McLeod, D. B. (1989). Beliefs, attitudes, and emotions: New views of affect in mathematics education. In Affect an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p. 245-258). Springer New York. 

  49. Mullis, I. V., Martin, M. O., Foy, P., & Arora, A. (2012). TIMSS 2011 international results in mathematics.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valuation of Educational Achievement. Herengracht 487, Amsterdam, 1017 BT, The Netherlands. 

  50. OECD (2010). OECD Health Data 2010: Statistics and Indicators for 34 countries. Paris: OECD. 

  51. Reyes, L. H. (1984). Affective variables and mathematics education.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84(5), 558-58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