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 예비 수학교사들의 수학 교수 효능감 실태 분석
Analysis of Preservice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Efficacy on Mathematics Teaching 원문보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v.20 no.1, 2016년, pp.35 - 53  

강문봉 (경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예비 수학교사들의 수학 교수 효능감이 어느 정도인지를 분석한 것이다. 강문봉과 김정하가 개발한 효능감 측정 도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3개 교육대학의 수학교육과 2학년과 4학년 164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 초등 수학교사들의 수학 교수 효능감은 약간 긍정적인 수준에 있으며, 남녀 또는 고등학교 때의 이수 계열이나 대학교의 학년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지역간에 어느 정도 유의한 차이가 드러났으며, 특히 사회문화적 영향에 대한 신념은 다른 요인에 비해 상당히 낮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investing and analysing preservice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efficacy on teaching mathematics. It was measured by Kang & Kim(2014)'s instrument; MTEI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Instrument). The survey was conducted on a sample of 164 participants who are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효능감은 오랜 기간에 걸쳐서 형성된다는 점에서 예비교사 양성에서부터 효능감을 길러주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초등 예비교사들의 수학 교수 효능감이 어느 정도인지를 측정해 보려고 한다. 이러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수학 교수 효능감에 대한 정보는 효능감을 신장하기 위한 방안을 찾거나 교육대학에서의 수학교육에 어떤 시사점을 던져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 이 연구는 우리나라 예비 초등 수학교사들의 수학 교수 효능감이 어느 정도인지를 파악하려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하여 강문봉, 김정하(2014)가 개발한 수학 교수 효능감 측정 도구를 예비교사에게 적합하게 일부 문항을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가설 설정

  • 각 요인별로도 Levene의 등분산 검정 결과 A와 C 대학의 학생에 대한 교사 신념 외에는 모두 등분산이 가정되었다. 이에 따른 t 검정의 결과는 다음 <표 10>과 같다.
  • 각 요인별로도 Levene의 등분산 검정 결과 남자와 여자 사이의 F값의 유의수준 확률은 0.05보다 크므로 등분산이 가정된다. 이때의 t값의 유의수준 확률은 다음 <표 7>과 같다.
  • 각 요인별로도 Levene의 등분산 검정 결과 모두 등분산이 가정되었다. 이때 평균의 동일성에 대한 t 검정 결과는 다음 <표 13>과 같다.
  • 962이다. 그러므로 남자와 여자 사이에 등분산이 가정된다. 이때의 t값의 유의수준 확률은 <표 6>에서 보는 것처럼 0.
  • 이 연구에서 사용한,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한 검사도구는 36문항으로 구성된 위의 도구를 예비교사들에게 적합하게 일부 문항을 수정하였으며, 현재 학생이기는 하지만 ‘현직 교사’라고 가정하여 응답하게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훌륭한 수학 교사를 양성하기 위해서 수학 교수 효능감을 길러주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여기서 더 나아가서 수학 교사는 수학 교사로서의 자신감과 자기 효능감을 가져야 한다. 교사의 교수 행동에 영향을 주는 여러 변인 중에서 학생들의 학업 성취에 일관성 있고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 중의 하나는 교사 효능감이다(Ashton, 1984). 그러므로 훌륭한 수학 교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예비 교사들에게 수학적 지식과 교수학적 내용지식을 길러주어야 하지만 수학 교수 효능감도 길러주어야 한다.
수학 교수 결과기대는 무엇인가? 수학 교수 효능기대는 수학교사가 자신의 수학 지도에 대해 얼마나 잘 가르칠 수 있는지에 대한 자아 기대 또는 자기 확신이며, 수학 교수 결과기대는 자신이 수학을 지도했을 때 학생들의 성적이나 성취도 또는 관심과 흥미와 같은 지도의 결과가 어떻게 나올 것인지에 대한 교사의 기대 또는 예측이다. 수학 교수학적 내용지식에 대한 신념은 Shulman이 정의한 대로 수학을 ‘학생이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설명하는, 내용과 교수 방법이 결합된 전문적 지식’에 대한 신념이다.
교사효능감은 무엇인가? 교사 효능감이라는 용어는 1974년의 Barfield와 Burlingame의 연구로부터 시작된다. 교사효능감은 학생들의 학습 활동을 통해 원하는 결과를 산출할 수 있는 교사의 능력에 대한 교사 자신의 판단이다(Bandura, 1977; Tschannen-Moran & Hoy, 2001). 그러므로 수학교수 효능감은 수학 교수 상황에서의 교사 효능감이라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강문봉, 김정하 (2014). 수학 교수 효능감 측정 도구 개발 연구.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18(3), 521-539. 

  2. 김세루, 홍지명, 김권일, 홍혜경 (2008). 유아교사의 수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수학 교수효능감, 유아의 수학적 태도와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8(5), 141-157. 

  3. 김정주 (2003). 유아교사의 수학교수 효능감 형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정하, 강문봉 (2015).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학 교수 효능감 실태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수학교육학연구 25(1), 75-93. 

  5. 량도형 (2013). 초등 예비 수학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MTEBI 한글판 개발. 한국수학교육학회 A-수학교육, 52(3), 363-377. 

  6. 문효영, 권성룡 (2010). 교육실습에서의 수학 수업이 초등예비교사의 수학에 관한 신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2), 487-521. 

  7. 성원경, 이춘자 (2012). 예비유아교사의 유아수학교육내용 지식과 수학적 교수효능감과의 관계. 실천유아교육, 17(1), 1-18. 

  8. 여은진, 이경옥 (2004). 유아교사의 개인적, 학문적, 사회환경적 요인에 다른 수학 교수 효능감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9(4), 175-192. 

  9. 이미경 (2009). 수학 교사의 교수학적 내용지식과 수학 교수 효능감과의 관계. 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이은영, 우민정 (2010). 예비 유아교사의 수학에 대한 태도 및 수학 교수효능감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30(4), 213-229. 

  11. 임성택 (2011). 교사효능감. 강현출판사. 

  12. 임창미 (2006). 유아교사의 수학교수 효능감과 수학교육내용 및 교수 방법에 대한 인식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한종화 (2013). 유아교사의 수학 본질에 대한 신념, 수학에 대한 태도, 수학교수효능감 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7(5), 421-439. 

  14. 허양원, 김선유 (2013). 수학교과에 대한 초등교사의 자기효능감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수학교육학회지 학교수학, 15(2), 337-352. 

  15. Ashton, P. T. (1984). Teacher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5(5), 28-32. 

  16. Bandura, A. (1977).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2), 191-215. 

  17. Enochs, G. L., Smith, L. P., & Huinker, D. (2000). Establishing factorial validity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0(4), 194-201. 

  18. Huinker, K. & Madison, S. (1997). Preparing efficacious elementary teachers in science and mathematics: The influence of methods courses.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8, 107-126. 

  19. Riggs, I. M. & Enochs, L. G (1990).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cience Education, 74(6), 627-637. 

  20. Tschannen-Moran, M. & Hoy, A. W. (2001). Teacher efficacy: Capturing an elusive construct.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7, 783-8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