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독신모가구 빈곤의 거시적 결정요인 국제비교 - 한국을 포함한 OECD 19개국을 대상으로(1981-2012) -
Comparative Study on The Macro Causes of Single-Mother Households Poverty And Implications on Korea - Focusing on OECD 19 Countries Including Korea(1980-2012) - 원문보기

韓國社會福祉學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68 no.3, 2016년, pp.51 - 71  

심상용 (상지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을 포함한 OECD 주요국을 대상으로 사회구조적 요인, 복지제도, 노동시장 및 정치제도 등 독신모가구 빈곤의 국가 간 다양성에 영향을 끼치는 거시적 원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1981년부터 2012년 기간에 대해 불균형패널설계(unbalanced panel design)방법을 적용한 결합시계열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독신모가구의 빈곤율은 국가 간 다양성이 현저했다. 1인당GDP는 빈곤위험감소에 기여하지 못했고, 여성고용율과 15세미만 아동비율은 빈곤위험을 증가시켰다. 전체사회복지지출, 아동에 대한 현금지출, 노조조직률, 정규직에 대한 고용보호, 비례대표선거제도, 누적좌파내각, 누적여성의석수는 독신모가구의 빈곤위험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경제성장 일변도와 노동시장유연화 위주의 탈빈곤전략에서 탈피해 보편적 복지제도, 아동에 대한 복지급여와 일-가정양립정책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노조조직률향상과 고용보호확대 등 조정된 노동시장제도를 설계하고, 비례대표선거제도 등 합의제정치모델을 도입해 좌파정치세력과 여성의 정치적 대표성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macro causes influencing on the diversity of single-mother households poverty among OECD Countries including Korea. This study carried out pooled time series cross-section analysis applying unbalanced panel design on the period from 1981 to 2012. There is mark...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독신모가구의 빈곤을 결정하는 거시적 요인은 어떻게 구분하는가? 독신모가구의 빈곤을 결정하는 거시적 요인은 사회구조적 요인, 복지제도, 노동시장 및 정치제도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사회구조적 요인이 전반적으로 악화되면 독신모가구는 빈곤에 처할 수 있다.
조정된 시장경제의 노동 시장 제도의 특징은? 반면, 고숙련-고비용의 생산레짐을 추구하는 조정된 시장경제(coordinated market economies, CMEs)는 노사 간의 사회적 조정을 추구한다. CMEs의 노동시장제도의 특징은 높은 노조조직률, 산업 및 전국단위의 노사협상, 높은 고용보호수준이다(Hancké et al., 2007).
복지제도가 독신모 가구의 빈곤 위험 감소에 기여하는 요인인 이유는? 둘째, 복지제도는 독신모가구의 빈곤위험감소에 기여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인정받아왔다. 복지제도 는 독신모가구의 욕구에 반응해 사회적 위험에 대한 대처를 가능케 하고 가처분소득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그런데 복지제도의 특성에 따라 독신모가구의 빈곤위험감소에 끼치는 영향이 상이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0)

  1. 강지원, 2009, 국제비교를 통해서 본 한국의 한부모정책, 보건사회연구, 29(2): 30-54. 

  2. 고은주.김진욱, 2009, 한부모 가구의 빈곤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36(2): 219-236. 

  3. 김수정, 2008, 비교 국가적 관점에서 본 한국 여성가구주의 빈곤, 보건사회연구, 28(2): 33-52. 

  4. 김안나, 2006, 한국사회 여성빈곤과 빈곤대책, 보건사회연구, 26(1): 36-67. 

  5. 김은하, 2009, 근로빈곤층 여성의 빈곤탈출 결정요인: 인적자본, 가구특성, 노동시장 지위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36(3): 239-268. 

  6. 김진욱, 2010, 한부모 가구의 빈곤과 소득이전: 양부모 가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37(1): 101-125. 

  7. 서울대학교 사회정책그룹, 2008, 한국 복지국가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비교사회정책 연구, 한국연구재단 보고서. 

  8. 석재은, 2004, 한국의 빈곤의 여성화에 대한 실증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56(2): 167-194. 

  9. 윤홍식, 2004, 결혼해체를 경험한 여성의 소득수준 및 빈곤실태와 공.사적소득이전의 역할, 한국사회복지학, 56(2): 5-27. 

  10. 이용우, 2006, 여성 한부모 가구의 빈곤지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미국을 중심으로 한 국가간 비교연구, 사회복지정책, 25: 53-80. 

  11. 이은혜.이상은, 2009, 우리나라 도시근로자 가구의 남녀 가구주 간 빈곤 격차 요인 분해, 한국사회복지학, 61(4): 333-354. 

  12. 홍백의.김혜연, 2007, 성별 집단 내 소득불평등(inequality among gender)의 변화 추이 및 원인, 한국사회복지학, 61(2): 391-415. 

  13. Alderson, A. S., 1999, "Explaining deindustrialization: Globalization, failure, or succes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4: 701-721. 

  14. Anderson, C. J., and Singer, M. M., 2008, "The sensitive left and the impervious right: Multilevel models and the politics of inequality, ideology, and legitimacy in Europe", Comparative Political Studies, 41(4/5): 564-599. 

  15. Beck, N., 2001, "Time series-cross section data: What have we learned in the past few years", Annual Review of Political Science, 4: 271-293. 

  16. Beck, N., and Katz, J. N., 2001, "Throwing out the baby with the bath water", International Organization, 5: 487-495. 

  17. Brady, D., 2003a, "The poverty of liberal economics", Socio-Economic Review, 1: 369-409. 

  18. Brady, D., 2003b, "The politics of poverty: Left political institutions, the welfare state and poverty", Social Forces, 82: 557-588. 

  19. Brady, D., 2005, "The welfare state and relative poverty in rich Western democracies, 1967-1997", Social Forces, 83(4): 1329-1364. 

  20. Brady, D., 2006, "Structural theory and relative poverty in rich Western democracies, 1969-2000", Research in Social Stratification and Mobility, 24(2): 153-175. 

  21. Brady, D., Fullerton, A., and Cross, J. M., 2010, "Putting poverty in political context: A multi-level analysis of working-aged poverty across 18 affluent democracies", Social Forces, 83(1): 271-299. 

  22. Brady, D., Beck, E., and Stephens, J. D., 2014, Comparative welfare states data set, http://www.lisdatacenter.org/resources/other-databases. 

  23. Brady, D., and Burroway, R., 2012. "Targeting, universalism and single mother poverty: A multi-level analysis across 18 affluent democracies", Demography, 49(2): 719-746. 

  24. Brady, D., and Kall, D., 2008, "Nearly universal, but somewhat distinct: The feminization of poverty in affluent Western democracies, 1969-2000", Social Science Research, 37(3): 976-1007. 

  25. Casper, L. M., McLanahan, S. S., and Garfinkel, I., 1994, "The gender-poverty gap: What we can learn from other countri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9: 594-605. 

  26. Christopher, K., 2001, Caregiving, welfare state and mother's poverty, LIS Working Paper No. 287. 

  27. Christopher, K., 2002a, "Welfare state regimes and mothers' poverty", Social Politics, 9(1): 60-86. 

  28. Christopher, K., 2002b, Helping mothers escape poverty: As European policy shows, better wages and generous supports are better cure than promoting marriage, LIS Working Paper No. 298. 

  29. Destro, L., and Brady, D., 2011, "Does European-style welfare generosity discourage single mother employment?", 53-82, in Comparing European workers(Part. B. Policies and institutions), edited by Brady D., Bindley: Emerald Group Publishing Limited. 

  30. Estevez-Abe, M., and Hethey, T., 2008, How politics affect women's economic position within the family: Labor market institutions and wives' contribution to household income, LIS Working paper No. 505. 

  31. Garfinkel, I., and McLanahan, S. S., 1986, Single mothers and their children: A new American dilemma, Washington: Urban Institute Press. 

  32. Gonzalez, L., 2005, The determinants of the prevalence of single mothers: A cross-country analysis, Discussion papers from Institute for the Study of Labor (IZA) No. 1677. 

  33. Gornick, J. C., and Jamtti, J., 2010, Women, poverty, and social policy regimes: A cross-national analysis, LIS Working Paper No. 534. 

  34. Hakovirta, M., 2001, The income sources of single parents: A comparative analysis, LIS Working Paper No. 282. 

  35. Hancke, B., Rhodes, M., and Thatcher, M., 2007, "Introduction: Beyond varieties of capitalism", 3-38 in Beyond varieties of capitalism: Conflict, contradictions, and complementarities in the European economy, edited by Hancke, B., Rhodes, M., and Thatcher, M.,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36. Hassel, A., 2007, "What does business want? Labour market reforms in CMEs and its problems", 253-277, in Beyond varieties of capitalism: Conflict, contradictions, and complementarities in the European economy, edited by Hancke, B., Rhodes, M., and Thatcher, M.,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37. Hsiao, C., 2003, Analysis of Panel Data, 2nd ed,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8. Handler, J. F., and Hasenfeld, Y., 2007, Blame welfare, ignore poverty and inequalit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 Hobson, B., 1994, "Solo mothers, social policy regimes and the logics of gender", 170-187, in Gendering welfare states, edited by Sainsbury, D., London: Sage Publications. 

  40. Huber, E., Stephens, J. D., Bradley, D., Moller, S., and Nielsen, F., 2009, "The politics of women's economic independence", Social Politics, 16: 1-39. 

  41. Iversen, T., and Soskice, D., 2008, "Partisan politics, the welfare state, and three worlds of human capital formation", Comparative Political Studies, 41(4/5): 600-637. 

  42. Kenworthy, L., and Pontusson, J., 2005, "Rising inequality and the politics of redistribution in affluent countries", Perspectives on Politics, 3(3): 449-471. 

  43. Kollmeyer, C., 2013, "Family structure, female employment, and national income inequality: A cross-national study of 16 Western countries",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29: 816-827. 

  44. Korpi, W., 2000, "Faces of inequality: Gender, class, and patterns of inequalities in different types of welfare states", Social Politics, 7(2): 127-191. 

  45. Korpi, W., and Palme, J., 1998, "The paradox of redistribution and the strategy of equality: Welfare state institutions, inequality and poverty in the Western countri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3: 661-687. 

  46. Leitner, S., 2003, "Varieties of familialism: The caring function of the family in comparative perspective", European Societies, 5: 353-375. 

  47. Lewis J., and Hobson, B., 1997, "Introduction", 1-20, in Lone mothers in European welfare regimes, edited by Lewis J., and Hobson, B., London: Jessica Kingsley Publishers. 

  48. Mahler, V. A., 2004, "Economic globalization, domestic politics and income inequality in the developed countries: A cross-national analysis", Comparative Political Studies, 37(9): 1025-1053. 

  49. Misra, J., Buding, M., and Moller, S., 2007, "Reconciliation policies and the effects of motherhood on employment, earnings, and poverty", Journal of Comparative Policy Analysis, 9(2): 135-155. 

  50. Moller, S., Bradley, D., Huber, E., Nielsen, F., and Stephens, J. D., 2003, "Determinants of relative poverty in advanced capitalist democracie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68: 22-51. 

  51. Moller, S., and Misra, J., 2005, Familialism and welfare regimes: Poverty, employment and family policies, LIS Working Paper No. 399. 

  52. Ontiversos, D., and Verardi, V., 2005, Electoral systems, poverty and income inequality, LIS Working Paper No. 402. 

  53. Orsini, K., Buchel, F., and Mertens, A., 2003, Is mothers' employment an effective means to fight family poverty? Empirical evidence from seven European countries, LIS Working Paper No. 362. 

  54. Pressman, S., 2003, "Feminist explanations for the feminization of poverty", Journal of Economic Issues, 37(2): 353-361. 

  55. Rueda, D., and Pontusson, J., 2000, "Wage inequality and varieties of capitalism", World Politics, 52: 350-383. 

  56. Scruggs, L., and Allan, J., 2006, "The material consequences of welfare states", Comparative Political Studies, 39(7): 880-904. 

  57. Smeeding, T. M., Ross, K., England, P., Christopher, K., and McLanahan, S. S., 1999, Poverty and parenthood across modern nations: Findings from the Luxembourg Income Study, LIS Working Paper No. 194. 

  58. Solt, F., 2008, "Economic inequality and democratic political engagement",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52(1): 48-60. 

  59. StataCorp, 2013, Stata longitudinal data/panel data reference manual: release 13, Texas: Stata Press Publication. 

  60. Wiepking, P., and Maas, I., 2005, "Gender differences in poverty: A cross-national research", European Sociological Review, 21(3): 187-20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