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폭력 피해 장애인의 외부도움요청 영향 요인
Factors on Help-seeking Behaviors among the Disabled Experiencing Domestic Violence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31 no.5 = no.125, 2013년, pp.109 - 123  

김재엽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Yonsei University) ,  이민경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Yonsei University) ,  박지민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Yonsei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actors on help-seeking behaviors among the disabled experiencing lifelong domestic violence and suggest practical plans to address the problems.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data of the "2010 Domestic Violence Survey of South Korea", the occurrence rate of lif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신체외부장애를 갖고 있는 성인장애인의 가정폭력피해와 외부도움요청 실태를 살펴보고, 가정폭력경험 장애인의 외부도움요청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험한 신체적 폭력의 심각성과 장애인이 갖고 있는 폭력에 대한 태도, 가정폭력관련 법인식, 장애수용정도, 사회적 교류정도를 구분하여 장애인의 외부도움요청 행위에 대한 영향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에 따른 연구모형은 [Figure 1]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가정폭력을 경험한 장애인의 외부도움 요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장애인의 폭력에 대한 태도, 가정폭력관련법 인식유무, 장애수용정도, 사회적 교류 정도의 영향정도를 알아보았으며, 궁극적으로는 가정폭력 피해 장애인의 대처방식에 대한 정책 및 실천적 제안을 하고자 하였다.
  • 폭력피해 장애인의 외부도움요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가정폭력 피해자의 외부도움요청에 대한 요인과 함께 장애로 인한 특성도 같이 검토되어야 하므로 보다 복합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가정폭력 피해자의 외부도움요청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가정폭력관련 법 인식유무, 가정폭력에 대한 허용적 태도를 비롯해서, 장애인의 외부도움요청에 장해요인으로 지적되었던 사회적 교류정도와 장애수용정도를 중심으로 가정폭력 피해 장애인의 외부도움요청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가정폭력 경험에 대한 외부도움 요청 현황을 파악하고, 외부도움요청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외부도움요청 등 가정폭력 피해 이후 장애인의 적극적 대처를 유도할 수 있는 사회적 지원 방법을 모색하고, 그럼으로써 폭력 발생 가능성에는 보다 많이 노출되어 있으나 은폐되기 쉬운 장애인의 가정폭력에 대한 정책적, 실천적 지원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의 가정폭력 경험에 대한 외부도움 요청 현황을 파악하고, 외부도움요청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외부도움요청 등 가정폭력 피해 이후 장애인의 적극적 대처를 유도할 수 있는 사회적 지원 방법을 모색하고, 그럼으로써 폭력 발생 가능성에는 보다 많이 노출되어 있으나 은폐되기 쉬운 장애인의 가정폭력에 대한 정책적, 실천적 지원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3) The higher figure is, the more often he/she meets others.
  • <가설 3> 가정폭력경험 장애인의 가정폭력관련 법인식은 외부도움요청에 영향을 줄 것이다.
  • <가설 5> 가정폭력경험 장애인의 사회적교류정도는 외부 도움요청에 영향을 줄 것이다.
  • <가설 4> 가정폭력경험 장애인의 장애수용정도는 외부 도움요청에 영향을 줄 것이다.
  • <가설 2> 가정폭력경험 장애인의 폭력에 대한 태도는 외부 도움요청에 영향을 줄 것이다.
  • <가설 1> 장애인의 심각한 신체적 가정폭력경험은 외부 도움요청에 영향을 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부도움요청이란 무엇인가요? 외부도움요청(help-seeking)은 피해자가 자신의 피해사실을 외부에 알리면서 도움을 요청하는 행동이다. Landis et al.
네 가지 도움요청 행동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Landis et al.(2005)은 가정폭력 피해여성이 취하는 외부도움찾기 유형을 첫째, 친척, 친구, 종교지도자 등 개인적으로 아는 사람즉 사적 지지망에게 도움을 구하는 것 둘째, 사회복지기관이나 상담가를 찾아가는 것 셋째, 의료서비스를 이용하는 것 넷째, 경찰에 신고하는 것으로 구분하고, 이러한 네 가지 도움요청 행동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71%를 차지한 사적 비공식 지지망을 활용하는 것이라고 하였다(Jang & Kim, 2005: 130). 가정폭력 피해자들의 외부도움요청 행위가 일차적으로 주로 사적 지원망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가정폭력을 타인에게 이야기했을 때의 비난과 평가에 대한 두려움, 공적지원체계에 알리는 경우 사생활이 보호받지 못할 수 있다는 두려움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Landis는 외부도움요청(help-seeking) 유형을 4가지로 구분하였는데 그 4가지는 무엇인가요? Landis et al.(2005)은 가정폭력 피해여성이 취하는 외부도움찾기 유형을 첫째, 친척, 친구, 종교지도자 등 개인적으로 아는 사람즉 사적 지지망에게 도움을 구하는 것 둘째, 사회복지기관이나 상담가를 찾아가는 것 셋째, 의료서비스를 이용하는 것 넷째, 경찰에 신고하는 것으로 구분하고, 이러한 네 가지 도움요청 행동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71%를 차지한 사적 비공식 지지망을 활용하는 것이라고 하였다(Jang & Kim, 2005: 130). 가정폭력 피해자들의 외부도움요청 행위가 일차적으로 주로 사적 지원망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가정폭력을 타인에게 이야기했을 때의 비난과 평가에 대한 두려움, 공적지원체계에 알리는 경우 사생활이 보호받지 못할 수 있다는 두려움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aladerian, J. N.(2009). Domestic violence and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 Reflections on research and practice. Journal of Aggression, Maltreatment & Trauma, 18, 153-161. 

  2. Byeon, Y. & Kim, S. & Yoon, S. & Kang, M. & Choi, M. & Son, C. & Oh, H.(2008). 2008 National Survey of the Disabled Persons.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3. Chang, H. & Huh, N. & Kim, Y.(2001), Factors affecting battered women's strategic responses to violence. The Korean Family Welfare Association, 7, 231-254. 

  4. Cramer, P. E. & Gilson, F. S. & Depoy, E.(2003). Women with disabilities and experiences of abuse. Journal of Human Behavior in the Social Environment, vol. 7, no. 3/4. 183-199. 

  5. Cramer, P. E. & Plummer, S.(2009). People of color with disabilities: intersectionality as a framework for analyzing intimate partner violence in social, historical, and political contexts. Journal of Aggression, Maltreatment & Trauma, 18, 162-181. 

  6. Curry, A. M. & Renker, P. & Robinson-Whelen, S. & Hughes, B. R. & Swank, P. & Oschwald, M. & Powers, E. L.(2011). Facilitators and barriers to disclosing abuse among women with disabilities. Violence and Victims, vol. 26, Number 4. 

  7. Guterman, B. N. & Haj-Yahia, M. M. & Vorhies, V. & Ismayilova, L. & Leshem, B.(2010). Help-seeking and internal obstacles to receiving support in the wake of community violence exposure : the case of arab and jewish adolescents in Israel.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19, 687-696. 

  8. Im, S.(2012), Human rights in the residential facility of the disabled, Justice, vol. 128, 7-59. 

  9. Jang, S. & Kim, J.(2005), A study on battered women's experience in calling the police. The Korean Family Welfare Association, 16, 127-160. 

  10. Jung, Y. & Kang, H.(2011), The relationship among acceptance disability, exercise attitude, and sociality for participants with physical disability in sports for all.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vol. 46(1), 957-966. 

  11. Kim, H. & Kim, K. & Park, J.(2009), Study of grounded theory for disability: acceptance and hope of family and children with disabilities.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vol. 27, 35-72. 

  12. Kim. H. & Jo, S.(2009), Predicting Employment Outcomes among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from Acceptance of Disability, Severity, and Location of Disability, Journa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vol 19(1), 167-186. 

  13. Kim, J.(1998), Analysi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ttitude and Behavior: the case of family violence in Korea, The Korean Family Welfare Association, 2, 87-114. 

  14. Kim, J. & Lee, J. & Chung, Y.(2008), The effect of family violence exposure on school violence : Focusing on attitude toward school violenc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26, 31-59. 

  15. Kim, J. & Jung, Y. & Song, A.(2011), Active coping of spouse of domestic violence perpetrator who completed battered intervention program and recidivism: Study of follow-up evaluation for domestic violence batterer intervention program.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vol. 42(4), 217-238. 

  16. Kim, J. & Lee, B. & Yonn, Y.(2011), Relation between experience of violence of physically disabled in the childhood and the act of family violence in the adulthood: Moderating effect of the law perception. Korea Youth Research Association, vol. 18(6), 201-225. 

  17. Kim, J. & Lee, J. & Choi, S.(2012), A moderating effect of help-seek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iolence in sports, depression, and intention to sport continuance among female athelet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vol. 43(1), 59-87. 

  18. Kim, J.& Choi, J& Emery, R. C & Kim, D. & Park, S. & Jung, Y. & Lee, J.(2010). 2010 Domestic Violence Survey of South Korea(1).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 

  19. Kim, J. & Choi, J& Emery, R. C & Kim, D. & Park, S. & Jung, Y. & Lee, J.(2010). 2010 Domestic Violence Survey of South Korea(2).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 Kim, J. & Lee, Y.(2008), Study on the experience of battered women maintaining non-violent marriage relationship - based on battered women using of formal protective system.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vol. 23, 5-41. 

  21. Kim, K. & Yoon, H.(2012), Associaitons between adolescents' victimization of violence, tolerance toward violence, and cyber violence offending behavior. Korean Society of Child Wlefare, 39, 213-244. 

  22. Lightfoot, E. & Williams, O.(2009). The intersection of disability, diversity, and domestic violence : results of national focus groups. Journal of Aggression, Maltreatment & Trauma, 18, 133-152. 

  23. Lim, C. & Bae, H.(2011), Risk factors for violence victimization of women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vol. 15, 19-46. 

  24. Nosek, A. M. & Hughes, B. R. & Taylor, B. H. & Taylor, P.(2006). Disability, psychosocial,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bused women with physical disabilities. Violence Against Women, 12, 838. 

  25. Oh, H. & Lee, H.(2011), The Effect of Physical Function and Social Support on Social Participation of Noncongenital-Spinal Injured Persons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Acceptance of Disability.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vol. 15(2), 1-23. 

  26. Siskin, A.(2001). Violence against women act: history, federal funding, and reauthorizing legislation. http://www.globalaging.org/elderrights/us/2006/crsreport.pdf. 

  27. Slayter, E.(2009). Intimate partner violence against women with disabilities : Implications for disability service system case management practice. Journal of Aggression, Maltreatment & Trauma, 18, 182-19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