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사구간 교통관리특성을 고려한 고속도로 교통사고 심각도 영향요인 분석 및 안전성 증진 방안
Identification of Factors Affecting the Crash Severity and Safety Countermeasures Toward Safer Work Zone Traffic Management 원문보기

大韓交通學會誌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v.34 no.4, 2016년, pp.354 - 372  

윤석민 (한양대학교 교통.물류공학과) ,  오철 (한양대학교 교통.물류공학과) ,  박현진 (한양대학교 교통.물류공학과) ,  정봉조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공사구간에서는 교통류의 안전한 합류 및 통과를 위해 속도관리와 차로차단을 통한 체계적인 교통관리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공사구간 교통관리특성을 교통안전분석에 반영하기 위해서 사고자료, 차량검기지에서 추출된 속도 및 교통자료, 공사 시 종점, 페쇄 차로 등의 정보가 포함된 공사장 이력자료를 활용하였다. 2010년부터 2014년까지 발생한 고속도로 공사구간 사고자료 중 총 231건의 사고에 대해 교통상황자료 및 공사장 이력자료를 매칭시킨 분석 대상 자료셋을 구축하고, 순서형 프로빗 모형을 적용하여 사고 심각도 영향 요인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속도, 차로 폐쇄에 따른 용량 감소량, 주의구간 내 사고 위치, 공사 작업 유형의 변수들이 공사구간 사고 심각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6가지 공사구간 안전성 증진 방안을 수립하였다. 안전성 증진방안으로는 차로 합류 및 차단 방안, 주의구간 내 정보 제공 방안, 공사구간 속도 관리 방안, 공사구간 경고 정보 제공 방안, 공사구간 교통안전시설 도입, 공사구간 안전성 효과분석 및 모니터링 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dentified factors affecting the crash severity at freeway work zones. A nice feature of this study was to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work zone traffic management in analyzing traffic safety concerns. In addition to crash records, vehicle detection systems (VDS) data and wo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사구간의 교통안전성 평가를 위해서 필요한 것은? 따라서 공사구간의 교통안전성 평가를 위해서는 이러한 교통관리특성이 충분히 반영된 영향요인을 계량화된 변수로 설정하여 분석에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분석을 위한 첫 번째 단계는 교통사고 발생위치를 공사구간 내에서 정확히 인식하는 것인데, 개별 교통사고 자료를 공사구간의 시간적, 공간적 범위가 포함된 공사장 이력자료와의 매칭을 통해 가능하다. 또한 공사구간 내 교통사고 발생 지점과 인접한 상류부와 하류부의 차량검지기 자료에서 추출된 사고발생 당시의 속도와 교통량과 같은 교통상황 정보를 추가로 활용하면 공사구간의 교통관리특성을 반영한 교통안전분석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교통사고 발생 시 제공된 공사장 안내정보, 공사구간 내 통행속도, 작업유형의 관계를 입체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공사구간 교통관리란 무엇인가? 도로확장 및 유지보수 등과 같은 도로상의 작업을 위한 차로차단은 운전자에게 강제적인 차로변경을 요구하게 되므로 교통혼잡 및 사고발생 가능성을 증대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사구간 내 교통운영 및 안전시설 설치 등의 관리 전략을 공사구간 교통관리로 정의할 수 있다.
공사구간의 교통관리의 의의는? 또한 공사구간 진입차량과 작업자 간의 충돌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차로차단 시설 및 방호벽의 설치도 공사구간 교통관리에 포함된다. 즉 공사구간 교통관리를 통하여 공사구간으로 진입하는 운전자 및 공사구간을 통과하는 운전자에게 안전하고 원활한 교통소통을 지원하고, 공사장 내 작업자의 안전을 증진시킬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anaeiyan N. A., Zaman A. U., Hayee M. I. (2016), Visual Warning System for Workers' Safety on Roadside Work Zones, In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95th Annual Meeting, 16-1227. 

  2. Bonneson J. A,. McCoy P. T. (1993), Estimation of Safety at Two-Way Stop-Controlled Intersections On Rural Highway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1401, 83-89. 

  3. Brewer K. A. (1972), Safety Evaluation of Forced Weaving as a Traffic Control Measure in Freeway Maintenance Operation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390, 84-93. 

  4. Brown H., Sun C., Cope T. (2015), Evaluation of Mobile Work Zone Alarm System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485, 42-50. 

  5. Bryden J., Andrew L. (1999), Serious and Fatal Injuries to Workers on Highway Construction Project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1657, 42-47. 

  6. Choi S. (2013), Effects of Weather and Traffic Conditions on Accident Severity on Freewa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3(3), 1105-1113. 

  7. Daniel J., Dixon K., Jared D. (2000), Analysis of Fatal Crashes in Georgia Work Zones,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1715, 18-23. 

  8. FHWA (2004),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in Work Zones: A Case Study. 

  9. FHWA (2013), Guidance for the Use of Portable Changeable Message Signs in Work Zones. 

  10. Gerald U., Vichika I., Robert B. (2016), Safety Effects of Portable End-of-Queue Warning System Deployments at Texas Work Zones, In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95th Annual Meeting, 16-3587. 

  11. Hong J. Y., Kim K. T., Lee S. B. (2010), Developing the Accident Injury Severity on a Field of Construction Work Using Ordered Probit Model, Journal of the KOSOS, 26(2), 89-98. 

  12. Idewu W., Wolshon B. (2010), Joint Merge and its Impact on Merging Speeds in Lane Reduction Areas of Construction Zone,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Journal of th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169, 31-39. 

  13. Jang J. H. (2013), A Study of Traffic Accident Characteristic in Freeway Work Zone in Korea, Chonnam National University. 

  14. Khattak A. J., Khattak A. J., Council F. M. (2002), Effects of Work Zone Presence on Injury and Non-injury Crashes,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34(1), 19-29. 

  15.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2015), Korea Expressway Work Zone Traffic Accident Condition. 

  16. Korea National Police Agency (2013), Installation and Manual for Traffic Sign 

  17. Lee S. Y., Min S. H., Park J. Y., Yoon S. D. (2005), An application of Logit & Probit model, PARKYOUNGSA, 177-203. 

  18. Maddala G. S. (1983), Limited-Dependent and Qualitative Variables In Economic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7-91. 

  19. Meng Q., Weng J., Qu X. (2010), A Probabilistic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Model for the Long-term Work Zone Crashes, Accident Analysis & Prevention, 42(6), 1866-1877. 

  20. Analysis,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94th Annual Meeting, 15-4130. 

  21. Pappe R. (2014), Speed Reduction Measures/TCD, Traffic-Roadway Section, Oregon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Salem. 

  22. Park M. C., Lee J. H., Park T. H., Ha T. J. (2008), A Study of Traffic Accident Characteristics in Freeway Construction Zones,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7(1), 127-136. 

  23. Qi Y., Srinivasan R., Teng H., Baker R. (2013), Analysis of the Frequency and Severity of Rear-end Crashes in Work Zones, Traffic injury prevention, 14(1), 61-72. 

  24. Savolainen P. T., Reddy V., Santos P. E., Joseph B., Datta T. K. (2009), Evaluation of Temporary Removable Rumble Strips for Speed Reduction, In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88th Annual Meeting, 09-1970. 

  25. Schrock S. D., See C. F., Becke M. T., Mulinazzi T. E., Initiative S. W. Z. D. (2008), Evaluation of Early Merge Static Work Zone Signing in Oklahoma. 

  26. Sun C., Edaram P., Ervin K. (2011), Elevated-risk Work Zone Evaluation of Temporary Rumble Strips, Journal of Transportation Safety & Security, 3(3), 157-173. 

  27. Washington S. P., Karlaftis M. G., Mannering F. (2010), Statistical and Econometric Methods for Transportation Data Analysis, Chapman and Hall/CRC. 

  28. Wong J. M., Arico M. C., Ravani B. (2011), Factors Influencing Injury Severity to Highway Workers in Work Zone Intrusion Accidents, Traffic Injury Prevention, 12(1), 31-3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