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건 경복궁 후원 오운각(五雲閣) 권역으로 조명한 조선시대 궁궐 별원(別苑)의 특성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yeolwon (別苑: A Separate Garden Made Away from Living Space) in Palace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Illuminated by the Oungak Area at the Rear Garden of Reconstructed Gyeongbokgung Palace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4 no.3, 2016년, pp.1 - 17  

정우진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종 연간 경복궁 후원의 북쪽에 조성된 오운각 권역의 특성과 창덕궁 후원 옥류천에 구비되어 있던 기능적 요소가 경복궁 후원으로 치환되었던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오운각 권역은 샘과 천하제일복지 각자가 있던 기존의 공간을 활용하여 왕의사적인 공간으로 정비된 공간이었다. 고종은 오랫동안 창덕궁 옥류천이 담당했던 왕실의 휴식과 위락기능을 중건 경복궁에 그대로 옮기려 하였다. 그 결과, 옥류천과 유사한 기능을 하도록 조성된 오운각 권역이 후원의 별원으로 개발되었다. 양자 간에는 후원의 최북단에 조성된 입지 외에도, 건물의 구성 및 유배거의 기능을 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관상용 수경설계 등에서 공통점이 발견되었다. 오운각 권역은 옥련정, 오운각, 벽화실과 천하제일복지천의 수경시설로 구성되었다. 이중에서 벽화실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옥류천과 직간접적인 관련성을 갖되, 지형의 굴곡, 경사, 수계의 상황 등 주어진 입지조건에 따라 조성되어 색다른 정감을 갖는 공간으로 개발되었다. 먼저, 옥련정은 남산에 이르는 서울의 경관을 조망하기 위해 높은 언덕에 입지하였고, 천하제일복지천의 독특한 형식의 수로는 위이암의 유배거의 기능을 모방한 형태로 추정된다. 한편 오운각은 옥류천의 농산정과 같이 주거가 가능한 집으로 조영된 것이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다분히 옥류천의 기능과 위상을 경복궁에 치환하기 위한 조성목적을 표출하고 있으며, 이러한 점은 조선시대 궁궐 후원의 기능 공간이었던 별원의 특성을 잘 대변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overview of the characteristics the Oungak (五雲閣) area on the north of rear garden of Gyeongbokgung Palace which was constructed during the time of king Kojong. This study also consider the aspect of functional elements of Ocryucheon (玉流川) located in Changd...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종이 왕실의 휴식과 위락 기능을 했던 창덕궁 옥류천 같은 공간을 중건 경복궁에 그대로 옮기려 한 결과는 어떠한가? 고종은 오랫동안 창덕궁 옥류천이 담당했던 왕실의 휴식과 위락기능을 중건 경복궁에 그대로 옮기려 하였다. 그 결과, 옥류천과 유사한 기능을 하도록 조성된 오운각 권역이 후원의 별원으로 개발되었다. 양자 간에는 후원의 최북단에 조성된 입지 외에도, 건물의 구성 및 유배거의 기능을 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관상용 수경설계 등에서 공통점이 발견되었다.
경복궁 오운각 권역은 어떤 공간이었나? 본 연구는 고종 연간 경복궁 후원의 북쪽에 조성된 오운각 권역의 특성과 창덕궁 후원 옥류천에 구비되어 있던 기능적 요소가 경복궁 후원으로 치환되었던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오운각 권역은 샘과 천하제일복지 각자가 있던 기존의 공간을 활용하여 왕의사적인 공간으로 정비된 공간이었다. 고종은 오랫동안 창덕궁 옥류천이 담당했던 왕실의 휴식과 위락기능을 중건 경복궁에 그대로 옮기려 하였다.
오운각 권역은 무엇으로 구성되었는가? 양자 간에는 후원의 최북단에 조성된 입지 외에도, 건물의 구성 및 유배거의 기능을 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관상용 수경설계 등에서 공통점이 발견되었다. 오운각 권역은 옥련정, 오운각, 벽화실과 천하제일복지천의 수경시설로 구성되었다. 이중에서 벽화실을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옥류천과 직간접적인 관련성을 갖되, 지형의 굴곡, 경사, 수계의 상황 등 주어진 입지조건에 따라 조성되어 색다른 정감을 갖는 공간으로 개발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Jung, W. J., Kwon, O. M. and Sim, W. K.(2013). A Study on the Status of Multi-functional Vacant Ground at the Palace Rear Garden during the Era of King Kojong.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1(3): 56-71. p.64. 

  2. Jung, W. J. and Go, J. H.(2016). A Feng Shui Analysis of the Locations of the Main Buildings in the Palaces of Joseon Dynasty.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4(1): 18-39. 

  3. Jung, J. H.(1994). The Master Plan for Maintenance and Restoration of Gyeongbokgung Palace. Reserch Report to the Office of Cultural Properties of Korea. p.170. 

  4. Yi, H. W.(2008). A Study on the Changes the Jeongak Complex after the Reconstruction of Kyeongbokgung - With a focus on Kyeongbokgung Baechido and Bukgwoldohyeong -. p.199, p.129. 

  5. National Archives of Korea(2008). The Bibliography of Architectural Drawings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National Archives of Korea: Daegeon, Korea. 

  6. http://theme.archives.go.kr 

  7. King Kojong(1919). Juyeon Seonjip (珠淵選集). Juyeon Seonjip Chulpanso: Kyungseong, Korea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8. Han, H. J.(2011). The Authority and Role of King. In Sim. J. W., Lim. M. H., Sin, M. H., Park, Y. M., Lee, S. G. and Han, H. J., eds., A Living as the King of Joseon. Paju: Dolbaegae. pp.55-115. p.83. 

  9. Jung, W. J., Kim, H. S. and Sim, W. K.(2012).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Modified Landscape and the Transformational Processes of Ongnyucheon in Changdeok Palac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30(2): 42-56. 

  10. Lee, J. H.(2007). Building Byeol-seo(別墅) and Its Function in the La ter Half of the Goryeo Dynasty.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27: 215-242. 

  11. Korea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2009). The Cultural History of Oriental Culture Landscape Architecture. Seoul: Deaga. pp.264-298. 

  12. http://hanja.naver.com/word?q%E8%87%BA%E6%A6%AD 

  13. The editorial office of Minjungseorim(2001). Han-Han Dae Sajeon. Seoul: Minjungseorim. p.288. 

  14. Jo, J. M.(2003). The Rituals and architectural norms in the Royal Palaces of Joseon Dynasty.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p.205. 

  15. Jo, J. M.(2012). A Palace, saying Joseon Dynasty. Paju: Artbooks Publishing Co. p.113. 

  16. National Museum of Korea(2007). Dry Glass Plate Negative Films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vol.1 Palace. Seoul: GNA Comunication Publishing Co. 

  17.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2007). The Cultural Heritage around Cheongwadae (靑瓦臺). Presidential Security Service: Seoul, Korea. 

  18. Academy of Korean Studies(2009). The Collections of Modern Architectural Drawing: Drawing volume. Seongnam: Academy of Korean Studies. p. 12-13. 

  19. Lee, S. H.(2015). A Study on Eco-cultural Meanings of Rock Inscriptions in Bukchon, Seoul. master'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Cheonan, Korea. pp.38-3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